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1 20:50:56

소해헬리콥터

소해헬기에서 넘어옴

1. 개요2. 특징3. 소해헬리콥터의 종류4. 소해함과의 비교5. 한국 해군의 소해헬리콥터 도입사업6. 관련 문서

1. 개요

소해헬리콥터는 소해함과 마찬가지로 바다에 설치된 적의 기뢰를 제거해 아군의 해상 작전 수행능력을 상승시키는 임무를 담당하는 무기체계이다.

2. 특징

대잠헬기와는 다목적 헬기를 개수한 해상작전용 헬기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그 외에는 큰 연관점은 없다. 대잠헬기는 대 잠수함 작전을 위한 무기체계고, 소해헬기는 기뢰를 제거하기 때문이다. 사실상 대잠헬기가 바다의 대전차팀이라면, 소해헬기는 EOD인 셈.

항공소해장비가 헬기 탑재형 대잠장비보다 크기가 커서 일반적으로 소해헬기는 대잠헬기보다 체급이 크다. 예를 들면, 가장 큰 대잠헬기는 AW-101 멀린 헬기[1]인데, 미군이 운용하는 MH-53 소해헬기는 이것보다 더 크다. 반면에 MH-53 헬기는 너무 커서 대잠헬기로 운용되지 않는다. 그나마 미군이 MH-60 소해형을 개발중이지만 RAMICS라는 계류기뢰 제거장비[2]의 개발이 기술력 부족으로 좌초되면서 난항을 겪고 있다. RAMICS 자체는 한번 취소되었으나 NAMMO와 미 해군 합작하 개발중인 30mm 초공동포탄이 개발중인 상황이라 부활할 가능성은 있다. 또한 별개로 ALMDS(기뢰탐색장치)와 AMNS-AF(기뢰무력화체계)는 지속적으로 진행중이다.[3]

소해헬기가 크기 때문에 대부분의 해군에게 소해헬기의 베이스가 되는 체급의 헬기의 도입가와 유지비는 큰 부담이 되며, 때문에 대부분의 해군들은 소해헬기 없이 소해함만으로 소해작전을 실시하는 형편이다.

3. 소해헬리콥터의 종류

미 해군MH-53를 소해헬기로 운용한다. MH-60 소해형의 개발이 지연되었던 관계로 앞으로도 운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해상자위대 역시 이 기종을 운용중이며, 현재는 AW-101에 소해장비를 인티그레이션하는 방식으로 MH-53을 대체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대한민국 해군에서 수리온 기체를 베이스로 한 소해 능력을 지닌 파생형을 개발중에 있다.

4. 소해함과의 비교

5. 한국 해군의 소해헬리콥터 도입사업

2008년에 2012년 도입을 목표로 4대의 소해헬기를 도입하는 사업을 추진했지만# 가장 저렴한 MH-60이 상술한대로 신형 소해장비의 개발이 좌초되었고, 다른 후보인 AW-101이 너무 비싼 탓에 때문에 사업이 2018년까지 지연되었다.#

파일:IMG_20191023_221826.jpg
그렇게 한참을 기다린 결과 이젠 해외 도입을 접고 수리온을 개조해서 써먹을 모양인 걸로 보인다. 2019 MADEX에서 개념도가 공개 되었다.

개발이 2021년 3월 결정되었다.

2021년 12월 23일 본격적으로 개발에 착수했다.#

6. 관련 문서


[1] 소해도 한다.[2] 계류기뢰는 원래 물 속에 소해구를 집어넣어 계류기뢰와 바다 밑바닥의 추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끊어 기뢰를 수면으로 올라오게 한 뒤 기관포로 파괴하는 절차로 제거한다. RAMICS는 물 속에서도 탄속이 줄어들지 않는 초공동탄을 개발해 계류기뢰의 케이블을 제거하는 절차를 생략하면서도 기뢰를 빠르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였다.[3] 이 때문에 LCS의 소해작전능력 확보에 차질을 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