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08:57:41

보하이해

보하이만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남북국시대의 국가에 대한 내용은 발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바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제수로기구 S23 기준
[ 해도 펼치기 · 접기 ]
파일:S23_Ed3_Sheet_1_Small.jpg
파일:S23_Ed3_Sheet_2_Small.jpg
파일:S23_Ed3_Sheet_3_Small.jpg
<colbgcolor=#334455>태평양<colbgcolor=#eef,#002>남중국해 · 동인도제도(술루해 · 술라웨시해 · 몰루카해 · 토미니만 · 할마헤라해 · 세람해 · 반다해 · 아라푸라해 · 티모르해 · 플로레스해 · 보니만 · 발리해 · 마카사르 해협 · 자바해 · 사부해) · 동중국해 · 동해 · 말라카-싱카포르 해협(말라카 해협 · 싱가포르 해협) · 보하이해 · 베링해 · 브리티시컬럼비아 연안 · 비스마르크해 · 산호해 · 세토내해 · 솔로몬해 · 알래스카만 · 오호츠크해 · 캘리포니아만 · 타이만 · 태즈먼해 · 태평양(동태평양 · 서태평양 · 남태평양 · 북태평양) · 필리핀해 · 황해
대서양기니만 · 대서양(남대서양 · 북대서양) · 라플라타 강 하류 · 마르마라해 · 멕시코만 · 발트해(보트니아만 · 핀란드만 · 리가만) · 북해 · 브리스틀 해협 · 비스케이만 · 세인트로렌스만 · 스카게라크 해협 · 스코틀랜드 연안 · 아이리시해 · 영국 해협 · 지중해(지브롤터 해협 · 알보란해 · 발레아레스해 · 리구리아해 · 티레니아해 · 이오니아해 · 아드리아해 · 에게해) · 카리브해 · 펀디만 · 흑해(아조프해)
인도양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 · 라카디브해 · 모잠비크 해협 · 배스 해협 · 버마해 · 벵골만 · 수에즈만 · 아덴만 · 아라비아해 · 아카바만 · 인도양 · 페르시아만 · 홍해
북극해그린란드해 · 노르웨이해 · 데이비스 해협 · 동시베리아해 · 라프테프해 · 래브라도해 · 링컨해 · 바렌츠해 · 배핀만 · 백해 · 보퍼트해 · 북극해 · 북서항로 · 추크치해 · 카라해 · 허드슨만 · 허드슨 해협
남극해드레이크 해협
카스피해카라보가스골만}}}}}}}}}

보하이해 (발해)
勃海 | Bohai Sea
파일:보하이해.png
보하이해의 위성사진과 수역.
파일:발해 만.jpeg.jpg
허베이성 보하이만 연안의 사진.
<colbgcolor=#3594d3><colcolor=#fff> 분류 내해
위치 동아시아
인접국
[[중국|]][[틀:국기|]][[틀:국기|]](내수)
유입 황허강, 랴오허강
유출 황해
보하이만(渤海湾, 허베이성)
랴오둥만(辽东湾, 랴오닝성)
라이저우만(莱州湾, 산둥성)
길이 약 280km (동서, 남북)
수면적 약 77,000 ㎢ (30,000 sq mi)
수심 18 m (평균)
50 m (최대)
염도 -
수온 -

1. 개요2. 지리3. 명칭과 역사4. 오염5. 기타

[clearfix]

1. 개요

보하이해(, 발해)는 랴오둥반도산둥반도로 둘러싸인 황해내해(內海, inland sea)이다.

2. 지리

면적은 약 7만 7천 제곱킬로미터, 평균 수심은 18미터의 얕은 해역으로, 톈진항 일대의 보하이만(渤海湾, Bóhǎi Wān), 랴오둥반도 서쪽의 랴오둥만(辽东湾, Liáodōng Wān), 산둥반도 북쪽의 라이저우만(莱州湾, Láizhōu Wān) 지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랴오둥반도와 산둥반도 사이에는 좁은 수로인 보하이해협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황해서한만으로 이어진다.

3. 명칭과 역사

본래 '보하이'는 이 지역의 바다를 가리키는 전통적인 명칭인 '발해(勃海)'의 중국어 독음으로, 삼국지의 원소가 역임한 발해 태수, 후한의 마지막 황제인 헌제가 황자 시절에 받은 작위인 발해왕(勃海王) 등이 보하이해를 중심으로 설정된 행정구역 발해군(勃海郡)에서 유래했다. 이는 지금의 창저우시(滄州市) 일대에 해당한다. 또 한국사의 고대 국가인 발해의 국호도 이 지명에서 따온 것으로, 마찬가지로 발해군 지역을 당나라 조정이 발해 국왕에게 형식적으로 봉한 데에서 유래한다.[1]

현대 한국어 명칭인 '보하이해'는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지명 표기법에 따라 바다를 가리키는 수식어 '해(海)' 부분을 제외한 고유명사가 한자 1자(발, 勃)인 경우 어휘 전체를 고유명사로 취급하고 한국어 '-해'를 붙여 읽게 한 것에 따른다. 보하이만의 표기 역시 동일한 원칙에 따른다.

이 밖에 중원의 북쪽 방향에 가깝기 때문에 옛날 중국에서는 북해(北海) 또는 북양(北洋)이라는 이명으로도 불리기도 했다.# 청나라의 북양함대의 북양(北洋)도 발해만을 가리킨다. 또 근대에는 청나라 이후 1928년까지 허베이성(하북성) 일대에 위치한 구 행정구역명 직례성(直隷省)을 따서 직례만(直隷灣)이라고도 했다.

4. 오염

파일:보하이만과 라이저우만.png
보하이만 및 라이저우만 일대의 위성사진.

1980년대까지는 어창(魚倉)이라고 불릴 정도로 다양한 종류의 물고기들이 서식하는 바다였다. 하지만 동북3성과 허베이성의 공해산업이 발달하고 환경보다 경제성장을 택하는 대륙의 마인드로 오염을 막을 환경 규제가 매우 미약해서, 해안은 중금속이 끊임없이 몰려들고 먼바다에선 쉴새 없이 기름 유출이 벌어지고 있는 바다가 되었다.

황하의 흙탕물은 보하이해의 라이저우만을 거쳐 황해로 흘러든다. 그 외에 랴오허(요하)롼허강 등 많은 큰 강들이 보하이해로 흘러든다. 랴오허 또한 무시하지 못할 게 상류에 커얼친, 훈탄타커 등 사막이 있어서 황하 못지 않은 흙탕물을 바다로 끊임없이 배출한다. 게다가 중국의 급속한 공업화와 있으나마나한 환경규제로 인해서 보하이만 연안 도시들에서 많은 유해 물질이 흘러들어간다. 이런 요소들이 합쳐져서 보하이해의 물은 우리가 아는 황해보다도 더욱 탁하고 유독하고 더럽다.

‘천국의 해변’ 中 보하이… 생명체 살지 못하는 죽음의 바다로
또한 보하이해 내에 유전지대가 있어 석유공업도 발달되어있는데 그 유전들에서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2011년 보하이 만 곳곳의 유전에서 발생한 원유 유출 사고 때문에 보하이 만이 심각하게 오염되었다. 2011년 6월 4일 처음 유출이 확인되었는데, 대응을 어떻게 했는지 이후 5개월 동안 다른 유전들에서도 유출 사고가 잇따라 일어났다. 중국은 사건을 1달 후인 8월에 발표해 사고를 은폐하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을 받았다. 보하이 만 5~6,000㎢가 오염되었고, 유출 책임사 코노코필립스는 10억 위안의 피해보상금을 냈다. 사실 보도통제 등의 요인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세계에서 가장 오염된 바다 중 하나임은 틀림이 없다.

중국 어선들이 툭하면 한국 영해는 물론이요, 일본 영해선 내까지 들어와 불법 조업을 하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서해의 중국 영해는 보하이해처럼 모조리 심각하게 오염되었고 그 결과 수산 자원이 엄청나게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그쪽 바다에 잡을 것이 없다 보니 북한과 밀약을 맺어 북방한계선을 침입해 조업을 하는 것.

그래도 2010년대에는 공장을 다른 곳으로 이전하고 환경규제도 강화했으며 돈을 들여 정화작업을 해 놓았기 때문에 이전보다는 수질이 많이 개선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그 동안 각종 사건사고와 연관되어 있는데다가 각종 산업폐기물들이 해저에 쌓여 있는 관계로 이전보다 수질이 나아졌다고 해도 여전히 수질 오염은 심각한 편이다. 그리고 정화했다고는 해도, 급수외 수질에서 4급수 정도로 정화한 수준이다.

5. 기타

고대에는 지금보다 훨씬 규모가 컸다. 당장 황하 하류 부분의 보하이만은 약간 반도처럼 불룩 튀어나와 있는데, 이건 황하의 유로가 지금과 같이 변화한 1853년부터 현대까지 지속된 황하의 퇴적으로 생겨난 것이다. 이뿐 아니라 랴오둥 반도 안쪽의 만 역시 퇴적 작용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고대에는 만이 훨씬 깊었다.[2]

산둥 반도와 랴오둥 반도가 접하는 보하이 해협에 다롄옌타이를 잇는 해저터널뚫을 계획이다. 2016년에서 2020년 사이에 건설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자세한 내용은 발해만 해저터널 문서로.

결빙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데, 2013년에는 지속된 한파로 보하이만 15,231㎢, 라이저우만 2,900㎢, 랴오둥만 5,650㎢가 얼어붙어 어민들의 어업과 여객선 운항 등이 중지되었다. 기사

겨울철 서해안 해기차의 주 원인이기도 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삼국지에도 나오듯, 발해군은 발해라는 나라가 생기기 한참 전인 전한 초중기에 만들어진 군으로 동북공정류의 중국역사왜곡 시도와는 전혀 관련 없다.[2] 보하이해뿐 아니라 그냥 황해 자체가 옛 후빙기 초기에는 지금보다 훨씬 넓었다. 산둥 반도의 경우, 아예 후빙기 초기에는 섬이었다는 말도 있을 정도인데, 이 정도로 퇴적물을 걷어내 바닷물을 채워 보면 사실상 현재의 중원 평지 거의 대부분은 물에 잠긴다. 과거 고대 중국의 동쪽 해안 지역에는 늪 등 습지가 많았는데, 이것 역시 과거에 바다였던 곳이 황허, 훼이허, 양쯔강 등의 지속적인 퇴적 작용으로 메워지고 담수화하면서 생긴 것이다. 이 과정에서 타이호 등의 크고 작은 호수들이 여럿 생겨났다. 사실 한반도도 큰 차이는 없는 것이 삼국시대 당대에 호남평야 지대 상당수가 바다나 갯벌이었으며 심지어 전주 앞까지 바다였다(!!!) 인공적으로 간척을 한 부분이 크게 작용은 하지만 그렇다고 퇴적을 무시할수 없다는 얘기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