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8 12:40:50

배재고등학교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배양전
,
,
,
,
,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배재대학교 심벌마크.svg 배재고등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광역단위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1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대광고 보인고 선덕고 휘문고
양정고 이화여고 중동고 현대고
세화여고 세화고 경희고 중앙고
신일고 배재고 한대부고 이대부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해운대고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계성고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포스코고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대전대성고 대전대신고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안산동산고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
충남삼성고
}}}}}}}}} ||

파일:강동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고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강동고등학교 강일고등학교 광문고등학교 동북고등학교
둔촌고등학교 명일여자고등학교 배재고등학교 상일미디어고등학교
상일여자고등학교 서울컨벤션고등학교 선사고등학교 성덕고등학교
한영고등학교 한영외국어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배재학당 심볼.svg 학교법인 배재학당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배재대학교 부속유치원, 어린이집
배재중학교 배재대학교
산하기관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배재학당 대천수련원

배재고등학교
培材髙等學校
PAI CHAI HIGH SCHOOL
파일:배재고등학교 로고.svg
<colbgcolor=#005aab> 교훈 크고자 하거든 남을 섬기라
개교 1885년 8월 3일 배재학당
유형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성별 남자고등학교
형태 사립
설립자 헨리 아펜젤러
학교법인 배재학당
교수 호랑이
교목 향나무
교화 모란
교장 이효준
교감 황종훈
학생 수 1,240명
(2023.03.01)
교직원 수 81명
(2023.03.01)
관할 교육청 서울특별시강동송파교육지원청
주소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로 227 (고덕동)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nopad>

1. 개요2. 학교 연혁3. 학교 상징
3.1. 배재교가
4. 학교 시설5. 학교 생활
5.1. 주요 행사
6. 운동부7. 출신 인물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8.1. 버스8.2. 지하철
9.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배재고 전경.jpg
배재고등학교 전경
파일:배재고 6.25 유공자 명비.jpg
배재고등학교 6.25 유공자 명비
배재고등학교 홍보영상 (2020)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에 위치한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이자 남자고등학교.

경신고등학교와 더불어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고등학교로 개신교계 근대 서양식 교육기관이며[1], 선교사가 설립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사학이다. 배재학당이라는 이름은 고종 황제가 직접 내린 이름으로, 인양하는 집이라는 의미이다. [2]

개교 당시부터 현재 위치에 있던 것은 아니고 원래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에 있었다.[3] 이전 당시 넓은 정동 부지가 높은 지가로 인해 안팔려 가까스로 운동장만 팔아서 이전하였고[4], 나머지에는 배재학당이 소유한 배재학당 역사박물관[5]과 배재정동빌딩 2동이 우뚝 서있으며, 옆길에는 배재공원이 조성되어있다.

2. 학교 연혁

3. 학교 상징

3.1. 배재교가

파일:attachment/baejae.jpg
[9]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가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배재학당 교가는 그 간결함강렬함 덕분에 악마의 중독성을 자랑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다른 교가는 학교를 졸업하면 그런 게 있었는지도 가물가물하지만, 배재학당 교가는 졸업하고 10년, 20년이 지나도 바로 다시 부를 수 있다. 처음에는 뭐 이런 교가가 다 있나싶지만 2년차 들어가서 숱한 조회와 2번의 배양전을 거치고 나면 이미 입에 착 달라붙어 있다. 때문에 기본적으로 2번 반복하는 교가를 기분 타고 무한 반복하는 경우까지 생길 정도다. 아들 아펜젤러(역시 배재에서 교직을 맡고,교장까지 했다)가 모교인 프린스턴 대학교의 응원가에서 멜로디를 따왔다고 한다. 학교 교표도 묘하게 비슷하다. 당연히 연세대는 배재나 프린스턴 대학교 교표를 따라한 것이고.

4. 학교 시설

정문을 배재중학교와 공유하며, 대형 강당인 아펜젤러 기념 예배당을 시작으로 효창운동장의 1.5배 크기를 자랑하는 고등학교 운동장[12], 고등학교 본관, 기숙사이자 학생식당인 우남학사[13], 자연친화적 분위기의 아늑한 우남동산, 교육지원부와 도서관, 주시경실(자습실)이 위치한 주시경관, 설립자를 기념하는 아펜젤러 동상, 정동 배재 옛터의 2채의 쌍둥이 건물 中 배재학당 서관[14] 등이 있다.

5. 학교 생활

모든 요일이 7교시이다. 6교시가 없는 이유는 채플, 동아리, 학급 활동뿐만 아니라 종교와 생활이라는 교양교과를 1, 2학년때 필수 수강하기 때문이다. 7교시가 끝난다고 학교 일과가 끝나는 것이 아니고 월.수.금 정규수업 이후엔 방과후 수업(1강)을 진행한다. 방과후 시간이 끝나면 석식시간을 가지고 이후 자습(2강)-20분 쉬는시간-자습(3강)을 가진다. 방학에도 방과후가 있고, 2개를 신청해야 한다. 그러나 2020년 이후 원격 수업으로 인해 참여율이 떨어졌으며, 등교 수업으로 복귀한 2021년에 참여율이 다시 증가했으나 예전처럼 거의 전교생이 참여하지는 않는다. 일부 요일 3교시(3학년), 4교시(1, 2학년)에는 채플시간이 있으며. 불규칙하게 목요일 6, 7교시는 동아리 활동을 하거나 창체활동, 교육을 하기도 하였으나 규칙적으로 6교시 동아리, 7교시 창체(담임시간)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2022년부터는 금요일 5, 6교시에 창체활동을 하며 한 주에 동아리 활동과 학급 활동을 각각 1시간씩 했던 이전과는 달리 격주 형식으로 한 주에 동아리 활동 2시간, 학급 활동 2시간 번갈아서 하는 중이다.

5.1. 주요 행사

6. 운동부

럭비부, 축구부, 야구부, 농구부만 이어지고 있다. [19]

특히 축구부의 역사와 전통이 깊은데 축구부는 1902년에 창단하여 1921년 제1회 전조선축구대회에 참가하였고신명철의 스포츠 뒤집기: 한국 스포츠 종목별 발전사-축구(1) 초창기 한국 축구 발전에 공헌하였다.高校蹴球(고교축구)어제와오늘 힘껏차고달린 半世紀(반세기)축구熱風(열풍) 몰고올 大統領金盃(대통령금배) (2) 高校蹴球(고교축구) 어제 오늘 또한 2016년 대통령배 대회에서 결승전에 진출했다. [20]

럭비부도 축구부 못지 않게 유명하다. 배양전의 상대인 양정고등학교와 더불어 럭비 명문이다. 요즈음 들어 거의 모든 대회에서 트로피를 휩쓰는 중이다. 모 고등학교 상대로 64 대 0으로 이겼다고도 한다. 3년 만에 2022년에 다시 배양전이 열렸는데, 40세 이상 O.B., 중학교, 고등학교 부문에서 양정고에 모두 승리하여 총 3대 1로 배양전에서 승리하였다. 특히 양정중과 배재중의 경기는 배재가 양정을 52 대 0으로 압살하였다.

7.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배재고등학교 출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8.1. 버스

8.2. 지하철

9. 기타


[1] 1905년부터 1908년까지 배재학당경신학교는 서로 연합하여 학생들을 교육했었다.[2] 종종 동문이 아닌 사람들이 배라고 쓰는 경우가 있으나 단어의 뜻이 부정적이어서 동문들이 굉장히 싫어한다. •배제: 제외시키다, 열외[3] 배재고를 비롯하여 역사가 깊은 학교들은 비슷한 위치에 모여 있었으나, 강남지역 개발이 시작되면서 하나둘 이전하였다.[4] 당시 정동 운동장 값=고덕동 전체 부지 값. 이후 옛 운동장 부지에는 주한러시아대사관이 2002년에 완공되었다.[5] 1916년, 1923년에 각각 완공한 배재학당 쌍둥이 건물의 동관과 서관 중 동관이다. 서관은 해체하여 고덕동 교사에 다시 쌓았다.[6] 이화학당의 설립자인 메리 스크랜튼 부인의 아들. 어머니와 함께 선교를 하러 한국에 왔다.[7] 배재학당의 설립이 외국인 선교사에 의해 이뤄지고, 미국 감리교 교단의 지원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일제가 함부로 제재를 가할 수 없었음.(이 덕분에 여러 독립운동의 기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음.)[8] 5번과 동일한 이유.[9] 현재는 6/8박자 버전이 아니라 2/4박자 버전을 쓰긴 하지만 노래 자체는 똑같다.[10] "라라라라"는 남성미(?)가 없어서 바꿨다고 한다.[11] 아닐 것 같지만 영어단어다! sisboombah. 미식 축구 등을 보면서 외치는 '이겨라!'는 뜻의 응원 구호라고 한다. 경기장에서 폭죽이 날아가 터지는 장면을 묘사했다고 한다.[12] 2015년에는 농구장이, 2017년에는 인조잔디 축구장이, 2018년에는 인조잔디 야구장이 만들어졌다. 예전에는 큰 운동장 가운데를 간이 가림막으로 쪼개 한 쪽은 야구장, 한 쪽은 축구장으로 사용하였으나, 이제 완전히 분리되었다. 서울의 그 어느 고등학교보다도 큰 엄청난 규모를 자랑하는 운동장이다.[13] 우남학사가 지어지기 전 이곳 부지에는 테니스장이 있었다.[14] 동관은 정동에 남아 배재학당 역사박물관으로 운영하고 있다.[15] 1, 2학년. 서울에서는 치르지 않는 6월 전국연합학력평가일에 3학년은 6월 모의고사를 보고 1, 2학년은 학력경시대회를 본다.[16] 3학년[17] 반별로 중국/일본 중 한 지역으로 선택해서 가게 된다. 2016년부터는 대만도 가기 시작했다. 최근엔 중국과 일본만 간다. 2019년 일본 불매운동의 여파로 상하이와 오사카로 예정된 수학여행이 상하이와 북경으로 변경된 적도 있다.[18] 한때 6월에 열기도 했다.[19] 열심히 하는 선수들은 일반 학생들보다 명문대에 훨씬 잘 진학한다.[20] 최종 준우승[21] 배재고등학교 정문에서 도보로 260m[22] 이 당시 54명(1,2,3학년 x 18학급)의 동문 목사들이 학교를 방문해 각 학급별로 수업을 들어간 적이 있었다.[23] 2.01,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