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5 16:01:59

상한론

상한잡병론에서 넘어옴

한의학
<colcolor=#000> 개론 한의학개론, 한문
주 분야 경혈학 본초학 한방내과 원전 한방생리학 한방병리학 한방진단학 의사학
세부/연관 분야 침구학
사암침법
동씨침법
평형침법
본초학/목차
처방제형학
간계내과
심계내과
비계내과
폐계내과
신계내과
황제내경
상한론
동의보감
의학입문
각가학설

傷寒論
1. 개요2. 의의3. 여담

1. 개요

후한 시대 장사 태수로 재직했던 장중경이 썼다고 하는 고대 한의학 의서. 일반적으로 감기 등으로 대변되는, 통칭 한사(寒邪)에 의해 변화하는 인체의 생리와 병리 그리고 치료방법을 서술하였다. 상한론(傷寒論)이란 이름 자체가 "한"사, 즉 차가운 기운(감기, 바이러스성 질병)에 몸이 "상"해서 생긴 병과 그 치료에 대해 "논"한 책이란 뜻이다.

2. 의의

이 의서가 한의학의 발전에 끼친 영향은 실로 막대하여, 현재까지도 여전히 응용되고 있음은 물론이고 이를 해석하는 과정이 한의학 발전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본 한의학계에서는 황제내경을 뛰어넘는 성전 취급하고 있고[1] 한국에서도 모두의 성전까지는 아니지만 그 실용적인 면이 인정받아 국가고시에서 아예 분리된 파트로 존재하고 있는 정도.

이렇게 이 서적이 중요시되는 이유는 고대라고는 생각되지 않을 정도로 체계적으로 질병의 변화과정과 그에 따른 인체생리의 변화, 그리고 의사의 치료가 잘못되었을 때의 변화를 서술했기 때문이다. 질병이 진화한 오늘날에도 인간의 병리라는 것이 그리 쉽게 바뀌는 것이 아니니 실질적 치료에서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굳이 말하자면 수학에서 말하는 유클리드의 기하학 원론에 대비될 만한 책. 즉,이 책은 '어느 병에 뭐가 좋다'라는 단방이 아니라 실제 병의 진행과 결과를 보여주는 "임상서"이기 때문이다.인간의 병리가 바뀌지 않더라도 인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통제된 실험이 불가능했던 고대의 말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는 없다. 그러나 당시 발견한 병리와 기법의 상당수가 오늘날까지 적용된다는 것은 당시 의사들의 통찰력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후대에 이제마동의수세보원을 내기 전까지는 거의 모든 의서들이 상한론을 기초로 해서 쓰여졌다. 동의보감도 상한론의 사상을 계승발전시킨 의서. 이제마의 사상의학은 내경을 기초로 하는 사상과는 전혀 다른 사상을 따르고 있다. 보통 의서는 증세에 따라 적절한 약을 사용하여 허실을 채워주는 식이라면, 이제마는 인체를 중심으로 약을 사용하는 정반대되는 사상을 펼쳤다. 심지어 인체를 이해하는 사상도 내경 전통의 오행사상이 아닌, 유교의 사단에 기초하고 있다. 그래서 이제마의 의학사상은 당시에는 거의 이단아격인 존재였다. 이런 성격은 지금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여기에 주의할 점이 있는데, 이제마가 사용한 유교는 이제마식 유교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 동시대 활동했던 석곡 이규준(石穀 李圭晙)선생도 의사이자 유교의 철학자로, 십삼경에 주석을 달았을 정도의 학자이다. 또한 유교에 기반하여 의론을 폈다고 평가받지만 그는 철저히 기존 한의학의 가르침을 보강하는 노선을 따랐다. 따라서 유교가 사상의학의 철학적 뒷받침을 한다는 주장은 신중히 해야 한다.

이 책이 쓰인 동기가 또 뭔가 후대에 귀감이 되는데, 대략 현재의 인플루엔자 A급으로 생각되는 질병이 유행하여 일족 1/2가 사망하는(!) 크리티컬을 맛본 장중경이 의학 연구를 시작하여 다시는 그런 희생이 없도록 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한다. 장사 태수라는 그의 출신을 미루어볼 때 본인 실력보다도 그가 동원할 수 있었던 의사의 수가 많았기에 이런 훌륭한 저작이 나올 수 있었을 것이라 추정되기는 하지만 문맥 전체에서 일관성이 느껴지는 서술을 고려하면 장중경의 영향이 적다고 할 수 없는 책.

드라마 대장금에서도 지나가듯이 등장했다. 중종의 정체불명의 질환이 상한과 비슷하다 하여 상한론을 들여다봤지만 결국 비슷한 병을 알아내는 데는 실패하고 장중경이 쓴 다른 잡병에 대한 책[2]을 들여다보고서야 질환의 정체를 알게 된다는 스토리.

물론 오늘날 동양의학계에서 취급하는 상한론은 이천년전 장중경이 썼던 상한론 원본과 차이가 있을 것임이 분명하다. 의서는 물론 기본적으로 옛날 책들과 기록들은 전쟁이나 국가 멸망, 지역 파괴, 유민 이동 등에 의해 부분만 전해지거나, 내용이 흩어지거나, 심지어는 아예 없어지는 경우도 아주 잦았다. 그래서 사서에 '이 때 왕이 명해서 이런 책을 만들었다~'하는 식의 말로 책 제목은 알 수 있지만 없어져버려서 내용은 아예 알 수 없는 책들이 차고 넘치는데, 고대 한국의학계에 관련된 서적들이 대체로 그렇다. 때문에 고대 한국의학에 관한 연구는 중국 측 기록이나, 수 백 년~천 년 뒤의 기록인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의거해서 간접적으로 쥐똥만큼 있는 내용을 박박 긁어서 유추하는 정도이다. 자료의 부족함이 얼마나 심각하냐면, 당나라의 어느 동네에서 환자가 병을 못 고치자, 지나가던 신라 스님이 '우리나라에 이런 약재 있는데 이거 쓰면 좋다' 해서 약재를 구해다 썼더니 나았다~ 정도의 기록들이 단편적으로 산재해 있는 걸 긁어모을 정도다.

본래 상한론의 이름은 상한잡병론인데, 원본 상한잡병론이 전란 중 소실되었다. 나중에 서진의 의사였던 왕희(王熙)라는 자가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죽간을 모아서 정리하고, 상한론이라는 이름으로 책을 내놓기에 이른다. 그런데 문제는 이 죽간을 배열하는 과정에 있어서 왕희의 주관이 개입되었다는 점인데, 오행론 사상이 전혀 없었던 상한잡병론에 오행론적 요소가 포함되어버렸다. 이후에 오행에 비판적인 일본이나 중국 일부 의사들은 왕희가 후에 삽입한 내용을 빼고 보기도 하는데, 실제로 이러한 관점을 견지하는 중국의 후시수 교수나 일본의 토도 요시마쓰가 쓴 책을 보면 왕희가 상한론을 오염(...)시켰다며 비난을 아끼지 않는다. 아무튼 이를 기반으로 이후 송나라 때 조정에서 세운 '교정의서국'에서 여러가지 판본으로 내용이 각기 다르던 상한론을 통폐합해서, 단일 관찬본으로 내놓기에 이른다. 때문에 이 관찬본의 발간 이후에는 각 의가들이 주석을 달기는 해도 내용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고, 기존에 있던 여러 이본들도 거의 모두 없어지게 된다.

헌데 문제는 소실된 상한잡병론의 내용이 완벽히 복구되지 못했다는 것. 상한잡병론 본문의 내용은 소실되었으나 장중경이 이에 붙인 서문은 남아있는데, 서문에서는 총 16권으로 이루어져있다고 했으나 왕희가 모은 분량은 10권 분량에 불과했다. 상한론의 본 내용을 보면 '온병' 이라는 요소가 있는데, 현재 전해지는 상한론에는 온병이라는 병이 있다고만 언급될 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치법이나 처방이 전해지지 않는다. 다른 병에 있어서는 아주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치법을 서술해놓았기 때문에, 이 부분이 유실되어 우리가 볼 수 없는게 아니냐는 것. 다행히도 이 부분은 청나라 시절 의사들이 계승, 발전하면서 온병학이라는 이름으로 발전시키기에 이른다.

그런데 근현대에, 일본에서 상한론 이본이 발견되면서 일이 재밌게 돌아가기 시작한다. 이 판본은 당시의 일본 연호에 따라 '강평본(康平本)'[3]이라고 부르는데, 강평본은 교정의서국에서 발간한 통일관찬본보다 앞선 시기에 발간된 판본이기 때문에 원본 상한론에 좀 더 가깝다고 평가되었다. 이 강평본은 그 내용과 형식, 구성에 있어서 관찬본상한론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여기서 의견이 다소 갈린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유신 때 한의학을 비롯한 한학을 말살(!)하였다가, 현대에 들어서 필요성에 의해 한방의학(Kampo(Kanpō) Medicine)을 부활시켰기 때문에, 질에서는 아니더라도 짬에서(...) 한국, 중국에 다소 밀리는 경향이 있다. [4] 이러한 묘한 위치에서, 강평본이 발견된 후 이를 공식본으로 채택함으로써 "니네들이 쓰는 판본보다 원본에 더 가까운 본이 우리나라 표준본이지롱~"하는 심산이 어느 정도 반영되어 일본에서의 상한론이 그 중요성이 높아진 것일지도? 물론 상한론 자체가 매우매우 중요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급의 의서인 까닭도 있겠지만... 아무튼 오늘날 일본에서는 현대 의학에 기반하여 한방(간포) 의학을 연결 짓고 이를 바탕으로 처방하는 등, 상한론을 한&중과는 다른 방식으로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고하며 철저하고 면밀하게 개발하고 있다.

기독교에 성경이 있듯이 한의학의 바이블이라 할 만한 것이 바로 《상한론》과 《내경》이다. 그럼에도 이 둘은 내용적으로 큰 차이가 있는데, 당시 유행하던 도가사상의 영향을 깊이 받은 동의보감식의 백과사전이 황제내경이라면, 상한론은 그 당시 유행하던 어떠한 질병에 대한 실제 진료기록서이다. 전국시대 즈음에 의학은 크게 의경파와 경방파로 나뉘었다는 설이 있고 그 설에 따르면 상한론은 실전적인 처방위주의 경방파 서적이며 내경은 이론중심의 의경파 서적에 해당한다.

최근까지 한의사의 대부분이 내경이론을 따르고 있고 상한론 역시 내경을 참고하여 만들었다고 믿고 있었다. 그러던 것이 일본에서 상한론의 한 판본인 강평본이 발견되면서 상한론의 허구와 진실이 새로이 부각되었다. 내경의 일부를 참고하였다고 하던 상한론 서문의 글이 후대에 추가된 것으로 의심받고 있으며 그 강평본의 내용에 따르면 오리지날 상한론은 내경의 내용과는 꽤 큰 차이가 있었다. 음양오행을 거론한 많은 부분들이 후대에 첨가된 것으로 여겨졌으며 이로 인해 상한론과 내경의 관계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되었다.

많은 한의사들이 한의학의 뿌리를 내경이라 생각하고 곧 음양오행을 말하는 것이라고 여기고 있었지만 강평본에서 비롯된 연구에 따르면 상한론 역시 한의학의 또 다른 뿌리라고 할 수 있다. 상한론은 치밀하고 현실적인 치료방법을 추구하였고 그 안에 도가의 오행설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던 것이 당시 대세였던 의경학파들이 상한론을 이론해석을 덧붙이는 과정에서 묘하게 변질되었다는 것이다. 만약 상한론 서문이 실제로 날조된 것이라면 그 당시 상한론을 내경 아래로 놓고 싶은 의도가 있었으리라 추측해봄직하다.

모든 처방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한론과 금궤요략에 제시되는 처방군들은 약물의 가짓수가 간단하지만 사용량이 많다. 반면, 대부분의 한의사가 써왔던 동의보감이나 방약합편의 처방군들은 약량 자체의 사용량은 적지만 약물의 가짓수가 많은 편이다. 그동안 한국의 한의약은 보약 위주의 시장이었기 때문에 감기나 위급 질환에 쓰는 상한처방이 무슨 소용이냐 했지만, 최근 일본이나 한국의 젊은 의사들, 중국의 온병학에서 상한론의 처방 활용의 폭을 넓혔고 한약 시장이 단순 보약에서 질환 치료로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상한 처방이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갱년기 질환이나 불면, 우울질환 등 신경증적 증세에서 상한 처방의 유효도가 매우 높음이 일본에서 입증되고 있다.

3. 여담

참고로 이 책에서 처음 쓰인 것으로 보이는 글자가 하나 나오는데 그것은𠘧(유니코드 20627)이다. 이는 几(책상 궤, 유니코드 51E0)와는 다른 글자로 두 번째 획 끝을 보면 그 차이를 알 수 있다. 뒷목과 어깨가 뻣뻣한 증상을 묘사하는 의태어이다. 읽는 방법은 성무기 이래로 '수'라고 하였으나, 요즘 상한론 해설서에는 '긴', '견' 등의 독음도 제시하고 있다.

cf. 해당 글자는 설문해자와 상한론에서 나온다.
참고로 설문해자와 상한론은 저작 시기가 모두 후한시대지만, 설문해자가 더 이전에 나온 책이다.

鳥之短羽飛𠘧𠘧也。象形。凡𠘧之屬皆從𠘧。讀若殊。
새가 짧은 깃털로 나는 것을 수수라 한다. 모양을 본떴다.
무릇 '𠘧'의 무리는 모두 '𠘧'를 따른다. (𠘧,㐱,凫의 부수를 𠘧로 정했다는 뜻).
읽는 것은 '殊'와 같다. ('殊' : shū')

따라서 위 주장처럼 긴, 견이라고 발음해야 할 근거는 그다지 없다고 본다.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매번 등장하며, 의술 특기를 선사해주는 책으로 등장하고 후기 시리즈에서는 수명연장 아이템으로 청낭서, 태평청령도와 함께 3대 의서로 나와주신다. 수명 짧은 곽가라던지 오나라 인재들에게 있어 매우 필요한 아이템.

모바일 게임 삼국지 조조전 온라인에서는 '상한잡병론'이라는 이름으로 7성급의 최고급 보조구 보물로 나온다. 그런데 성능은 화계 책략 피해량 +35%라는 엉뚱한 효과.
[1] 이는 대놓고는 말하지 않지만, 중국 송나라에서 표준화된 판본보다 더 오래된 "강평본"이 일본에서 발견된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에 대해선 후술함[2] 금궤요략이라는 책이다. 상한론도 금궤요락도 내용이 흩어졌다가->다시 모아 편집했다가를 반복했다가 송나라 때 "교정의서국"에 의해 엮인 것이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것이다. 때문에 저작연도와, 실제로 상한론과 동시대에 장중경에 의해 만들어졌는지는 확신할 수 없다. 하지만 오늘날 동양의학계에서는 상한론과 세트(...)라고 여겨져서 함께 '상한금궤'라고도 일컫는 책이다. 상한론에서는 당장 사람이 죽어나갈 대병(大病)을 다루고, 금궤요략은 위험도 다소 떨어지지만 종류가 다양한 갖가지 잡병(雜病)을 다룬다. 상한론은 상대적으로 중한 병을 다루며 병의 경과가 비교적 일정하기 때문에 여섯 단계에 따라 체계적이고 간결하게 정리가 되어 있으나, 금궤요략은 위에서 말한대로 잡다한 갖가지 병을 싹 다 수록했기 때문에 양도 많고 체계성도 떨어진다.[3] 康平 : 코헤이. 1058년부터 1065년까지 사용된 연호[4] 물론 일본의 매우 발전한 의학수준과, 특유의 집요함(...)에 따라, 오늘날의 일본 한방(간포) 의학은 타국의 동양 의학계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과 발전성을 지닌다. 질로 따지면 결코 한&중에 밀리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