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7 03:13:29

김돌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a0000, #a52a2a 20%, #a52a2a 80%, #6a0000)"
{{{#!wiki style="margin: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52a2a><tablebgcolor=#a52a2a> 파일:이순신 수결 흰색.svg이순신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a52a2a><colcolor=#fff> 소속 <colbgcolor=#fff,#1f2023>삼도수군통제사 · 선무공신
가족 아내 방수진
장남 이회, 차남 이예, 삼남 이면
맏형 이희신의 아들 이완 · 딸의 시아버지 홍가신
먼 친척 형 이광 · 19촌 이이
후손 (이봉상 · 그 외 후손)
관련 인물 친구 류성룡 · 류성룡의 제자 허균
육군 동료 (이일 · 신립 · 권율 · 이경록)
수군 동료, 부하 (이억기 · 권준 · 김돌손 · 김완 · 김억추 · 나대용 · 무의공 이순신 · 배흥립 · 안위 · 오계적 · 이영남 · 이운룡 · 정운 · 준사 · 최호 · 송희립 · 우치적 · 어영담 · 황세득 · 송여종 · 김인영 · 신호 · 원균 · 배설 · 이언량 · 류형 · 진무성)
주군 (선조 · 선조비 의인왕후 · 분조 광해군)
생애 생애 · 전투 관련 · 여담
관련 장소 이순신이 태어난 곳 한양 건천동 · 이순신 일가의 생가 아산
이순신의 묘소 장군묘 · 이순신의 사당 현충사
명량해전이 벌어진 곳 명량수도 · 노량해전이 벌어진 곳 남해 관음포
관련 사건 탄신일 · 니탕개의 난 · 녹둔도 전투 · 이몽학의 난 · 백의종군
임진왜란, 정유재란 해전 (옥포 해전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 · 사천 해전 · 당포 해전 · 당항포 해전 · 율포 해전 · 한산도 대첩 · 안골포 해전 · 장림포 해전 · 절영도 해전 · 초량목 해전 · 부산포 해전 · 웅포 해전 · 장문포 해전 · 명량 해전 · 절이도 해전 · 왜교성 전투 · 노량 해전)
관련 물건 쌍룡검 · 백원 주화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작품 장계별책 · 난중일기 · 이충무공전서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용모 · 창작물
평가 관련 기록 · 평가 · 의문점
창작물 성웅 이순신(1962) · 성웅 이순신(1971) · 난중일기(영화) · 칼의 노래 · 천군(영화) · 명량 · 한산: 용의 출현 · 노량: 죽음의 바다 · 칼의 노래(뮤지컬)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이순신 서명.svg}}}

}}}}}}}}} ||

金乭孫
생몰년도 미상

1. 개요2. 창작물에서

[clearfix]

1. 개요

조선의 인물.

무상[1]으로 음력 1597년 9월 16일에 명량 해전이 일어났는데, 수많은 왜군의 배가 오는 상황에서 이순신이 13척을 이끌고 요격에 나선 후에 왜군의 배에게 포위되는 상황에서 여러 장수들이 도망가려고 하자 이순신이 안위, 김응함 등에게 호통을 쳐 공격하도록 하면서 난전이 되어 여러 장수들도 왜군의 배를 공격했다.

이런 와중에 이순신의 배에 있다가 바다에 빠져있던 자를 보고 준사가 적장 마다시라고 지목했는데, 이때 김돌손은 이순신의 명령에 따라 갈고리로 낚아 올렸다. 마다시가 올라오자 준사가 마다시인 걸 확인하면서 그 시체를 토막내 적에게 보여 기세를 꺾었다.

2. 창작물에서

영화 명량을 바탕으로 옮긴 소설 명량에서는 제주도에서 소고기가 도착하자 병사들에게 배식했으며, 구루시마 미치후사가 배홍석을 비롯한 조선 사람들 63명의 시체를 보내면서 그 광경을 본 조태식, 오계적 등이 이들이 죽은 것을 이순신 탓으로 돌리면서 수군거리는 것을 들은 이회가 듣고 칼을 들어 수군거린 자들을 죽이려 하자 이를 말린다.

전투에서는 화포를 지휘하는 역할을 담당했고 화포를 배치할 때 오둑이가 비격진천뢰를 떨어뜨리자 똑바로 못하냐고 호통치기도 했다. 대장선을 제외한 11척이 뒤로 물러서자 욕을 내뱉으면서 이순신이 무작정 돌진해서 너무하고 따라오지 않는 장수들은 더한다면서 양 쪽을 나무라기도 했다. 전투가 끝난 후에는 오둑이가 죽은 줄 알고 슬퍼하다가 오둑이가 살아있는 것을 확인하자 기뻐했으며, 이순신의 명령에 따라 판자에 못을 박는 것으로 시신의 숫자를 새겼다.


[1] 항해 중에는 돛과 돛대를 관리하고 정박시에는 물을 긷는 일을 하는 수군 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