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16:49:09

우복

부여우복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8080> 온조왕 <colbgcolor=#fff,#000><colcolor=#002395,#fff>다루왕 · 덕좌왕
다루왕 기루왕
기루왕 개루왕 · 부여질
개루왕 초고왕 · 고이왕? · 부여우수?
초고왕 구수왕
구수왕 사반왕 · 비류왕? · 부여우복?
고이왕 책계왕
책계왕 분서왕
분서왕 계왕
비류왕 왕자 · 근초고왕
근초고왕 근구수왕
근구수왕 침류왕 · 진사왕
침류왕 아신왕 · 부여훈해 · 부여설례 · 부여홍 · 왕자
진사왕 부여진손
아신왕 전지왕 · 부여신
전지왕 구이신왕 · 비유왕
구이신왕 비유왕?
비유왕 개로왕 · 문주왕? · 부여곤지?
개로왕 왕자 · 문주왕? · 부여곤지? · 무령왕?
문주왕 삼근왕
동성왕 왕자 · -무령왕*-
무령왕 성왕 · 순타태자 · 부여사아
성왕 위덕왕 · 혜왕 · 임성태자?
위덕왕 아좌태자 · 임성태자
혜왕 법왕
법왕 무왕?
무왕 의자왕 · 부여새상 · 풍왕? · 아들 · 부여충승?
의자왕 풍왕 · 부여융 · 부여효 · 부여태 · 부여연 · 부여궁? · 부여선광? · 부여충승 · 부여충지 · 부여용
* 확실하게 부자관계가 아님이 증명됨
백제 국왕 }}}}}}}}}


優福
(? ~ 327?)

1. 개요2. 기타

1. 개요

백제왕족이자 대신이며 또한 반역자. 6대 구수왕의 아들이며 11대 비류왕의 서제(庶弟), 즉 배다른 아우였다.

321년 정월에 비류왕은 우복을 내신좌평으로 삼았다. 내신좌평이란 최고위직인 6좌평 중 하나로 왕명의 출납 업무를 맡는 등 오늘날의 국무총리급에 해당하는 직위였다. 그러나 327년 9월에 우복은 북한성에 웅거하여 모반을 일으켰다. 이에 비류왕은 군사를 보내 토벌하도록 하였다. 이후 우복에 대한 기록은 없으나 모반을 일으켰다가 진압당했으니 살아남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2. 기타

우복은 왕의 서자로써 왕위계승권을 지니지 못했는데 이에 대한 불만 때문에 비류왕에 대해 모반을 꾀한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우복이 비류왕보다 먼저 태어났으나 서자의 출신 때문에 왕위를 잇지 못하여 이를 분하게 여기고 반역을 도모했다고 보기도 한다.

비류 시조설에 의거하면 고이왕계는 선조가 우태(優台)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데 본 문서의 우복을 비롯해 8대 고이왕 대 내법좌평 우두(優豆), 고이왕의 동생 우수(優壽), 21대 개로왕 대 건무장군 우서(于西), 25대 무령왕 대 달솔(達率) 우영(優永) 등의 우씨(優氏)가 등장한다는 것에 근거해 고이왕계는 왕성이 우씨(優氏)였다는 가설이 있다.[1]


[1] 문안식, <백제의 시조전승에 반영된 왕실 교대와 성장과정 추론> , <<동국사학>>40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2004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