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미 해병대가 사용하는 제식 분대지원화기 및 돌격소총}}}에 대한 내용은 [[M27 IAR]]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M27 IAR#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M27 IAR#|]]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미 해병대가 사용하는 제식 분대지원화기 및 돌격소총: }}}[[M27 IAR]]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M27 IAR#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M27 IAR#|]]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메시에 천체 목록 Messier catalog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M1 | M2 | M3 | M4 | M5 | M6 | M7 | M8 | M9 | M10 |
M11 | M12 | M13 | M14 | M15 | M16 | M17 | M18 | M19 | M20 | |
M21 | M22 | M23 | M24 | M25 | M26 | M27 | M28 | M29 | M30 | |
M31 | M32 | M33 | M34 | M35 | M36 | M37 | M38 | M39 | M40 | |
M41 | M42 | M43 | M44 | M45 | M46 | M47 | M48 | M49 | M50 | |
M51 | M52 | M53 | M54 | M55 | M56 | M57 | M58 | M59 | M60 | |
M61 | M62 | M63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64 | M65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66 | M67 | M68 | M69 | M70 | |
M71 | M72 | M73 | M74 | M75 | M76 | M77 | <colcolor=#373a3c> M78 | M79 | M80 | |
<rowcolor=#373a3c> M81 | M82 | M83 | M84 | M85 | M86 | M87 | M88 | M89 | M90 | |
<colbgcolor=#87cefa,#44677d> M91 | M92 | M93 | M94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95 | M96 | M97 | <colbgcolor=#87cefa,#44677d> M98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99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100 | |
M101 | M102 | M103 | M104 | M105 | M106 | M107 | M108 | M109 | M110 | |
※ 붉은색 바탕은 성단, 노란색 바탕은 성운, 푸른색 바탕은 은하, 흰색 바탕은 기타 천체. |
메시에 천체 | ||||
M26 메시에 26 방패자리의 산개성단 | ← | M27 아령 성운 여우자리의 행성상성운 | → | M28 메시에 28 궁수자리의 구상성단 |
NGC 천체 | ||||
NGC 6852 독수리자리의 행성상성운 | ← | NGC 6853 작은여우자리의 행성상성운 | → | NGC 6855 망원경자리의 렌즈형은하 |
M27 아령 성운 Messier 27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9h 59m 36.340s |
적위 | +22° 43' 16.09" | |
별자리 | 작은여우자리 | |
겉보기 등급 | +7.4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행성상성운 | |
거리 | 1,200 광년[1] 376 파섹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8' × 5.6' | |
반지름 | 1.44 광년 | |
명칭 | ||
NGC 6853, M 27, Diabolo Nebula, Dumb-Bell Nebula, |
1. 개요
Messier 27 / NGC 6853아령 성운은 여우자리에 있는 행성상성운이다. 1764년 샤를 메시에가 발견하였다.
2. 역사
인류가 최초로 발견한 행성상성운이다. 1764년 7월 12일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가 발견하였다. "별이 없는 타원 모양의 성운"이라 기록하였다. 아령 성운이란 이름은 영국의 천문학자 존 허셜의 표현으로 유래되었다.3. 특징
아령성운은 지구에서 1,360 광년 떨어져 있으며, 시직경은 8', 반지름은 약 1.5 광년이다. 겉보기 등급은 7.5등급으로 맨눈으로는 볼 수 없으며, 맑고 어두운 날에 소구경 망원경으로 주변 별보다는 크면서 뿌연 빛구름만 보인다. 성운 자체의 절대 등급은 약 -0.5이며 중심 별은 6등급이다.1970년에 성운이 31km/s의 속도로 팽창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약 1만년전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했다.
아령 성운의 중심별은 백색왜성으로 태양 반지름의 0.05배, 질량은 태양 질량의 0.5배로 백색왜성 중에는 큰 편에 속한다.
아령성운의 중심부 |
4. 위치 및 찾는 방법
화살자리의 촉부분(감마성)에서 천정 방향으로 약2° 가량 올리다 보면 파인더상에서 쌍성 별 쌍성이 삼각형을 이루어 보이는데 별에서 위도를 0.1도 가량 내리면 보인다. 광공해가 없을때는 초록색과 붉은색이 매우 잘 보인다.
M27에서 서쪽으로 2° 떨어진 곳에 2~30개의 별로 이루어진 산개성단인 NGC 6830이 있다.
5. 다른 메시에 천체 목록
메시에 천체 목록 Messier catalog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M1 | M2 | M3 | M4 | M5 | M6 | M7 | M8 | M9 | M10 |
M11 | M12 | M13 | M14 | M15 | M16 | M17 | M18 | M19 | M20 | |
M21 | M22 | M23 | M24 | M25 | M26 | M27 | M28 | M29 | M30 | |
M31 | M32 | M33 | M34 | M35 | M36 | M37 | M38 | M39 | M40 | |
M41 | M42 | M43 | M44 | M45 | M46 | M47 | M48 | M49 | M50 | |
M51 | M52 | M53 | M54 | M55 | M56 | M57 | M58 | M59 | M60 | |
M61 | M62 | M63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64 | M65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66 | M67 | M68 | M69 | M70 | |
M71 | M72 | M73 | M74 | M75 | M76 | M77 | <colcolor=#373a3c> M78 | M79 | M80 | |
<rowcolor=#373a3c> M81 | M82 | M83 | M84 | M85 | M86 | M87 | M88 | M89 | M90 | |
<colbgcolor=#87cefa,#44677d> M91 | M92 | M93 | M94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95 | M96 | M97 | <colbgcolor=#87cefa,#44677d> M98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99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100 | |
M101 | M102 | M103 | M104 | M105 | M106 | M107 | M108 | M109 | M110 | |
※ 붉은색 바탕은 성단, 노란색 바탕은 성운, 푸른색 바탕은 은하, 흰색 바탕은 기타 천체. |
6. 관련 문서
[1] 오차범위 매우 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