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21:35:24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

Royal Club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Royal Never Give Up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2024 시즌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wiki style="margin: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파일:LPL_2020_white_notext.pngLPL
참가팀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파일:TES 로고 2019.svg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파일:Ninjas_in_Pyjamas_2021_neon_logo.png
Bilibili Gaming Top Esports JDG Intel Esports Club Ninjas in Pyjamas
파일:FPX 로고 2021.svg 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 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 파일:Team_WE.png
FunPlus Phoenix Weibo Gaming TapTap LNG Ninebot Esports Team WE
파일:Oh_My_Godlogo.png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파일:Anyone%27s_Legendlogo_profile.png파일:Anyone%27s_Legendlogo_profile_textwhite.png 파일:LGD_Gamingnewlogo.png파일:LGD_Gamingnewlogo_white.png
Oh My God Invictus Gaming Anyone's Legend LGD Gaming
파일:TT_%28Chinese_Team%29logo_square.png 파일:RNG 로고 2017.svg 파일:1200px-Rare_Atom_allmode_full.pn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Thunder Talk Gaming Royal Never Give Up Rare Atom Edward Gaming Hycan
파일:Ultra_Prime.png
Ultra Prime
LDL 참가팀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파일:RNG 로고 2017.svg
<colbgcolor=#b4936a><colcolor=#ffffff> 로열 네버 기브 업
Royal Never Give Up
창단 2015년 5월 16일
소속 리그 LPL
CEO 야오진청
총매니저 루하오
Stms
매니저 류펑
Pencil
총감독 [[주카이(e스포츠)|주카이
KenZhu
]]
감독 [[왕펑|왕펑
Xiaopeng
]]
분석 바이런제
May
주장 [[옌양웨이|옌양웨이
Wei
]]
약칭 RNG
파일:RNG 로고 2017.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우승 기록
MSI
(3회, 최다)
2018, 2021, 2022
LPL
(5회)
2016 스프링, 2018 스프링, 2018 서머, 2021 스프링, 2022 스프링
RR
(2회, 최다)
2017, 2018
Demacia Cup
(3회)
2017 서머, 2018 서머, 2019
NEST
(1회)
2023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4936a><colcolor=#ffffff>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중국 국기.svg [[주더장|주더장
Zdz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crwn.png 파일:중국 국기.svg [[옌양웨이|옌양웨이
Wei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중국 국기.svg [[린위훙|린위훙
Tangyuan
]]
파일:중국 국기.svg [[류주|류주
Xzz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중국 국기.svg [[탕환펑|탕환펑
huanfeng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중국 국기.svg [[스썬밍|스썬밍
Ming
]]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파일:RNG 로고 2017.sv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league-of-legends.png Royal Never Give Up
Royal Club
파일:dota2_white.png Royal Never Give Up
Royal
파일:valorantlogo.png Royal Never Give Up
파일:하스스톤 풀 화이트.png Royal Never Give Up
파일:왕자영요_white_logo.png Royal Never Give Up.Mobile
파일:wildriftwhitelogo.png Royal Never Give Up
}}} ||

1. 개요2. 상세3. 주요 경력4. 역사 및 역대 시즌5. 멤버6. Royal Club7. 여담8. 논란 및 사건 사고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R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RNG_2024_Split_1.jpg
#RoyalNeverGiveUp
Royal Never Give Up 소속 중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팀 약자는 RNG.

2. 상세

구(舊) Royal Club을 전신으로 하고 있으나, 공식적으로는 별개의 팀으로 간주되고 있다. 로얄 클럽의 2015 시즌 부진으로 인한 강등과 그 과정에서 발생한 묘한 인수과정으로 인해 재창단 과정이 팀 정체성을 계승하지 못할 정도로 크게 바뀌었다고 여겨지기 때문. 팀 자체적으로는 로얄 클럽 시절 이룬 2013, 2014 월드 챔피언십 두 차례에 걸친 준우승 기록을 현 'RNG'의 커리어에 포함시키고 있으나 라이엇 게임즈의 공식 기록에는 제외되어 있다.

한때는 EDG와 더불어 LPL을 대표하는 명문 게임단으로 평가받았다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롤드컵 성적과 IG, FPX 같은 후발주자들의 롤드컵 우승, 그리고 팀적인 부진과 슈퍼스타 우지의 은퇴가 맞물리면서 전과 같은 위상은 아니였었다.

그러다가 2021 스프링에서 탑으로 포지션을 변경한 샤오후부터 시작해 팀원들의 폼이 날아오르면서 5연승으로 스타트를 좋게 끊으며 정규시즌 1위를 달성. 역대 정규시즌 성적을 최고로 경신하고 오랜만에 우승컵을 들어올리면서 전통 강호의 부활을 알렸다.

거기에 2021년과 2022년에 LPL 스프링, MSI를 연속 우승하고, 총 3회 우승하면서 역대 MSI 최다 우승팀으로 거듭나게 됨과 동시에 한국인 선수, 코치진 없이 LCK 팀을 국제대회 다전제에서 이겨 본 유이한 중국팀[1][2]타이틀과 더불어 2018년 이래로 최근까지 LPL과 LCK 사이의 경기 전적 우위와 주요 대회 수상 실적을 더욱 벌리는데 일조했다. 상술했듯 한국인 용병을 자주 기용하는 다른 LPL 상위권 중국팀들과 달리 '순혈' 중국인으로 구성된 팀이라는 것도 주요 포인트.[3]

3. 주요 경력

우승 경력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pring 우승
LGD Gaming Royal Never Give Up Edward Gaming
2017 Demacia Cup 우승
Edward Gaming Royal Never Give Up Edward Gaming
2017 Rift Rivals Red Rift 우승
2018 Rift Rivals LCK-LPL-LMS 우승
대회 개최 LPL[4][5] LCK[6]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pring 우승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ummer 우승
Edward Gaming Royal Never Give Up Invictus Gaming
2018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SK telecom T1 Royal Never Give Up G2 Esports
2018 Demacia Cup Summer 우승
Edward Gaming Royal Never Give Up Invictus Gaming
2019 Demacia Cup 우승
Invictus Gaming Royal Never Give Up Top Esports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우승
Top Esports Royal Never Give Up Edward Gaming
2021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2022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대회 취소[7] Royal Never Give Up JDG Intel Esports Club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우승
Edward Gaming Royal Never Give Up JDG Intel Esports Club
NEST 2023 우승
Edward Gaming Hycan Royal Never Give Up 미정
준우승 경력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ummer 준우승
Tencent LoL Pro League 2017 Spring 준우승
Tencent LoL Pro League 2017 Summer 준우승
Edward Gaming Royal Never Give Up Edward Gaming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2019 Summer 준우승
JD Gaming Royal Never Give Up Top Esports
수상 경력
LPL 연간 어워드 2017년 올해의 팀
Edward Gaming Royal Never Give Up Invictus Gaming

4. 역사 및 역대 시즌

파일:Royal_Club_Old_Logo.webp 파일:Star_Horn_Royal_Club_Logo.webp파일:Star_Horn_Royal_club_whitetext-logo.png 파일:external/s.yimg.com/8go1ob3zddf07hsmh4cgc418ntjimm5.png파일:RNG_Logo_whitetext.png 파일:RNG 로고 2017.svg
Royal Club Star Horn Royal Club Royal Never Give Up
로얄 클럽 스타 혼 로얄 클럽 로열 네버 기브 업


5. 멤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멤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Royal Club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EF4923><tablebgcolor=#EF4923> 파일:LDL_white.pngLDL
참가팀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Group A
파일:EDward_Gaming_Youth_Teamlogo_square.png 파일:Young_Glorylogo_square.png 파일:FPB_New_logo.png 파일:LGD.Ylogo_square.png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300px-Joy_Dreamlogo_square.png
EDG YOUTH TEAM Invictus Gaming Young FunPlus Blaze LGD Gaming
Young Team
Joy Dream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300px-Royal_Clublogo_square.png 파일:TT.Y logo.png 파일:Oh_My_God_Academylogo_square.png 파일:LNG_Academylogo_square.png 파일:Bilibili_Gaming_Juniorlogo.png
Royal Club Thunder Talk
Gaming Young
Oh My God Academy LNG Academy Bilibili Gaming Junior
Group B
파일:MiaoJinglogo_square.png 파일:Anyone's_Legend.Younglogo_profile.png 파일:MAX_Teamlogo_square.png 파일:Weibo_Gaming_Youth_Teamlogo_profile.png 파일:Ji_Jie_Haologo_square.png
MiaoJing Anyone's Legend.Young MAX Weibo Gaming Youth Team Ji Jie Hao
파일:Top_Esports_Challengerlogo_square.png 파일:Team_WE_Academylogo_square.png 파일:Rare_Atom_Period_logo_square.png 파일:Ultra_Prime_Academy_logo_square.png
Top Esports
Challenger
Team WE Academy Rare Atom Period Ultra Prime Academy
LPL 참가팀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300px-Royal_Clublogo_square.png
<colbgcolor=#b4936a><colcolor=#ffffff> 로열 클럽
Royal Club
창단 2012년 5월
소속 리그 LDL
팀명 Royal Club(2012.5~2014.5)
Star Horn Royal Club(2014.5~2016.12)
Royal Club(2016.12~)
매니저 류펑
Fufafa
리더 푸파정
Fafa
감독
약칭 RYL
파일:RNG 로고 2017.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우승 기록
LDL
(1회)
2023 S1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4936a><colcolor=#ffffff>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중국 국기.svg 저우린
Juice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중국 국기.svg 판신
XBY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중국 국기.svg 뤄지용
xiaoka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중국 국기.svg 가오지쉬안
lanlan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중국 국기.svg [[류원캉|류원캉
Bunny
]]
파일:중국 국기.svg 장자하오
OvO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우승 기록
2023 LDL Split 1 우승
FunPlus Blaze Royal Club Top Esports Challenger
준우승 기록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 준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 준우승
Azubu Frost Royal Club
Star Horn Royal Club
KOO Tigers
2021 LDL Summer 준우승
FunPlus Blaze Royal Club Ultra Prime Academy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에서 준우승했던 원래의 로얄 클럽. 2015년 팀의 재창단 과정에서 2군 팀이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2015 시즌 문서 참조.

팀 약자는 RYL.[8]

7. 여담

8.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 레드.svgMid-Season Invitational
역대 우승팀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rowcolor=#fe0000> 2015 2016 2017 2018
파일:EDG_logo_no_background.png파일:edwardgamig-oldlogowhite.png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RNG 로고 2017.svg
Edward Gaming (LPL)
SK telecom T1 (LCK)
Royal Never Give Up (LPL)
2019 2021 2022 2023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파일:RNG 로고 2017.svg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G2 Esports (LEC)
Royal Never Give Up (LPL)
JDG Intel Esports Club (LPL)
2024 2025 2026 2027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G (LCK)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파일:LPL_2020_white1.pngLeague of Legends
Pro League

역대 우승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13 스프링 2013 서머 2014 스프링 2014 서머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OMGlogo300.png 파일:Positiv_Energy_oldlogo.png 파일:EDG_logo_no_background.png파일:edwardgamig-oldlogowhite.png
Oh My God
Positive Energy
Edward Gaming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2016 서머
파일:EDG_logo_no_background.png파일:edwardgamig-oldlogowhite.png 파일:900px-LGD_Gaming_Org_logo.png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RNG.png 파일:EDG_logo_no_background.png파일:edwardgamig-oldlogowhite.png
Edward Gaming
LGD Gaming
Royal Never Give Up
Edward Gaming
2017 스프링 2017 서머 2018 스프링 2018 서머
파일:Team WE old.pn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RNG 로고 2017.svg
Team WE
Edward Gaming
Royal Never Give Up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 2020 서머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파일:600px-FunPlus_Phoenix_oldlogo_square.png 파일:JD_Gaming.png 파일:TES 로고 2019.svg
Invictus Gaming
FunPlus Phoenix
JD Gaming
Top Esports
2021 스프링 2021 서머 2022 스프링 2022 서머
파일:RNG 로고 2017.sv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RNG 로고 2017.svg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Royal Never Give Up
Edward Gaming
Royal Never Give Up
JDG Intel Esports Club
2023 스프링 2023 서머 2024 스프링 2024 서머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JDG Intel Esports Club
}}}}}}}}} ||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 파일:LPL_2020_white1.pngLeague of Legends
Pro League

연간 어워드 최고의 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14 2015 2016 2017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OMGlogo300.png 파일:EDG_logo_no_background.png파일:edwardgamig-oldlogowhite.png 파일:RNG 로고 2017.svg
Oh My God Edward Gaming Royal Never Give Up
2018 2019 2020 2021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파일:FPX_LoL_new_logo.png 파일:TES 로고 2019.sv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Invictus Gaming FunPlus Phoenix Top Esports Edward Gaming
2022 2023 2024 2025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JDG Intel Esports Club
}}}}}}}}} ||




[1] 다른 한팀은 BLG로, 2023년 월즈 녹아웃 스테이지 8강전에서 젠지를 상대해 2:3으로 승리하였다.[2] 참고로 이 승리는 월드 챔피언십에서 3315일만에 5중국인팀이 LCK의 팀을 꺾은 기록이다.[3] 하지만 구 로얄 클럽 시절에는 한국인 용병이 있었다. 심지어 중국팀 중에서 가장 먼저 한국인 용병을 적극적으로 사용한 팀이 바로 로얄 클럽이었다. 2014년 서머 시즌부터 정글에 인섹, 서폿에 제로를 기용하였는데 이때 로얄 클럽은 롤드컵 준우승까지 한 적이 있다. 이후 삼성 화이트의 주역이었던 마타와 루퍼도 RNG에서 선수생활을 했었다.[4] 2017 WE, RNG, EDG, OMG[5] 2018 RNG, EDG, RW, IG[6] 2019 SKT, GRF, KZ, DWG[7] 2020 Mid-Season Invitational코로나19로 인하여 취소되었다. 2019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팀은 G2 Esports.[8] Star Horn Royal Club 시절에는 SHR.[9] 하지만 이제는 이게 정상이고 순혈(...)인 OMG가 비정상이라는 것이 함정.[10] 특히나 SKT의 마지막 불꽃이라 불렸던 2017년 롤드컵 4강에서의 패배는 LPL이 정상에 등극한 이후로도 많은 중국인들과 LPL팬들의 기억에서 영원히 잊지못할 비통한 패배로 여겨지고 있다.[11] 이를테면 5연 갈리오라던가, 역대급 백도어 엔딩으로 불리는 페이커 트페 백도어 대역전패 엔딩이라던가.[12] 시즌3 결승 3:0(로얄 클럽), 시즌6 8강 3:1, 시즌7 4강 3:2, 시즌9 그룹 스테이지 2:0[13] 그룹 스테이지 1패, 결승전 1패[14] 게다가 21 Worlds에서도 일정 논란이 일어났었다. 현재는 수정된 상태.[15] 2020 스토브리그 때는 유망주의 영입을 무통보 취소하는 통수를 치기도 했다.[16] 가장 욕을 먹는 부분이다. LCS와 LEC는 용병의 비중이 높은 리그니 예외로 치더라도 LCK와 비교하면 바로 표가 난다. SKT 시절부터 이어온 레전드들에 대한 대우가 좋은 T1, 삼성 시절부터 이어온 레전드들에 대한 대우가 역시 좋은 Gen.G, 프런트가 욕을 먹는 와중에도 스코어에 대한 대우만큼은 나쁘지 않은 KT, 성적이 부진한 와중에도 오랫동안 캐리라인으로 활약해준 상윤을 위해 은퇴식까지 열어준 한화생명 등. 같은 리그에서도 5년 동안 팀을 지탱해준 미스틱에게 WE가 해주는 예우를 보면 RNG와 비교하는 게 실례일 정도이다.[17] 2021년 4월 경 우지 본인이 의미심장한 이야기를 하면서 쐐기를 박았다.[18] 사실 롤드컵을 우승한 중국 팀들만 해도 뛰어난 중국 선수들의 활약도 있었지만 뛰어난 한국 선수들의 활약도 있어 한국 팬들의 찬사를 받았고, 2019 MSI 우승팀인 유럽 순혈팀(?) G2 역시 나름의 선을 지키는 트래쉬토크와 개성 강한 경기력으로 인해 악동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소비되기도 했다. 게다가 2017년부터 싹튼 갈드컵이 20년대에 한창 심화되고 전반적으로 젊은 세대에서 국가주의가 퇴조하면서, LCK나 그 소속팀에 애정을 가진 팬이라고 해서 무조건 타 리그를 적대 혹은 혐오하는 경향도 약화되고 있었다. 그러나 RNG는 세 번에 걸쳐 요즘 세태에 가장 민감한 문제인 공정성 논란을 일으킨데다, 베이징 동계올림픽 등에서 이어지는 반중정서와 그대로 맞물린 덕에 16년 이후 이어지는 RNG 특유의 중화권 순혈주의 역시 한국에서 부정적인 이미지로 고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42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4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