寂 고요할 적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宀,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1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ジャク, (セキ) | ||||||
일본어 훈독 | さび, さび-しい, さび-れる, さび-る, さみ-しい, しず-か | ||||||
- | |||||||
표준 중국어 | jì, jí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寂은 '고요할 적'이라는 한자로, '고요하다', '쓸쓸하다', '외롭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고요하다 |
음 | 적 | |
중국어 | 표준어 | jì[1], jí[2] |
광동어 | zik6 | |
객가어 | it | |
민북어 | cĭ | |
민동어 | cĭk | |
민남어 | che̍k | |
오어 | jiq(T4) | |
일본어 | 음독 | ジャク, (セキ) |
훈독 | さび, さび-しい, さび-れる, さび-る, さみ-しい, しず-か | |
베트남어 | tịch |
유니코드에는 U+5BC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JYFE(十卜火水)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宀(집 면)과 소리를 나타내는 叔(아재비 숙)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고적(孤寂)
- 대적광전(大寂光殿)
- 소적(蕭寂)
- 울적(鬱寂)
- 입적(入寂)
- 잠적(潛寂)
- 적료(寂廖)
- 적막(寂寞)
- 적멸(寂滅)
- 적묵(寂默)
- 적요(寂寥)
- 적적(寂寂)
- 적적미(寂寂味)
- 적정(寂靜)
- 정적(靜寂)
- 한적(閑寂)
3.2. 고사성어/숙어
- 공공적적(空空寂寂)
- 막천적야(寞天寂也)
- 상적광토(常寂光土)
- 온아적정(溫雅寂靜)
- 적광정토(寂光淨土)
- 적막강산(寂寞江山)
- 적멸위락(寂滅爲樂)
- 적멸지도(寂滅之道)
- 적약무인(寂若無人)
- 적연부동(寂然不動)
- 적혜요혜(寂兮寥兮)
- 침묵적요(沈默寂寥)
- 허무적멸(虛無寂滅)
3.3. 인명
3.4. 지명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菽(콩 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