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0 23:33:23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유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가지정유산
국보 보물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 국가무형유산 국가민속문화유산 사적명승
시도지정유산
시도유형문화유산 시도기념물 시도무형유산 시도민속문화유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기타
문화유산자료 국가등록문화유산 시도등록문화유산
이북5도 무형문화재 향토문화재 비지정유산 }}}}}}}}}

1. 개요

1. 개요

문화재보호법 제2조(정의) ① 이 법에서 "문화재"란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국가적·민족적 또는 세계적 유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학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다음 각 호의 것을 말한다.
4. 민속문화유산: 의식주, 생업, 신앙, 연중행사 등에 관한 풍속이나 관습에 사용되는 의복, 기구, 가옥 등으로서 국민생활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것

제26조(국가민속문화유산의 지정)문화재청장은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민속문화유산 중 중요한 것을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국가민속문화유산의 지정기준과 절차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대한민국국가민속문화유산(國家民俗文化遺産)대한민국에서 의식주·생업·교통·교역·신앙·오락 등 양반이나 민간생활과 관련된 풍속과 관습 중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 중에 국가 지정 유산으로 지정된 것이다. 대표적으로 양동마을하회마을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