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2 11:49:19

세원(버스 기업)

양산여객에서 넘어옴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시내/농어촌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0 -10px;"
<colbgcolor=#f15a38><colcolor=#000> 창원시 · · · · · · · · · · <colbgcolor=#f15a38> 진주시 · · ·
김해시 · · · · 사천시 ·
양산시 · 통영시 · ·
밀양시 거제시 ·
창녕군 고성군 ·
함안군 남해군
의령군 · 하동군 ·
에이투어
합천군 · 산청군 ·
거창군 함양군
}}}}}}}}} ||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버스 회사
시내버스 회사
U-bus 회원사
한성교통 울산여객 남성여객
유진버스
U-bus 회원사 이외
대우여객 학성버스 세원
마을버스 회사
제일여객 검단마을여객
우리버스 무거교통 동구운수
지선버스 회사
웅촌여객 호계민영버스 시민교통
태화여객 서광여객 우리버스
없어진 회사
경진여객 성안마을버스 신도여객
상대고산 마을버스 약사마을버스 방기마을버스

파일:세원 로고.png
정식명칭 주식회사 세원
한문명칭 株式會社 世元
대표자명 김창호
설립일 1980년 1월 26일
업종명 운수업
상장유무 비상장
기업규모 중기업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차고지3. 운행 노선4. 차량운용대수5. 면허 체계6. 보유차량

1. 개요

경상남도 양산시버스 회사. 본사는 양산시 물금읍 메기로 114, 양산공영차고지 (증산리) 내 소재.[1]

원래 경남버스의 자회사[2]였으나 계열분리되었다.

본래 '양산여객'이라는 상호로 설립되어 시외버스와 양산군 농어촌버스를 운행하던 회사였다. 이후 1990년 현재의 사명인 '주식회사 세원'으로 사명을 변경하여 운행하다가 1996년 3월에 양산군이 양산시로 승격되면서 농어촌버스 노선들은 자연스럽게 양산시내버스가 되었다. 2017년 7월에 시외버스 사업을 철수했다.

현재 하드캐리가 근무하고 있는 회사이기도 하다.

2. 차고지

3. 운행 노선

3.1. 양산시 시내버스

번호 기점 종점 배차간격(분 또는 일 횟수) 비고
도시형 1 원동역 용선 09:00~18:00 (12:00~13:00 미운행) / 수,일요일,명절 연휴 미운행 수요응답형 콜버스
도시형 5(출퇴근) 양산역환승센터 어곡산단 07:15~08:05(2회) / 17:30~19:00(2회) 출근 2회차 어곡사거리(신송)~어곡산단 운행 / 퇴근 1회차 어곡사거리(신송)~어곡산단 운행 / 토.일.공휴일 미운행
도시형 5 신평터미널 내원사입구 08:35~16:30 (11:40~12:40 미운행) 수요응답형 콜버스
도시형 6(출퇴근) 석계한성아파트 석계산단 07:10~08:40(2회) / 17:20~19:00(2회) 토.일.공휴일 미운행
도시형 6 상북면행정복지센터 대석.장제 09:00~16:30 (11:40~12:40 미운행) 수요응답형 콜버스
도시형 7 원동역 원동(어영) 07:05~19:40 (12:00~13:00 미운행) 수요응답형 콜버스
도시형 8 원동역 원동(태봉) 일 7회 19:35 콜승객 있을시 운행
8 증산차고지 석산동원2차 15
10 증산차고지 상북(내석) 70
11 양산역
환승센터
신평터미널 40 푸른교통공동 배차
12 부산(명륜) 신평터미널 20~25 푸른교통과 공동 배차, 심야 운행
12-1 부산(명륜) 신평터미널 30~35 푸른교통과 공동 배차, 심야 운행
13 신평터미널 KTX울산역 25 푸른교통과 공동 배차
순환20 양산역 양산역 30 시청.계석 방향
순환20-1 양산역 양산역 30 석산신도시.금오마을 방향
21 북정동 부산(덕천) 20~30 심야 운행
23 북정동 부산(덕천) 13~15 심야 운행
24 어곡동(용선) 양산역 20~30
25 어곡동(용선) 양산역 40~45
25-1 어곡동(화룡) 양산역 일 8회
26 북정동 물금역 30
32 북정동 증산차고지 24~40
32-1 북정동 증산차고지 25~40
33 증산차고지 양산역
환승센터
30
순환40 사송역 환승센터 사송신도시 15
52 양산역
환승센터
용당마을 30~60 푸른교통과 공동 배차
57 양산역
환승센터
영산대 60
87 양산역
환승센터
명곡동(동원과기대) 일 14회
113 양산역
환승센터
상북(대석) 일 5회
128 북정동 증산차고지 40
128-1 북정동 증산차고지 20
137 증산차고지 원동(중리마을) 일 5회
138 북정동 원동(소원동) 일 8회
1000 양산역
환승센터
태봉 일 4회 에덴벨리, 배내골 지역 운행
1100 양산역
환승센터
부산
(명륜역)
일 18회
1200 북정동 부산
(명륜역)
17~34
1300 증산차고지 부산
(명륜역)
18~30
1500 증산차고지 부산
(명륜역)
20~30
3000 양산역
환승센터
KTX울산역 일 18회 푸른교통과 공동 배차, KTX리무진
5000 물금역 영산대학교 일 8회 푸른교통과 공동 배차 예정

3.2.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1703 태화강역 울산터미널 - 번영사거리 - 공업탑 - 옥동행정복지센터 - 신복로터리 - 범서읍행정복지센터 - 울밀로 - 울산역 우성스마트시티뷰 1일 16회
1713 태화강역 울산터미널 - 번영사거리 - 공업탑 - 옥동행정복지센터 - 신복로터리 - 울밀로 - 언양시외버스터미널 - 언양성당 - 울산면허시험장 - 상북면행정복지센터 - 궁근정 석남사 28~35
1723 태화강역 울산터미널 - 번영사거리 - 공업탑 - 옥동행정복지센터 - 신복로터리 - 울밀로 - 언양시외버스터미널 - 언양읍성 - 작천정입구 - 중남초등학교 - 가천 - 방기 신평터미널 28~35
1733 태화강역 울산터미널 - 번영사거리 - 공업탑 - 옥동행정복지센터 - 신복로터리 - 울산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언양시외버스터미널 - 언양경남아너스빌 양우내안애 1일 16회

차량번호는 울산 71 자 24##를 사용한다. 울산 영업소는 원래 언양임시시외터미널에 위치해 있다가 면허시험장 인근으로 이전했는데 울산영업소는 세원의 울산시내버스 면허상 등록지이기도 하다.[5] 원래 양산 회사인데다 울산 업체들과 전혀 공동 배차를 하지 않기 때문에(그리고 정작 울산 시내와 언양 읍내를 들쑤시고 다니는 버스는 울산 면허가 없는 푸른교통이 더 많기 때문에) 의아해할 사람들도 많겠지만, 이것도 나름의 역사가 있는 면이다.

내용에서 다소 벗어나는 이야기지만, 상황이 벌어지게 된 배경을 이야기하자면 도농분리시 당시에는 울산군 지역에서 면허(농어촌버스)를 가진 회사는 대우여객이 유일했다. 게다가 다른 울산지역업체는 남창과 모화, 웅촌쪽으로 가는 노선을 빼고는 울산시 지역을 단 1mm도 안 벗어났다.[6] 게다가 지금은 북구에 속하는 정자와 강동도 울산군에 속해있었고 남창에서 조금 더 벗어나는 온산지역 쪽과 웅촌은 물론이고 심지어 시내와 바로 붙어있는 범서도 울주군에 속해있는데 이 부분도 대우여객이 커버하다보니 회사규모에 비해서 커버구역이 너무 넓어서 교통수요에 공급이 항상 부족한 상태였다.

하지만 세원의 경우에는 시외버스도 겸하고 있었던데다가 시내버스로도 양산 시계와 가까운 언양권에는 쉽게 진입이 가능했다.[7] 게다가 대우여객은 울주와 양산과의 접속보다는 울주와 울산시내와의 접속에 더욱 신경을 쓰고 있었다.[8] 과거 울산이 경상남도에 소속되어 있으면서 울산시와 울산군(지금의 울주군)으로 나뉘었던 시절 언양터미널 - 울산시외버스터미널, 석남사 - 언양시외버스터미널 - 울산시외버스터미널, 통도사 신평터미널 - 울산시외버스터미널 시외버스 노선을 가지고 있었는데, 1995년 도농통합이 이루어지면서 울주군과 울산시가 통합하자 해당 시내버스 면허를 취득하면서 시외버스 노선을 시내버스 노선으로 전환하여, 513번, 515번, 516번의 번호를 부여받았고, 2003년 개편으로 각각 1703번, 1713번, 1723번으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른다.[9]

그러나 도농통합전 시외버스로 인가가 났을 때부터 울산 시내버스 업체[10]의 텃세와 반발이 대단했고, 대우여객과 공동운수협의회 회원사들이 경남도지사를 고소해[11] 2번이나 대법원까지 올라가는 치열한 소송전을 벌인 끝에 행정고시 및 공무원 공채 지문으로까지 나온[12] 경업자소송[13]과 법규명령에 관련한[14] 중요한 판례를 남기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거기다 모회사였었던 경남버스가 울산 시내버스 사업에서 철수하고 자기들은 울산 면허를 가지고 있는 김에 아예 KTX울산역 리무진 급행 노선을 낙찰받아 울산시를 더욱 깊숙하게 운행하게 되었으나 2015년 7월 13일에 1703번에 운행하던 뉴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를 시외사업부로 이전하고, 같은해 9월 15일부로 울산여객, 신도여객에 사업권을 양도하게 되면서 점차 위축되었다.[15] 그래도 이후 2019년 12월 7일에 1733번이 신설되면서 울산쪽 운행 노선이 늘어났다.

3.3. 시외버스(폐선)

울산 - 마산 시외노선, 2005년 4월 6일 경남버스로 부터 인수 ~ 2010년 1월 11일 삼도고속에 매각함. 참고(시외버스 마산-울산)

창원 - 마산 - 천안 시외노선, 2006년 5월 24일 인수 ~ 2010년 1월 11일 삼도고속(현 태영고속)에 매각함.[16]

부산 - 신평(통도사) - 언양 시외노선, 2017년 7월 15일 부산 - 신평(통도사) - 언양 노선을 푸른교통에 매각하고 시외버스 사업에서 철수함. 다만 시외버스에 먼저 적용했던 도색은 이후 좌석버스 도색으로 굳어져서 현재도 사용하고 있다.

4. 차량운용대수

<양산노선><울산노선>

5. 면허 체계

6. 보유차량

6.1. 현재 보유차종

6.1.1. 현대자동차

6.1.2. 범한자동차

6.1.3. 스카이웰

6.1.4. 우진산전

6.1.5. 기아

6.2. 과거 보유차종

6.2.1. 현대자동차

6.2.2. 자일대우버스

6.2.3. 기아

6.2.4. KG모빌리티


[1] 2007년 본사 이전 전까지는 중부동에 있는 구 양산시외버스터미널을 차고지로 사용했고 등록상 본사 소재지도 해당 위치였다.[2] 경남고속이 경남버스 시절 소유하던 백화점 이름부터가 세원백화점이었다. 참고로 세원백화점이 있던 자리는 명륜역 앞으로 현재의 롯데백화점 동래점이다.[3] 전기충전소가 설치되어있다.[4] 가스충전은 태화강역 충전소에서 한다.[5] 울주군 상북면 봉화로 295.[6] 지금도 대우여객 언양영업소를 인수 후 언양쪽 일반시내버스는 울남이 형식상 분리소유하고 있을 뿐 실제로는 독점운영이다. 다만 2022년에 신설된 언양-혁신도시간 노선인 358번을 유진버스가 맡게 되면서 더 이상 독점운영까지는 아니게 되기는 했지만 유진버스도 울남의 계열사이면서 이미 전담노선제를 시행운영(2019년)하는 시점인데다가, 언양권 노선 인수시점(2011년)으로도 10년은 더 넘었다. 어느 정도였나면 공업탑차고지가 있었을 정도였고, 현재의 3권역은 다운동까지만, 2권역은 모화쪽을 제외하면 산전이 끝인 노선이 많았다.[7] 이 부분은 푸른교통에서도 공통된 부분이다.[8] 당연할 수 있지만 세원의 울산 면허운행 기사들은 양산 면허로 운행하는 운전기사분들과 친분이 깊은 모습을 보여준다.[9] 지금은 입석금지 본격 시행 때문에 시내직행좌석으로 전환, 전 차량 유니버스 엘레강스 CNG로 운행중이지만 예전에 일반(도시형)좌석일 때에도 시외버스마냥 출발시각표가 붙어있었다.[10] 특히 언양의 농어촌버스 업체였던 대우여객은 밥그릇을 뺏길 처지였다. 하지만 현재는 경영난으로 언양영업소를 울남에 처분했다는 점에서 아이러니. 하지만 그 울남이 기존의 대우여객 언양영업소를 인수하고 결국 자본잠식에 빠져버렸다는 것에서 대우여객이 냅다 손 털고 나온 것과 같은데 그동안 어찌어찌 버틴 게 용했을 지경이다.[11] 실질적으로는 경남버스(세원은 당시 계열사)와 울산시내버스 회사들간의 소송이지만, 형식상으로는 면허를 내준 행정청(=경남도지사)을 고소해야 행정소송이 이루어진다. 판결문 안에서 정작 피고인 경남도지사의 ㄱ자도 안나오고 원고(대우여객)의 노선과 보조참가자(경남버스, 세원 등)들의 노선들에 대해서만 거론되는 이유, 울산시장이 아닌 경상남도 도지사를 고발한 이유는 당시는 울산이 광역시가 아니라 경상남도 울산시였던데다가 도지사가 면허를 내줄 수 있는 시외버스 면허였기 때문이다. 만약 현재 이런일이 벌어진다면 시외버스 노선의 경우는 피고가 경상남도 도지사가 되고, 시내버스 면허의 경우는 피고가 울산광역시 시장이 된다.[12] 2009 행정고등고시 2차 행정법 제1문. 2014 지방직 9급공채 행정법총론. 2019년 국가직 7급공채 행정법.[13] 2001두4450, 시외버스 인가에서 제3자이지만 경업자라 할 수 있는 시내버스 업체(대우여객)의 소송 정당성을 인정(적극)하면서 '시외버스(세원)와 시내버스(대우여객)는 서로 별개'라고 판단하여 소송의 정당성을 인정하지 않았던 부산고법(원심)의 판결을 파기환송하였고(대우여객 승소), 나머지 울산 시내버스 회사들은 별 연관 없어 기각(소극)하면서 패소 확정. 이전의 판례는 적용되는 법조항이 다르면 별개의 건이라고 판단했는데, 이것을 적용되는 법조항이 다르더라도 같이 판단해 볼 수 있다고 하면서 그동안의 판례와 다른 판결을 낸 것이다.[14] 2003두4355, 구.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의 행정규칙을 대외적 구속력이 있는 법규명령으로 인정하여, 운수사업법의 행정규칙을 행정청 내부의 사무규칙(내규)으로만 보았던 부산고등법원(원심)의 판결을 파기환송(원고 인용)하였다(대우여객 승소). 사족을 달자면 그동안 사법부에서 총리령, 부령의 형식을 띈 행정규칙법규로 보지 않았는데, 이것을 이 판결에서 법규로 판단하면서 사실상 판례를 변경한 수준이지만, 정작 판결문에다가 '이거는 기존 판례(94누14148 전합)뒤엎는 거 아님요'라고 했는지라 고시생들과 업계인들에게 빅엿을 먹이기로 유명하다.[15] 얼마 안가서 울산여객 운행분 1대가 신도여객으로 넘어가면서 전차량 신도여객에서 운행하게 되었지만 2021년 8월 31일부로 신도여객이 폐업 및 대우여객에 인수합병되면서 대우여객에서 운행하고 있다.[16] 이후 2011년 9월초 금아여행에 인수되었다가 이듬해 연말 다시 창원고속(현 태영고속)으로 돌아왔으며, 2013~14년경에 다시 경전고속에 인수되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다.[17] 1대는 113번과 돌려쓰기 하는 차량이다.[18] 8404호는 현재 결번이다.[19] 8500~10호, 8562~8569호, 8581~8583호, 8586~8593호만 사용하고있으며 8515호부터는 마을버스업체들이 사용하고 있다.[20] 9800~09호[21] 도시형 버스로 인해 발급된 신규 면허. 1000~1001호는 5000번 면허이며, 나머진 도시형 면허[22] 1000번에 투입하며 양산시에서 지원해서 뽑은 차량이다. 해당 차종은 특이하게 자동변속기가 탑재됐다.[23] 과거에는 전중문 폴딩형이었고 양산여객 완행버스를 운행했었다.[24] 울산 좌석버스에서 운행한 전력이 있다.[25] 전부 경남버스 출신 차량으로, 울산 좌석버스 노선에서만 운행했다. 구도색 차량도 있었고, 신도색으로 재도색한 차량도 있었다.[26] 경남버스 출신 중고차량으로 21도색으로 재도색하고 양산 직행좌석버스에서 운행했다.[27] 경남버스 출신 중고차량을 운행한 전력이 있다. SB33A와 달리 시외노선에서만 운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