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직업별 스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전 캐릭터 공통 스킬 | |||||||||||
[[귀검사/남자/공통스킬| | [[웨펀마스터(던전앤파이터)/스킬| 웨펀마스터 | [[소울브링어(던전앤파이터)/스킬| 소울브링어 | [[버서커(던전앤파이터)/스킬| 버서커■ | [[아수라(던전앤파이터)/스킬| 아수라■ | [[검귀(던전앤파이터)/스킬| 검귀 | |||||||
[[귀검사/여자/공통스킬| | [[소드마스터(던전앤파이터)/스킬| 소드마스터 | [[다크템플러(던전앤파이터)/스킬| 다크템플러 | [[데몬슬레이어(던전앤파이터)/스킬| 데몬슬레이어 | [[베가본드/스킬| 베가본드 | [[블레이드(던전앤파이터)/스킬| 블레이드■ | |||||||
[[격투가(던전앤파이터)/남자/공통스킬| | [[넨마스터/남자/스킬| 넨마스터 | [[스트라이커(던전앤파이터)/남자/스킬| 스트라이커 | [[스트리트 파이터(던전앤파이터)/남자/스킬| 스트리트 파이터 | [[그래플러(던전앤파이터)/남자/스킬| 그래플러 | ||||||||
[[격투가(던전앤파이터)/여자/공통스킬| | [[넨마스터/여자/스킬| 넨마스터 | [[스트라이커(던전앤파이터)/여자/스킬| 스트라이커 | [[스트리트 파이터(던전앤파이터)/여자/스킬| 스트리트 파이터 | [[그래플러(던전앤파이터)/여자/스킬| 그래플러■ | ||||||||
[[거너(던전앤파이터)/남자/공통스킬| | [[레인저(던전앤파이터)/남자/스킬| 레인저 | [[런처(던전앤파이터)/남자/스킬| 런처 | [[메카닉(던전앤파이터)/남자/스킬| 메카닉 | [[스핏파이어(던전앤파이터)/남자/스킬| 스핏파이어 | [[어썰트(던전앤파이터)/스킬| 어썰트 | |||||||
[[거너(던전앤파이터)/여자/공통스킬| | [[레인저(던전앤파이터)/여자/스킬| 레인저 | [[런처(던전앤파이터)/여자/스킬| 런처 | [[메카닉(던전앤파이터)/여자/스킬| 메카닉 | [[스핏파이어(던전앤파이터)/여자/스킬| 스핏파이어■ | [[패러메딕(던전앤파이터)/스킬| 패러메딕■ | |||||||
[[마법사(던전앤파이터)/남자/공통스킬| | [[엘레멘탈 바머/스킬| 엘레멘탈 바머 | [[빙결사/스킬| 빙결사 | [[블러드 메이지(던전앤파이터)/스킬| 블러드 메이지 | [[스위프트 마스터/스킬| 스위프트 마스터 | [[디멘션 워커/스킬| 디멘션 워커■ | |||||||
[[마법사(던전앤파이터)/여자/공통스킬| | [[엘레멘탈마스터(던전앤파이터)/스킬| 엘레멘탈마스터 | [[소환사(던전앤파이터)/스킬| 소환사 | [[배틀메이지(던전앤파이터)/스킬| 배틀메이지 | [[마도학자(던전앤파이터)/스킬| 마도학자■ | [[인챈트리스(던전앤파이터)/스킬| 인챈트리스■ | |||||||
[[프리스트(던전앤파이터)/남자/공통스킬| | [[크루세이더(던전앤파이터)/남자/스킬| 크루세이더■ | [[인파이터(던전앤파이터)/스킬| 인파이터 | [[퇴마사(던전앤파이터)/스킬| 퇴마사 | [[어벤저(던전앤파이터)/스킬| 어벤저 | ||||||||
[[프리스트(던전앤파이터)/여자/공통스킬| | [[크루세이더(던전앤파이터)/여자/스킬| 크루세이더■ | [[이단심판관/스킬| 이단심판관 | [[무녀(던전앤파이터)/스킬| 무녀 | [[미스트리스(던전앤파이터)/스킬| 미스트리스 | ||||||||
[[도적(던전앤파이터)/공통스킬| | [[로그(던전앤파이터)/스킬| 로그 | [[사령술사/스킬| 사령술사 | [[쿠노이치(던전앤파이터)/스킬| 쿠노이치 | [[섀도우 댄서(던전앤파이터)/스킬| 섀도우 댄서 | ||||||||
[[나이트(던전앤파이터)/공통스킬| | [[엘븐나이트/스킬| 엘븐나이트 | [[카오스(던전앤파이터)/스킬| 카오스■ | [[팔라딘(던전앤파이터)/스킬| 팔라딘 | [[드래곤나이트(던전앤파이터)/스킬| 드래곤나이트■ | ||||||||
[[마창사/공통스킬| | [[뱅가드(던전앤파이터)/스킬| 뱅가드 | [[듀얼리스트(던전앤파이터)/스킬| 듀얼리스트 | [[드래고니안 랜서/스킬| 드래고니안 랜서 | [[다크 랜서/스킬| 다크 랜서 | ||||||||
[[총검사/공통스킬| | [[히트맨(던전앤파이터)/스킬| 히트맨 | [[요원(던전앤파이터)/스킬| 요원 | [[트러블 슈터/스킬| 트러블 슈터 | [[스페셜리스트(던전앤파이터)/스킬| 스페셜리스트 | ||||||||
[[아처(던전앤파이터)/공통스킬| | [[뮤즈(던전앤파이터)/스킬| 뮤즈■ | [[트래블러(던전앤파이터)/스킬| 트래블러 | [[헌터(던전앤파이터)/스킬| 헌터 | [[비질란테(던전앤파이터)/스킬| 비질란테 | [[키메라(던전앤파이터)/스킬| 키메라■ | |||||||
외전 | [[다크나이트(던전앤파이터)/스킬| 다크나이트 | [[크리에이터(던전앤파이터)/스킬| 크리에이터■ | ||||||||||
범례 | 물리 공격형, 마법 공격형, 하이브리드형, 버퍼 직업, 미구현된 직업 ■고정 데미지 |
1. 개요
스페셜리스트의 스킬을 설명하는 문서입니다. 스킬 분류는 공식적인 분류가 아닌, 편의상 분류해 놓은 것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마스터 레벨: SP로 올릴 수 있는 최대 레벨을 의미합니다.
- 최대 레벨: 장비/아바타/스킬/크리쳐 등을 통해 올릴 수 있는 최대 상한 레벨을 의미합니다.
- 스킬 기본 정보 작성시 템플릿:던전앤파이터/스킬을 참고하여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빔 슬래쉬, 코어 실드를 비롯한 전직 전 스킬들은 총검사/공통스킬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전직 후 스킬
2.1. 보조 스킬
2.1.1. 인텐션
| 패시브 | |||
인텐션 스택을 사용하여 일부 스킬을 강화할 수 있고, 공격 시 인텐션 게이지를 습득할 수 있다. [인텐션 시전 시, 범위가 증가하는 스킬 목록] 코어 실드, 스퀘어리, 어트랙트 에뮤니션 [인텐션 시전 시, 홀드 시간이 증가하는 스킬 목록] 테이저, 이미션, 버스트 필드, 에너지 바운스 [인텐션 시전 시, 추가 조작이 사라지는 스킬 목록] 블랙 시드 | ||||
습득 레벨 | 15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1 | 최대 레벨 | 1 | |
시전 시간 | - | 쿨타임 | - | |
SP소모 | 0 | 무큐 소모량 | - |
스킬 옵션 | |
인텐션 최대 스택 수 | 5개 |
스킬별 게이지 습득량 | |
기본 공격 | 7% |
대시 공격 | 20% |
점프 공격 | 10% |
빔 슬래쉬 | 15% |
코어 실드 | 10% |
로테이션 웨이브 | 20% |
테이저 | 10% |
스퀘어리 | 10% |
엑소셋 | 20% |
일렉트릭 필러 | 20% |
이미션 | 20% |
어트랙트 에뮤니션 | 20% |
라이트닝 슬래쉬 | 30% |
디바이드 어쓰 | 40% |
버스트 필드 | 50% |
에너지 바운스 | 30% |
디스펄션 | 40% |
라이트 브랜디쉬 | 40% |
CEAB-2 | 40% |
익시드 | 100% |
블랙 시드 | 40% |
블랙 호라이즌 | 100% |
(범위가 증가하는 스킬 강화 시) 준비 완료! / 준비됐다!
(홀드 시간이 증가하는 스킬 강화 시) Addition!
(홀드 시간이 증가하는 스킬 강화 시) Addition!
적 공격으로 게이지를 습득하여[1] 스택을 쌓고 스택을 사용하여 일부 스킬을 강화하는 식으로, 디멘션 워커의 오버센스와 유사하다. 인텐션 미사용 시 푸른빛 이펙트로 나오고, 인텐션 사용 시 붉은빛 이펙트로 변경된다.
최대 스택 수는 5개지만 스택 5개를 다 채운 상태에서 게이지가 100%로 차올랐을 때 인텐션을 사용하면 게이지 100%가 대신 사용되므로 실질적인 스택 수는 6개나 다름없다. 앰블리파이 습득 시 최대 스택 수가 3개 증가하며, 코어 패러다임 습득 시 3개의 스택을 가진 채로 시작하게 된다.
2.1.2. 코어 블레이드 마스터리
| 패시브 | |||
마법 공격력이 증가하고, 코어 블레이드 장착 시 코어 동력원 사용의 효율이 증가하여, 적중률, 공격 속도가 증가한다. 결투장에서는 공격 속도가 증가하지 않는다. | ||||
습득 레벨 | 17 + 3n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20 | 최대 레벨 | 30 | |
시전 시간 | - | 쿨타임 | - | |
SP소모 | 25 | 무큐 소모량 | - |
패시브 효과 | |
마법 공격력 증가율 | 5 + n%, 21레벨 이후 2n% |
적중률 증가 | 0.3n% |
공격 속도 증가 | 0.5n% |
단순한 무기 마스터리. 진 각성 업데이트로 공격속도 증가 옵션이 추가되었다.
2.1.3. 인젝션
| 패시브 | |||
공격 시 적을 약화시키는 코어 에너지를 흘려보내 더 큰 피해를 입힌다. 스페셜리스트의 기본 공격 및 스킬 공격력이 증가한다. | ||||
습득 레벨 | 25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1 | 최대 레벨 | 11 | |
시전 시간 | - | 쿨타임 | - | |
SP소모 | 50 | 무큐 소모량 | - |
패시브 효과 | |
기본 공격 및 스킬 공격력 증가율 | 23 + 2n% |
단일 레벨의 스킬 공격력 증가 기능을 가진 패시브 스킬로, 2022년 1월 13일 업데이트 이전에는 파티원 피해 증폭을 유발하는 스킬이었다.
2.1.4. 코어 프렉시스
| 버프 | |||
코어 에너지의 응용 능력을 높여, 마법 크리티컬 공격력과 마법 크리티컬 확률이 증가하고, 물리/마법 방어력이 증가한다. | ||||
습득 레벨 | 27 + 3n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10 | 최대 레벨 | 2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5초 | |
SP소모 | 30 | 무큐 소모량 | 없음 |
버프 효과 | |
지속 시간 | 무제한 |
마법 크리티컬 공격력 증가율 | 20 + 2n% |
마법 크리티컬 확률 증가 | 10 + 0.5n% |
물리/마법 방어력 증가 | 20624 |
분석 완료. / 이상 없군. / 수집을 시작한다.
크리티컬 확률과 크리티컬 공격력을 증가시키고 받는 피해를 감소시키는 버프 스킬.
2.2. 전투 스킬
2.2.1. 로테이션 웨이브
| 액티브 | |||
전방에 웨이브를 생성한 후, 힘을 가해 회전시키며 날린다. | ||||
습득 레벨 | 13 + 2n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60 | 최대 레벨 | 7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5초 | |
SP소모 | 20 | 무큐 소모량 | 없음 |
회전 다단히트 수 | 4회 |
(웨이브 생성 시) Make
(날릴 시) Spin!
(날릴 시) Spin!
데미지와 쿨타임이 준수한 편이라 육성 단계에서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X축 범위가 화면 밖까지 나가며, 발동 시 웨이브를 생성하면서 넉백을 가하므로 후속타도 쉽게 맞출 수 있다. 육성 후반부에서는 SP의 부족으로 보통 남는 SP를 투자하는 편이다.
육성 단계에서 쓰다가 버려지는 스킬이지만 공격 횟수가 5회이기에 고난도 컨텐츠에서 CEAB-2와 연계해서 쓸 수 있는 스킬이 되는데, CEAB-2와 근접해서 사용하면 CEAB-2를 5번 충전하는 만큼 다른 스킬들의 쿨타임이 돌고 있을 때 로테이션 웨이브를 사용하면 CEAB-2를 빠르게 충전할 수 있다.
2.2.2. 코어 배리어
스킬 아이콘 이미지 | 액티브 | |||
주변에 코어 에너지를 순간적으로 전개하여 배리어를 생성한다. 짧은 시간 무적 상태가 된다. 이 스킬은 피격 상태를 제외한 모든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 ||||
최초 습득 레벨 | 20 | 선행 스킬 | 코어 실드 Lv 1 | |
마스터 레벨 | 1 | 최대 레벨 | 1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15초 | |
SP소모 | 50 | 무큐 소모량 | 없음 |
배리어 지속 시간 | 0.7초 |
2023년 6월 밸런스 패치로 추가된 신규 스킬로, 사용 시 일정 시간 동안 스폐셜리스트를 무적 상태로 만든다. 넨마스터의 넨 가드와 비교했을 때 지속 시간이 절반 정도로 짧은 대신 배리어에 내구도가 있는 것이 아니라 통짜무적으로 만든다는 차이점이 있으며, 다른 스킬을 시전하는 중에도 모션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피격 하나하나가 치명적인 상위 컨텐츠에서 톡톡히 효자 노릇을 하는 스킬로, 타이밍만 잘 잡으면 대부분의 단타 즉사기까지 무시할 수 있다. 물론 지속 시간이 짧으므로 가드 스킬들의 저스트 가드나 여성 격투가의 크라우치 회피를 한다는 느낌으로 써야 한다.
2.2.3. 테이저
| 액티브 | |||
코어 피스톨로 적을 무력화시키는 에너지를 발사한다. 타격 성공 시 에너지는 타격된 적의 주변에 흘러, 근처의 적들도 함께 공격한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테이저 연결을 끊으면서, 최초로 타격한 적을 중심으로 적을 무력화시키는 폭발을 일으킨다. 범위 안에 적이 없으면 테이저 연결을 실패한다. [인텐션 사용] 인텐션 사용법 : 스킬키 또는 'Z'키 추가 입력 (테이저가 연결된 상태에서 발동 가능) 인텐션 발동 효과 : 폭발 공격의 홀드 시간 증가 | ||||
습득 레벨 | 18 + 2n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60 | 최대 레벨 | 7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8초 | |
SP소모 | 20 | 무큐 소모량 | 없음 |
다단히트 수 | 4회 |
테이저 연결 지속 시간 | 0.5초 |
폭발 공격의 홀드 시간 | 1.5초 |
인텐션 시전 시 | |
폭발 공격의 추가 홀드 시간 | 1초 |
소모되는 인텐션 스택 수 | 1개 |
싱귤래리티 코어 습득 시 추가 효과 | 범위 내의 모든 적에게 테이저 연결, 폭발이 단일 대상 타격으로 변경 |
(시전 시) Tie / Shot
(폭발 시) Seize / Purge
(폭발 시) Seize / Purge
전방의 일정 범위에 에너지를 발사해서 적을 탐지한 후 가장 가까운 적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 내의 적에게 데미지와 함께 강제 경직을 건다. 탐지 범위는 넓지만 공격 범위가 좁고 주변의 적들 중 무조건 가장 가까운 적에게만 시전되기 때문에 원하는 적을 골라서 홀딩하기 어렵다. 그래도 싱귤래리티 코어를 습득하면 범위 내의 모든 적에게 체인 형식으로 연결되도록 변경되며 이 단점이 해소된다.
스킬 레벨에 상관없이 적을 홀딩시키는 스킬이므로 1만 찍어도 무방하다. 몹몰이 스킬과 연계하면 위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선딜레이도 짧아 연계도 수월한 편이다. 하지만 인텐션 사용 시간이 굉장히 짧은 편이라 스킬 키를 연타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0.5초의 짤무적이 있지만 활용하기는 어렵다.
2.2.4. 스퀘어리
| 액티브 | |||
전방을 베면서 코어 에너지를 방출한 후, 방출된 에너지를 회수하면서 적들을 끌어온다. [인텐션 사용] 인텐션 사용법 : 스킬 시전 시 일정 시간 스킬키를 누르고 있으면 발동 (인텐션 스택이 0이면 차징 불가) 인텐션 발동 효과 : 공격 범위와 적을 끌어오는 범위 및 속도 증가 | ||||
습득 레벨 | 23 + 2n | 선행 스킬 | 빔 슬래쉬 Lv 1 | |
마스터 레벨 | 60 | 최대 레벨 | 7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7.5초 | |
SP소모 | 25 | 무큐 소모량 | 없음 |
인텐션 시전 시 | |
범위 증가 | 20% |
소모되는 인텐션 스택 수 | 1개 |
차징 모션 최대 유지 가능 시간 | 3초 |
싱귤래리티 코어 습득 시 추가 효과 | 공격 범위가 완전한 원형을 이룸, 전체 모션 슈퍼아머로 변경 |
(에너지 방출 시) Spread
(끌어올 시) Pedal!
(끌어올 시) Pedal!
위력은 그저 그렇지만 이 스킬의 진가는 뛰어난 몹몰이 성능에 있는데, 인텐션 사용 시 X축, Y축 모두 화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만큼 범위가 넓어진다. 빠른 시전 속도, 넓은 범위, 신속하고 정확하게 캐릭터 앞으로 적들을 모으는 깔끔함을 겸비한 최상급 몹몰이 스킬로, 여기에 싱귤래리티 코어 습득 시 전방 공격에서 원형 공격으로 변경되고 슈퍼아머까지 적용되어 더욱 강력해진다.
시전 시 범위보다 후속타의 범위가 넓은 편이라 맞지 않은 적도 끌려오며, 테이저, 이미션 등의 홀딩 스킬로 연계할 수 있지만 슈퍼아머가 없으므로 캔슬에 주의해야 한다.
결투장에서는 무큐기가 아닌데도 선쿨타임이 걸려있었다가 상향을 받아 사라졌다.
2.2.5. 엑소셋
| 액티브 | |||
피스톨의 코어 에너지를 충전하여, 전방에 강력한 에너지 폭발탄을 발사한다. | ||||
습득 레벨 | 23 + 2n | 선행 스킬 | 테이저 Lv 1 | |
마스터 레벨 | 60 | 최대 레벨 | 7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6.5초 | |
SP소모 | 25 | 무큐 소모량 | 없음 |
Break!
테이저 모션으로 전방에 에너지탄을 발사한다. 즉발형에 무난한 성능을 자랑하는 만큼 필수로 쓰이는데, 이는 다른 기본기인 스퀘어리와 일렉트릭 필러의 쿨타임이 길기 때문이기도 하다.
2.2.6. 일렉트릭 필러
| 액티브 | |||
바닥을 내려친 후 코어 에너지를 방출하여, 적에게 다단히트 데미지를 입히는 에너지 기둥을 생성한다. | ||||
습득 레벨 | 28 + 2n | 선행 스킬 | 로테이션 웨이브 Lv 1 | |
마스터 레벨 | 50 | 최대 레벨 | 6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8초 | |
SP소모 | 30 | 무큐 소모량 | 없음 |
최대 다단히트 수 | 4회 |
에너지 기둥 생성 갯수 | 5개 |
Cutter! / Rise!
이디언 블레이드를 연상케 하는 스킬로, 점프 후 바닥을 내리쳐 에너지 기둥을 생성한다. X축이 길고 발동과 동시에 슈퍼아머가 발생하며, 약간의 선딜레이를 제외하고 보면 엑소셋과 함께 무난한 성능을 자랑하는 스킬이다. 보이는 것과 다르게 Z축도 길어서 직선형 공격을 하는 적에게 썼는데 그 위에 있는 몹도 맞는 경우도 많다.
2.2.7. 이미션
| 액티브 | |||
바닥에 검을 꽂아, 코어 에너지를 방출하여 주변의 적에게 다단히트 피해를 입힌 후, 타격된 적에게 작은 폭발을 일으킨다. 다단히트 공격과 폭발 공격은 적을 홀드 상태로 만든다. [인텐션 사용] 인텐션 사용법 : 스킬키 또는 'Z'키 추가 입력 (이미션을 시전 중일 때 발동 가능) 인텐션 발동 효과 : 폭발 공격의 홀드 시간이 증가하며 설치형으로 변경된다. | ||||
습득 레벨 | 33 + 2n | 선행 스킬 | 일렉트릭 필러 Lv 1 | |
마스터 레벨 | 60 | 최대 레벨 | 7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20초 | |
SP소모 | 40 | 무큐 소모량 | 1개 |
다단히트 횟수 | 5회 |
에너지 방출 홀드 시간 | 1초 |
폭발 공격의 홀드 시간 | 1.5초 |
인텐션 시전 시 | |
폭발 공격의 홀드 시간 증가량 | 1.5초 |
소모되는 인텐션 스택 수 | 1개 |
멈춰라! / 동작 그만!
(VP 1 적용 시) Stop!
(VP 2 적용 시) Endure!
(VP 1 적용 시) Stop!
(VP 2 적용 시) Endure!
바닥에 검을 꽂아 코어 에너지를 방출해 적을 홀딩시킨다. 검이 꽂혀있는 동안에는 채널링 상태가 되지만 쿨타임이 비교적 짧은 편이며, 인텐션 사용 시 스킬 지속 시간이 끝난 후에도 긴 시간 동안 홀딩 상태가 유지되므로 다른 스킬로 연계를 이어갈 때도 좋다. 딜링보다는 홀딩에 강점이 있어 1만 찍어도 무방하다.
다단히트 공격을 맞는다고 마지막 폭발까지 꼭 맞는다는 보장이 없어서 스턱이나 모종의 이유로 마지막 폭발을 맞지 않을 경우 스킬 지속 시간이 끝난 뒤에는 홀딩이 들어가지 않는다.
2023년 6월 29일 밸런스 패치로 인텐션 사용 시 설치형으로 시전되도록 변경되었다.
시즌 8 업데이트로 대부분의 네임드, 보스 몬스터들이 홀딩 면역을 달고 나오며 홀딩 능력이 무의미해진 이후에는 던전에서의 존재감이 희미해졌지만 결투장에서는 스페셜리스트의 밥줄로, 풀슈아와 넓은 범위에 그 넓은 범위마저 홀딩 판정이라 카운터치기도 불가능한 스킬이다. 그나마 단점이라면 Z축이 그렇게 길지 않다는 것과 약간의 선딜레이가 있어 잡기 스킬에 대항할 수 없다는 것이다. 무력화형 상태이상으로도 캔슬할 수 있지만 검을 꽂는 순간 캔슬되더라도 홀딩되어 있다면 풀리지 않는다. 스페셜리스트 자신만 머슬 시프트해 주는 꼴이기에 스페셜리스트를 상대할 때 이미션을 의식하느라 점프하는 광경을 종종 볼 수 있다.
2.2.8. 어트랙트 에뮤니션
| 액티브 | |||
피스톨의 코어 에너지를 모아, 적들을 끌어당기는 인력탄을 발사한다. 인력탄은 일정 시간 다단히트 피해를 입힌 후 폭발한다. 사격 시 '앞' 방향키를 누르면 더 먼 거리로 발사할 수 있다. [인텐션 사용] 인텐션 사용법 : 일정 시간 스킬키를 누르고 있으면 발동 (인텐션 스택이 0이면 차징 불가) 인텐션 발동 효과 : 공격 범위 및 적을 끌어오는 범위 증가 | ||||
습득 레벨 | 33 + 2n | 선행 스킬 | 엑소셋 Lv 1 | |
마스터 레벨 | 60 | 최대 레벨 | 7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20초 | |
SP소모 | 40 | 무큐 소모량 | 1개 |
다단히트 수 | 8회 |
인력탄 지속 시간 | 2초 |
인텐션 시전 시 | |
범위 증가 | 40% |
소모되는 인텐션 스택 수 | 1개 |
차징 모션 최대 유지 가능 시간 | 3초 |
(시전 시) Ready
(발사 시) Fire!
(발사 시) Fire!
엘레멘탈마스터의 나이트 할로우와 무녀의 심혼흡성부처럼 주변의 적들을 끌어들이는 인력탄을 발사하며, 시전 시 슈퍼아머 상태가 된다. 인텐션 사용 시 더 넓은 범위의 적을 빨아들이는데, 딜량은 동일하므로 그로기 타임 때는 아무렇게나 써도 된다.
2.2.9. 라이트닝 슬래쉬
| 액티브 | |||
코어 에너지를 발산하여 긴 에너지 검을 생성한 후, 전방을 크게 한 번 벤다. 베기 후 일정 시간 코어 에너지가 남아, 적에게 다단히트 피해를 입힌다. 일정 시간 차징 모션을 유지할 수 있다. | ||||
습득 레벨 | 38 + 2n | 선행 스킬 | 스퀘어리 Lv 1 | |
마스터 레벨 | 60 | 최대 레벨 | 7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26초 | |
SP소모 | 50 | 무큐 소모량 | 1개 |
다단히트 수 | 5회 |
차징 모션 최대 유지 가능 시간 | 3초 |
스킬 키를 누르면 충전하면서 에너지 검의 베는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으며, 바로 시전해서 빠르게 데미지를 입힐 수도 있다. 바로 시전할 경우 딜레이가 없다.
단순한 이펙트에 비해 효율이 좋은데, 짧은 시간 내에 넓은 범위를 커버하는 딜링이 가능하며, 쿨타임도 준수한 편이다. 커버 범위의 경우 Y축은 인텐션을 사용한 스퀘어리보다 좁지만 X축은 길다.
폭발 스킬과 비슷하게 판정이 남는 시간이 길어 맞지 않은 적이라도 시전 직후 몹이 범위 내에 들어오면 다단히트 데미지를 입게 되는데, 이 잔상 판정이 굉장히 좋은 편이다.
2.2.10. 디바이드 어쓰
| 액티브 | |||
강력한 코어 에너지 검을 생성하여, 전방을 내려쳐 지면을 가른다. 이후 지면 아래에서 검 에너지를 추가로 방출하여, 더 강력한 에너지검을 생성한 후 올려벤다. 올려베기 후딜레이를 캔슬하여 전직 계열 스킬을 사용할 수 있다. | ||||
습득 레벨 | 43 + 2n | 선행 스킬 | 라이트닝 슬래쉬 Lv 1 | |
마스터 레벨 | 60 | 최대 레벨 | 7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45초 | |
SP소모 | 60 | 무큐 소모량 | 2개 |
(시전 시) Crack! / Split!
(막타 시) Finish! / The end!
(막타 시) Finish! / The end!
|
에너지 검 |
이펙트에 비해 X축, Y축 판정이 넉넉한 편이지만 타 직업들의 45제 스킬에 비해 범위가 좁으며, 시전 후 막타까지의 딜레이가 조금 길다는 단점이 있다. 대신 전체적인 속도가 빠른 편이고 홀딩기나 견제기가 많으므로 이를 병행해서 사용하면 문제될 것은 없다. 지속적인 밸런스 패치로 공격력이 다른 스킬들에 밀리게 되었지만 디바이드 어쓰를 포기해도 마땅히 찍을 스킬이 없어 여전히 많이 쓰인다.
3. 각성 후 스킬
3.1. 코어 마스터
3.1.1. 앰플리파이
| 패시브 | |||
코어 동력원의 성능을 증폭시켜, 인텐션의 최대 스택 수와 기본 공격 및 스킬 공격력이 증가한다. | ||||
습득 레벨 | 45 + 3n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40 | 최대 레벨 | 50 | |
시전 시간 | - | 쿨타임 | - | |
SP소모 | 30 | 무큐 소모량 | - |
패시브 효과 | |
기본 공격 및 스킬 공격력 증가율 | 2.5 + 2n% |
인텐션 최대 스택 수 증가 | 3개 |
인텐션의 최대 스택 수를 증가시키는 패시브 스킬. 습득 시 최대 스택 수가 3개 증가한다.
3.1.2. 버스트 필드
| 액티브(각성) | |||
바닥에 코어 에너지를 방출하여, 버스트 필드를 생성한다. 필드는 일정 시간 적을 무력화시키는 다단히트 공격을 한 후 폭발한다. [인텐션 사용] 인텐션 사용법 : 스킬키 또는 'Z'키 추가 입력 (필드가 유지되는 동안 발동 가능) 인텐션 발동 효과 : 필드 지속 시간 증가. 추가 지속 시간은 설치형으로 발동 | ||||
습득 레벨 | 45 + 5n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40 | 최대 레벨 | 5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145초 | |
SP소모 | 없음 | 무큐 소모량 | 5개 |
에너지 다단히트 간격 | 0.14초 |
필드 지속 시간 | 3초 |
인텐션 시전 시 | |
필드 지속 시간 증가 | 1.5초 |
소모되는 인텐션 스택 수 | 1개 |
(시전 시) Energy, burst! / 재밌는 걸 보여주지!
(마지막 타격 시) Extreme! / Good bye!
(마지막 타격 시) Extreme! / Good bye!
다각형 모양의 필드를 생성해 그 안의 적들을 홀딩시킨 뒤 폭발 공격으로 높은 데미지를 입힌다. 인텐션 사용 시 더 오랜 시간 동안 필드가 유지된다. 단, 시전 중에는 캔슬이 불가능하다.
구조상 홀딩 메타였던 루크 레이드 시절의 잔재로 볼 수 있는데, 딜이 들어가는 속도가 느릴 뿐더러 채널링이 지나치게 길다. 인텐션 사용 시 장시간 홀딩을 걸 수 있지만 그 동안에는 다른 스킬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자타임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2023년 6월 29일 밸런스 패치로 인텐션 사용 시 추가 유지 시간이 설치형으로 적용되도록 변경되었다.
3.1.3. 에너지 바운스
| 액티브 | |||
코어 동력원을 투척하여, 전방에 적을 무력화시키는 기둥을 생성한 후 피스톨로 에너지를 주입한다. 기둥은 생성 시 주변의 적을 기둥 안쪽으로 끌어오고, 흡수한 에너지로 일정 시간 다단히트 공격 후 폭발한다. [인텐션 사용] 인텐션 사용법 : 스킬키 또는 'Z'키 추가 입력 (피스톨로 에너지를 주입하기 전 발동 가능) 인텐션 발동 효과 : 폭발 공격에 홀드 기능 증가 | ||||
습득 레벨 | 58 + 2n | 선행 스킬 | 코어 배리어 Lv 1 | |
마스터 레벨 | 40 | 최대 레벨 | 5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25초 | |
SP소모 | 60 | 무큐 소모량 | 2개 |
다단히트 수 | 14회 |
기둥 지속 시간 | 2.5초 |
인텐션 시전 시 | |
폭발 공격의 홀드 시간 | 1초 |
소모되는 인텐션 스택 수 | 1개 |
잠시 기다리시게![2] / 여기로 오시지!
(VP 2 적용 시) 조심하라고. / 조심하게.
(VP 2 적용 시) 조심하라고. / 조심하게.
코어 동력원을 던져 적을 가두는 기둥을 생성한다. 참고로 적을 살짝 끌어들인 다음 홀딩시키며, 가두기 판정이 있어서 홀딩불가 상태의 적이라도 통상적인 이동은 방해할 수 있다.
인텐션 사용 시 기둥 폭발과 동시에 홀딩 판정이 생겨 홀딩 시간이 1초 길어지지만 채널링 도중에도 인텐션 사용이 가능한 다른 스킬들과 다르게 시전 중 총을 꺼내기 직전까지만 인텐션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추가타 입력 가능 시간이 굉장히 짧다. 팁을 주자면 스킬 키를 연타한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이펙트상으로는 몹몰이가 미묘하게 느껴지지만 이펙트에 비해 훨씬 더 넓은 범위의 적들을 끌어들이며, 근접해서 사용하면 적들이 모이며 풀히트가 된다. 설치, 몹몰이, 슈퍼홀드 3박자를 고루 갖춘 딜 외적인 장점이 많은 스킬이라 1만 찍어 유틸기로 활용하는 용도로 추천되곤 한다.
원래는 유틸기답게 자체 계수가 저열해 딜링기로 쓰이지 않았지만 현재는 조금씩 상향을 받고 라이트닝 슬래쉬와 쿨타임이 같으면서 계수는 그보다 소폭 높은 수준까지 높아져 서브 딜링기로 활용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3.1.4. 디스펄션
| 액티브 | |||
전방에 에너지를 분산시키는 장막을 생성하여 일정 시간 코어 에너지를 방출하여 다단히트 피해를 입힌 후, 에너지 장막을 폭발시킨다. 후딜레이를 캔슬하여 전직 계열 스킬을 사용할 수 있다. | ||||
습득 레벨 | 68 + 2n | 선행 스킬 | 이미션 Lv 1 | |
마스터 레벨 | 40 | 최대 레벨 | 5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50초 | |
SP소모 | 70 | 무큐 소모량 | 3개 |
에너지 방출 다단히트 수 | 10회 |
좀 따가울 거야! / Discharge!
전방을 향해 코어 에너지를 방출한 후 장막을 폭발시킨다. Y축은 짧은 편이지만 X축은 익시드 다음으로 긴 편이다. 캐릭터 근처에서는 공격 판정이 생기지 않지만 스킬 사용 시 충격파로 근접한 몹을 넉백시키므로 적을 안정적으로 공격할 수 있다. 준수한 공격력 덕에 요긴하게 쓰이지만 딜량 대비 쿨타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3.2. 패스파인더
2차 각성 때의 시란의 말에 따르면 패스파인더가 되어서 사용할 무기들은 몸이 많이 단련되어 있어야 무리 없이 쓸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3.2.1. 코어 패러다임
| 패시브 | |||
코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인텐션의 기본 스택 수, 인텐션 게이지 습득량, 기본 공격 및 스킬 공격력과 코어 프렉시스의 물리/마법 방어력 증가량이 추가로 증가한다. | ||||
습득 레벨 | 72 + 3n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40 | 최대 레벨 | 50 | |
시전 시간 | - | 쿨타임 | - | |
SP소모 | 45 | 무큐 소모량 | - |
패시브 효과 | |
기본 공격 및 스킬 공격력 증가율 | 22 + 2n% |
인텐션 기본 스택 수 증가 | 3개 |
인텐션 게이지 습득 증가 | 20% |
코어 프렉시스 물리/마법 방어력 추가 증가 | 3717 + 286[3] |
인텐션의 기본 스택 수, 인텐션 게이지 습득량, 코어 프렉시스의 물리/마법 방어력 증가량을 증가시키는 패시브 스킬. 습득 시 3개의 스택을 가진 채로 시작하게 되며, 게이지 습득 증가율은 20%이다.
3.2.2. 라이트 브랜디쉬
| 액티브 | |||
블레이드와 피스톨의 에너지를 방출하여, 두 개의 긴 코어 에너지검을 생성한 후 난무한다. 첫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공격은 에너지 검을 동시에 휘둘러 2번 공격하고, 여섯 번째는 강력한 피니시 베기를 시전한다. 피니시 후딜레이를 캔슬하여 전직 계열 스킬을 사용할 수 있다. | ||||
습득 레벨 | 73 + 2n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40 | 최대 레벨 | 5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40초 | |
SP소모 | 80 | 무큐 소모량 | 3개 |
난무 횟수 | 8회 |
Light! / Beam!
X축, Y축 모두 준수하고 후방에 있는 적까지 타격될 정도로 범위가 넓으며, 해당 스킬을 사용하여 쉬운 연계도 가능하다. 쾌적한 사용감과 준수한 딜량을 자랑하지만 채널링이 아쉽다.
앞쪽 방향키를 누른 상태로 사용하면 이동 거리가 증가한다.
3.2.3. CEAB-2
| 액티브 | |||
전방에 코어 에너지를 흡수하는 동력원을 투척한다. 스페셜리스트가 CEAB-2를 공격한 다단히트 수에 비례하여 에너지가 흡수되고, 정해진 다단히트 수를 충족하면 최대 충전 상태가 되어 폭발 공격력이 증가한다. 스킬 키를 추가로 입력하거나 동력원의 최대 유지 시간이 지나면, CEAB-2는 폭발한다. | ||||
습득 레벨 | 78 + 2n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40 | 최대 레벨 | 5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45초 | |
SP소모 | 90 | 무큐 소모량 | 5개 |
최대 충전을 위한 다단히트 수 | 5회 |
최대 유지 가능 시간 | 20초 |
Formation!
라이브 서버로 넘어오면서 컨셉 문제로 삭제된 ACR-0을 대체한 스킬이자 여성 넨마스터의 넨화, 무녀의 시폭염화부와 비슷한 스킬. 육각형 모양의 코어 동력원을 던진 후 CEAB-2를 공격할 때마다 CEAB-2가 충전되며, 5히트 시 충전이 완료되어[4] 폭발 공격력이 증가한다. 스킬 키를 한 번 더 누르거나 유지 시간이 지나면 폭발한다. 추가타 입력을 통한 수동 폭발은 타 스킬 시전 중이나 피격 도중에도 발동시킬 수 있다.
히트 수에 따라 이펙트가 달라지는데, 1~4히트 시 코어 동력원의 주위가 점차 붉게 변하고 풀히트 시 전체적으로 붉어진다. 단, 이펙트와 다르게 스킬 공격력은 풀히트 전과 후 2가지로, 4히트까지는 데미지 변화가 없다. 충전 시 데미지 증가량은 10%로 크게 높은 수준이 아니라서 충전할 여유가 없을 경우 그냥 폭발시켜도 크게 지장이 없는데, 스페셜리스트가 워낙 다단히트 스킬이 많기 때문에 던져놓고 아무 스킬이나 사용하다 폭발시켜도 된다. 폭발 범위가 상당히 넓어서 잡몹방에서 사용하면 쉽게 정리되는 것을 볼 수 있다.
3.2.4. 익시드
| 액티브(각성) | |||
블레이드와 피스톨의 코어 에너지를 방출하여, 전방에 강력한 에너지 구체를 생성한 후 폭발시킨다. 에너지 구체는 생성 시 주변 적을 끌어오고, 폭발하기 직전 압축되며 적을 홀드 시킨다. (구체와 가까이 있는 적은 순간적으로 압축된다.) 에너지 구체를 생성할 때 인텐션의 게이지와 스택은 폭주하다가, 폭발이 일어나면서 정상적으로 돌아온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폭발을 위한 최소한의 에너지가 응축되고, 이 때부터 '점프키' 입력으로 폭발시킬 수 있다. (점프키 미입력 시, 일정 시간 후 자동으로 폭발한다.) | ||||
습득 레벨 | 80 + 5n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40 | 최대 레벨 | 5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180초 | |
SP소모 | 없음 | 무큐 소모량 | 10개 |
최대 다단히트 수 | 14회 |
다단히트 간격 | 0.2초 |
수동 폭발 가능 최소 시간 | 1.5초 |
(시전 시) Destroy! / Ultimate graviton!
(막타 시) Ruinous! / Right now!
(막타 시) Ruinous! / Right now!
주변의 몹들을 끌어들여 일정 시간 동안 홀딩을 걸며, 홀딩 중 점프 키를 누르면 바로 폭발시킬 수 있다. 다단히트의 공격 범위는 붉은 원 안쪽까지이지만 폭발 범위는 화면 밖에 있는 몹까지 타격될 정도로 굉장히 넓다. 처음에는 적들을 근접으로 끌어들인 순간부터 홀딩되는 스킬이었지만 지금은 끌어들이는 도중에도 홀딩되도록 변경되었다.[5] 5레벨 기준 다단히트 3268%, 폭발 306363%이다.[6]
인텐션 게이지에 디테일함을 엿볼 수 있는데, 강력한 에너지로 인해 오버플로우가 일어나며 게이지와 스택 수치가 많이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각성 컷신이 끝나는 타이밍에 막타도 함께 들어가기 때문에 보스를 한방에 처리할 경우 위의 움짤처럼 슬로우모션이 더해져 엄청난 간지를 느낄 수 있다.
스킬 설명에 있는 압축, 맵 전체의 모든 적을 끌어들이는 강력한 몹몰이 성능, 스킬 이펙트 및 아이콘, 진 각성 패시브 스킬의 플라이버 텍스트를 보면 익시드의 에너지 구체는 초소형 블랙홀을 구현한 것이다. 시전 대사 중 하나인 "Ultimate graviton"은 번역 시 궁극의 중력이라는 해석이 나오는데, 블랙홀 역시 가장 빠른 속도인 빛의 속도로도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로 높은 중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펙트와 스킬 아이콘을 보면 블랙홀 문서에서 볼 수 있는 CG 등으로 만든 블랙홀의 이미지와 비슷하다. 이 익시드의 에너지를 안정화 상태로 만든 것이 진 각성 패시브 스킬인 싱귤래리티 코어인 것이다.
3.3. 진(眞) 스페셜리스트
3.3.1. 싱귤래리티 코어
스킬 아이콘 이미지 | 패시브 | |||
진(眞) 스페셜리스트는 기존의 코어에 축퇴로를 접목시켜 더욱 폭발적인 에너지를 생성하는 싱귤래리티 코어로 개량하였다. 인텐션 게이지 습득량이 추가로 증가하며, 기본 공격 및 전직 계열 스킬의 공격력이 증가한다. 또한 일부 스킬에 부가 효과가 부여된다. | ||||
최초 습득 레벨 | 92 + 3n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40 | 최대 레벨 | 50 | |
시전 시간 | - | 쿨타임 | - | |
SP소모 | 60 | 무큐 소모량 | - | |
[...XXX년 X월 X일. 드디어 성공했다. 수십 번의 실패 끝에 익시드의 코어를 안정기의 상태로 남아있게 만들었다...(중략)...축퇴로, 즉 초소형 블랙홀을 응용한 것에서 착안하여 이를 싱귤래리티 코어로 명명한다.] |
패시브 효과 | |
습득 시 즉시 적용 효과 | 테이저: 범위 내의 모든 적에게 테이저가 체인 형식으로 연결되며 폭발 공격이 1인 공격으로 변경된다. 스퀘어리: 캐릭터를 중심으로 완전한 원형을 이루게 되며, 모션 전체가 슈퍼아머로 변경된다. |
기본 공격 및 전직 계열 스킬 공격력 증가율 | 18 + 2n% |
인텐션 게이지 습득 추가 증가 | 20% |
스페셜리스트의 진 각성 패시브 스킬. 일부 스킬이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 인텐션: 게이지 습득량이 추가로 증가하는데, 코어 패러다임의 같은 효과와 합연산되어 총 40% 증가한다.
- 테이저: 엘리멘탈 바머의 체인 라이트닝과 여성 크루세이더의 미라클 샤인처럼 최초로 적중한 적과 인접한 적에게 전이되도록 변경된다.
- 스퀘어리: 전방 공격이 원형 공격으로 변경되고 사용 시 슈퍼아머 상태가 된다.
3.3.2. 블랙 시드
스킬 아이콘 이미지 | 액티브 | |||
특수 제작된 대형 코어 동력원을 위로 투척한다. 던져진 코어 동력원은 잠시 후 여러 개의 작은 코어 동력원으로 분리되어 주변을 부유한다. 작은 코어 동력원들은 시간이 지나면 임계점에 도달하여 연쇄 폭발한다. 임계점 도달 전에 스킬 키를 한번 더 입력하면 강제로 폭발시킬 수 있다. [인텐션 사용] 인텐션 사용법 : 일정 시간 스킬키를 누르고 있으면 발동 (인텐션 스택이 0이면 차징 불가) 인텐션 발동 효과 : 공격 범위 및 공격력 증가, 스킬키 추가 입력 없이 잠시후 일제히 폭발 | ||||
최초 습득 레벨 | 93 + 2n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40 | 최대 레벨 | 5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60초 | |
SP소모 | 100 | 무큐 소모량 | 7개 | |
[...XXX년 X월 X일. 개량된 코어 동력원들은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함과 동시에 주변의 물질을 흡수하여 에너지로 바꾸기도 한다. 그 지속적인 반응에는 시간적인 한계치가 있는데, 이를 잘 이용하면 시한폭탄처럼 쓸 수 있을 것 같다...(중략)...가동 시작 시점에 이미 과충전 상태로 만들어 바로 임계점을 넘게 만들 수도 있다.] |
연쇄 폭발 다단히트 횟수 | 5회 |
최대 유지 가능 시간 | 10초 |
인텐션 시전 시 | |
범위 증가 | 10% |
소모되는 인텐션 스택 수 | 1개 |
차징 모션 최대 유지 가능 시간 | 3초 |
Seed! / 훗!
기본 사용 | 인텐션 사용 |
자신의 주변에 코어 동력원들을 뿌려서 공격한다. 범위는 버스트 필드와 비슷하며, 스페셜리스트의 스킬 중 버스트 필드 다음으로 나온 인텐션 사용 여부에 따라 데미지가 바뀐다.[7]
인텐션 미사용 시 개별 공격력이 낮은 대신 다단히트 피해를 주는 설치형 스킬이, 인텐션 사용 시 약간의 딜레이 후 높은 단타 데미지를 입히는 스킬이 된다. 인텐션 사용 여부에 따른 데미지 차이는 8~10%이다.
3.3.3. 블랙 호라이즌
스킬 아이콘 이미지 | 액티브(각성) | |||
코어 에너지로 만들어진 특수 공간으로 이동한 후 코어 피스톨의 싱귤래리티 코어를 뽑아 내어 코어 블레이드에 장착한다. 그 후 2개의 싱귤래리티 코어를 통해 폭발적인 에너지를 뿜어내는 코어 블레이드를 휘둘러 지평선을 따라 가로로 벤다. [진(眞) 각성기] 진(眞) 각성기 사용 시, 선택한 스킬의 쿨타임이 함께 적용됩니다. 선택한 스킬이 쿨타임인 경우, 진(眞) 각성기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 ||||
최초 습득 레벨 | 95 + 5n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40 | 최대 레벨 | 5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290초 | |
SP소모 | 200 (2레벨 이후 100) | 무큐 소모량 | 15개 | |
[...XXX년 X월 X일. 코어 2개를 가동된 상태로 같이 두었는데, 폭탄처럼 폭발하지 않고 얼마 후 커다란 하나의 코어처럼 에너지를 뿜어내었다. 그것도 코어 수십개는 있어야 낼 수 있는 에너지를. 가설이지만, 아마 두개의 코어가 내는 에너지가 바로 확산되지 않고 상대 코어의 인력에 이끌려 모이다가 어느 한계를 넘어 방출되는 것 같다...잘하면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
(시전 시) 아쉽게 됐군. / Last sequence!
(코어 장착 시) Install![8]
(에너지 방출) 이제 그 눈으로... / Release limit!
(막타 시) 빛을 볼 일은 없을 테니... / Finish! / Cut over!
(코어 장착 시) Install![8]
(에너지 방출) 이제 그 눈으로... / Release limit!
(막타 시) 빛을 볼 일은 없을 테니... / Finish! / Cut over!
컷신 ON | 컷신 OFF |
진(眞) 스폐셜리스트 전용 도트[9] |
|
코어블레이드[10] |
진(眞) 각성기는 1차 각성기나 2차 각성기 중 선택한 각성기 한 개와 쿨타임을 공유한다. 예시로 쿨타임 공유 스킬로 1차 각성기를 선택했을 때, 1차 각성기가 쿨타임인 경우 진(眞) 각성기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진(眞) 각성기가 쿨타임인 경우 1차 각성기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코어 에너지로 만들어진 특수 공간으로 이동한 다음 코어 피스톨의 싱귤래리티 코어를 빼내 코어 블레이드 : 호라이즌[11]에 장착한다. 2개의 싱귤래리티 코어가 공명하며 생성되는 폭발적인 에너지를 이용해 코어블레이드에서 거대한 광선검을 형성해 가로 베기를 날린다.
마치 웨펀마스터의 천제극섬의 피니시 광검 참격을 떼어서 업그레이드시킨 느낌이다. 또한, 남성 직업군 중 두 번째로 받은 단타 진각기이며, 채널링도 5.4초 정도로 짧은 편이다. 타격이 적용되는 방식은 참격 때 아무 피해가 없는 타격 판정이 나오며, 적을 피격 경직 상태로 만들고 코어 에너지로 구축된 공간이 폭발할 때 본 데미지가 들어간다. 지혜의 인도와 균형의 중재자의 보스방 구조물로 실험해 보면 알 수 있다.
이 스킬 역시 익시드처럼 실제 성능과 무관한 디테일함을 엿볼 수 있는데, 이전까지 오버플로우에서 그쳤던 인텐션 게이지가 싱귤래리티 코어의 공명 현상까지 겹친 덕에 붉게 변하다 결국 스파크를 튀기더니 그대로 고장나는 연출을 보인다. 코어블레이드에서 생성된 광선검과 코어 에너지 공간이 붉게 변할 때 게이지가 고장난다. 배경에서 펼쳐지는 회로 효과가 하필이면 행복회로와도 비슷하다.
플라이버 텍스트와 진 각성 스토리를 보면 인접한 상태로 가동 중인 2개의 코어가 폭발하지 않고 공명해 코어 수십 개 분량의 에너지를 생성하는 현상을 발견하고 이를 응용하는 여러 실험을 거친 끝에 코어 에너지로 만들어 낸 특수 공간을 구현하게 되었고, 거기서 코어 피스톨의 싱귤래리티 코어를 빼서 그간의 실험을 통해 개조한 코어 블레이드 : 호라이즌에 장착한 후 2개의 코어가 공명하여 내는 강력한 에너지로 거대 광선검을 만드는 데 성공한다. 에너지가 얼마나 강력했는지 코어블레이드의 손잡이를 잡자 보호 장갑을 끼고 있는데도 큰 고통이 느껴질 정도였다고 한다. 그 후 블랙홀 에너지를 뿜는 코어블레이드를 휘둘러 코어 에너지로 구축된 공간을 통째로 베면서 이 블랙 호라이즌을 완성한다.
각성기는 다른 직업들처럼 1각기인 버스트 필드를 포기한다.[12] 다른 총검사 직업군인 요원과 트러블 슈터가 장단점이 엇갈리지만 스페셜리스트는 홀딩 메타의 상징과도 같은 버스트 필드를 드디어 버릴 수 있게 된다.
4. 그 외 스페셜리스트에게 유용한 스킬
4.1. 크리티컬 히트
5. 사라진 스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페셜리스트(던전앤파이터)/스킬/사라진 스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페셜리스트(던전앤파이터)/스킬/사라진 스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오브젝트를 타격해도 게이지를 습득할 수 있다.[2] 일본어판 대사는 "少し待てろ!"(잠시 기다려라!)[3] 7레벨에 285만큼 증가한다.[4] 이때 CEAB-2에 가해진 공격도 타격으로 판정되어 공격 시 바로 폭발한다.[5] 단, 스킬 시전 후 1초가 지났을 때 끌어들인다.[6] (3268×14)+306363=352115%[7] 사실 버스트 필드는 필드 지속 시간만 증가하는데, 필드 지속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다단히트 피해를 더 많이 줄 수 있어서 최종 피해량이 증가하는 것이다.[8] 시작 대사가 영어일 때만 나온다.[9] 진 각성기 시전 시 해당 도트가 적용된다.[10] 바로 위의 전용 도트를 보면 코어블레이드가 사라지는데, 이 코어블레이드로 바뀌는 것이다.[11] 진 각성의 서 때 공개된 무기 아바타의 이름이다. 진 각성의 서는 진 각성기 전용 도트를 기반으로 하므로 무기도 동일한 외형이며, 무기 아바타 이름이 진 각성기에서 쓰는 코어블레이드의 공식 명식이다.[12] 쿨타임 공유 스킬을 선택한다는 뜻. 3각기 (진 각성기) > 2각기 > 1각기 순서로 피해량이 높다보니 보통은 피해량이 제일 낮은 1각기가 버려지는 추세지만 몇몇 직업은 2각기의 긴 채널링으로 2각을 포기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