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26 14:44:40

빅토리야 이바노프나 세레브랴코프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external/pds27.egloos.com/f0009417_587e2900a511b.png 파일:external/blog-imgs-66.fc2.com/20140909163847ea0.jpg
원작(이미지의 왼쪽 인물)[1]
파일:external/rikukaikuu.com/003-15.jpg 파일:external/kaiotahan.com/-e1483774915269.jpg
코믹스
파일:external/youjo-senki.jp/c2l.png파일:external/youjo-senki.jp/c2r.png
애니메이션

1. 개요2. 작중 행적3. 기타4. 외부 링크

1. 개요

일본어 ヴィクトーリヤ・イヴァーノヴナ・セレブリャコーフ
러시아어 Виктория Ивановна Серебряков(Viktoriya Ivanovna Serebryakov)[2]
독일어 Witorija Iwanowna Serebrjakow
영어 Viktoriya Ivanovna Serebryakov

라이트 노벨 유녀전기히로인. 웹연재판에는 없었고, 서적판에서 새롭게 추가된 오리지널 캐릭터다.

담당성우는 카네모토 히사코(드라마CD), 하야미 사오리(애니메이션), 북미판은 지니 티라도.

주인공 타냐 데그레챠프가 지휘관으로 있는 203마도대대의 대원이자 그녀의 직속에 가까운 부관. 첫 등장 때 계급은 부사관인 하사였지만, 타냐의 추천으로 장교 코스를 밟고 사관 장교로 재임관해 서적 최신판 기준 중위까지 진급했다.

비샤(ヴィーシャ «Виша» Wischa)라는 애칭이 있지만 무대가 군대이기에 상당히 친한 훈련 동기를 빼면 세레브랴코프 하사로 불린다.[3]

2.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빅토리야 이바노프나 세레브랴코프/작중 행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빅토리야 이바노프나 세레브랴코프/작중 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빅토리야 이바노프나 세레브랴코프/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기타

원작 일러스트에서는 나름 순박한 인상이 있는 시골소녀에 가까운 미녀이고 코믹스에서는 청초한 미녀로 나오는데다가 타냐를 초반부터 보좌해온 최측근 캐릭이라는 점 때문에 타냐 다음으로 인기가 매우 높은 캐릭터이다.

그런데 애니메이션 버전에서는 원작과는 한참 거리가 있을 정도로 캐릭터 디자인이 이상하게 나와 팬들에게 많이 까였으며, 특히 눈이 이상할 정도로 부각된 디자인으로 나와 망둑어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이 붙어버렸다. 위에도 나와있듯 원작 및 코믹스에서는 미소녀 느낌이 나는 산뜻한 외모인데 왜이렇게 리파인을 했는지는 불명. 그나마 다행으로 애니에서는 천연 캐릭터로 개조된 탓인지 가슴은 꽤나 커진듯한 기분이 든다.[4] 다만, 유녀전기 미니 애니메이션에서는 SD화 디자인이 귀엽게 잘 뽑혔다는 평. 같은 제작사이자 SD 디자인을 따라간 이세계 콰르텟에서도 귀여운 외모로 나온다.[5] 첨언으로 먹방하는 모습이나 먹고 리액션하는 모습(사막의 파스타 대작전 편) 만큼은 귀엽다. 그럼에도 그림체가 너무 이질적이라 외모를 무슨 이유로 이렇게 너프먹였냐는 의견이 대다수다.

여담으로 원래 부르는 애칭은 비샤인데 다른 세계 주인공들은 뷔샤라고 부른다. 타냐는 기본적으로 비샤를 볼 곳이 군이기 때문에 성과 계급을 부르는 편. 단 코믹스 기준으로 사적일 때나 휴가 때, 전투 중 아주 가끔씩 타냐도 비샤라고 부르기도 한다

뭔가 긴가민가한 애니판과 달리 유독 코믹스에선 존경심이든 어떻든 타냐를 좋아한다는 설정이 자주 드러나는 편으로, 주변 인물들도 남편을 배웅하는 양처같다는 평가를 하며 타냐에 대해 좋지 않은 이야기가 있으면 크게 화를 내는 등 타냐와의 관계가 좀 더 강조된다. 이는 타냐도 마찬가지로 커피를 잘 타줘서 마음에 들어하는 공통 설정 외에도 코믹스에선 비샤를 나의 버디라 부르는 등 타냐의 성격이 좀 더 인간적으로 표현되는 면이 있다.

여러모로 몸매가 좋은 외모와는 다르게 먹성이 엄청난듯 하다.[6]

라인전선 초기에는 짐덩이 신임 하사관이였으나 14권까지 진행되면서 제국에서 손에 꼽을 수준의 베테랑 마도사가 되었다. 타냐와의 농담 따먹기도 수준급이고 작중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타냐도 딱딱한 호칭보다는 편하게 비샤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아졌다.

4. 외부 링크

4.1. 일본어

4.2. 영어



[1] 오른쪽에 있는 인물은 타냐 데그레챠프.[2] 세레브랴코프는 실존하는 러시아계 성씨로 серебряный(의, 은제의)에서 유래하였다. 그러나 여성 캐릭터이니 부칭과 마찬가지로 성씨도 여성형 어미를 붙여 세레브랴코바(Serebryakova, Серебрякова)라고 표기해야 한다. 즉, 올바른 표기는 '빅토리야 이바노브나 세레브랴코바' (Виктория Ивановна Серебрякова)가 된다.[3] 군이 아닌 사적으로 만날 때 코믹스판 기준으로 타냐도 비샤라고 부르기도 한다.[4] 애니판에서는 미모가 완전 너프된 것과는 정반대로, 가슴은 엄청나게 묘사된다. 특히 도입부의 비행복 장면부터 타냐에게 원피스를 선물하는 데까지 몇 장면.[5] SD 그림체 특성상 커다란 눈이 부담스럽지 않고 오히려 시너지효과를 낸 것으로 보인다.[6] 코믹스에서는 '마도사는 마력을 쓰는 데 칼로리를 소비한다'는 설정이 붙었고, 비샤는 마력량이 월등하고 마력 발산 계수가 커서 남들보다 갑절로 칼로리를 소비한다고 설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