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22:34:21

엄준(삼국지)

엄만재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후한 말의 환관에 대한 내용은 엄준(후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오서(吳書)
{{{#!wiki style="margin: 0 -10px"
{{{#ffc5c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81818,#e5e5e5
1권 「손파로토역전(孫破虜討逆傳)」 2권 「오주전(吳主傳)」
손견 ,주준, · 손책 손권 ,호주 정천 풍희,
3권 「삼사주전(三嗣主傳)」 4권 「유요태사자사섭전(劉繇太史慈士燮傳)」
손량 · 손휴 ,이형, · 손호 ,장제, 유요 ,착융 유기, · 태사자 · 사섭
5권 「비빈전(妃嬪傳)」 6권 「종실전(宗實傳)」
무열황후 · 사부인 · 서부인 · 보연사 · 대의황후 · 경회황후
반부인 · 전혜해 · 주부인 · 하희 · 등방란
손정 · 손유 · 손교 · 손환(奐) · 손분(賁)
손보 · 손익 · 손광 · 손소 · 손환(桓)
7권 「장고제갈보전(張顧諸葛步傳)」 8권 「장엄정감설전(張嚴程闞薛傳)」
장소 ,장분 장승 장휴고옹 ,고소 고담 고승, · 제갈근 ,제갈융, · 보즐 ,주소, 장굉 · 엄준 ,배현, · 정병 ,징숭, · 감택 ,당고, · 설종 ,설영,
9권 「주유노숙여몽전(周瑜魯肅呂蒙傳)」 10권 「정황한장주진동감릉서반정전(程黃韓蔣周陳董甘凌徐潘丁傳)」
주유 · 노숙 · 여몽 정보 · 황개 · 한당 · 장흠 · 주태 ·진무 ,진표,
동습 · 감녕 · 능통 · 서성 ·반장 · 정봉
11권 「주치주연여범주환전(朱治朱然呂範朱桓傳)」 12권 「우육장낙육오주전(虞陸張駱陸吾朱傳)」 13권 「육손전(陸遜傳)」
주치 · 주연 ,주적, · 여범 ,여거, · 주환 ,주이, 우번 ,우사 주육, · 육적 · 장온 · 낙통
육모 · 오찬 ·주거
육손 ,육항,
14권 「오주오자전(吳主五子傳)」
손등 · 손려 · 손화 · 손패 · 손분(奮)
15권 「하전여주종리전(賀全呂周鍾離傳)」 16권 「반준육개전(潘濬陸凱傳)」 17권 「시의호종전(是儀胡綜傳)」
하제 · 전종 · 여대 · 주방 · 종리목 반준 · 육개 ,육윤, 시의 · 호종 ,서상,
18권 「오범유돈조달전(吳範劉惇趙達傳)」 19권 「제갈등이손복양전(諸葛滕二孫濮陽傳)」 20권 「왕누하위화전(王樓賀韋華傳)」
오범 ,위등, · 유돈 · 조달 제갈각 ,섭우, · 등윤 · 손준 ,유찬, · 손침 · 복양흥 왕번 · 누현 · 하소 · 위소 · 화핵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관련 틀: }}}
{{{#!wiki style="margin: -35px -0px -10px"
<tablebordercolor=#8b0000> }}} }}}}}}}}}

파일:attachment/엄준/thumb_semi_statue.jpg
嚴畯
생몰년도 미상

[clearfix]

1. 개요

후한 말과 삼국시대 손오의 인물이며 자는 만재(曼才)로 서주 팽성국 출신.

2. 정사

그는 어려서부터 학문에 빠져 시경, 서경, 삼례에 정통했으며, 또 설문해자를 좋아했다고 한다. 성격이 소박하고 솔직하고 순후하여 재능을 갖고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도의로써 성실하게 충고해 그들을 돕는 능력이 있었으며, 전란을 피해 강동으로 와서 제갈근, 보즐과 친교를 맺다가 장소가 엄준을 손권에게 천거해 기도위, 종사중랑이 된다.

노숙이 죽자 손권은 엄준에게 노숙을 대신해 병사 1만 명을 지휘해 육구에서 주둔하도록 했다.[1] 모두 적절한 선택이라고 생각했지만 엄준만은 이에 대해
저의 본분은 책 읽는 사람으로서 군사에는 익숙하지 못합니다. 재능이 없으면서 그 자리를 차지하면 허물과 후회가 반드시 이를 것입니다.
라고 말하다가 감정이 격해져서 우는데, 손권은 결국 이 일을 없던 것으로 하면서 이 일로 인해 엄준은 겸양할 줄 아는 사람이라며 엄준의 평가는 더욱 높아졌다. 참고로 지림(志林)에 따르면 손권이 엄준이 말을 탈 수 있는지 시험했는데, 엄준은 말에 오르다 떨어졌다.

손권이 황제가 되자 위위로 임명되어 촉한에 사자로 갔는데, 제갈량이 그를 매우 좋아했다고 한다. 삼국지연의에서의 그의 장면을 알고 있다면 참 눈물이 나는 장면.

이렇게 잘 나가다가 광릉에서 은자로 이름높던 친구 유영과 관련해서 면직을 당하는데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유영과 교분이 있던 엄준으로부터 유영에 대한 평을 들은 손권은 그를 초빙했지만 유영은 질병을 핑계로 나가지 않았다가 영릉태수로 있던 그의 동생 유략이 임지에서 죽자 유영은 장례식장으로 달려갔다. 이로 인해 손권은 그가 꾀병을 부렸음을 알게 되면서 황급히 체포해 심문하도록 명령하자 이에 엄준은 손권에게 사죄해 자신은 면직되지만 그로 인해 유영은 사면받았으며, 그 후 오랜 시간이 지나서야 엄준은 복직되어 상서령으로 임명되었다가 후에 죽었다.

비록 구경의 직위에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봉록과 상을 축적하지 않고 모두 친척이나 친구, 인연이 있는 자에게 나누어 주었으므로 집은 항상 넉넉하지 못했으나 그로 인해 친구가 많아 배현, 장승과 함께 관중(관이오), 계로에 대해 논의하고 또 『효경전』, 『조수전』 같은 저서를 써서 남길 수 있었다.

한 번은 손권이 노숙의 재능을 등우에, 여범의 재능을 오한에 견주었는데 엄준은 이 평가를 납득할 수 없다고 했다. 후에 손권이 건업으로 천도하고, 부장이나 대신들, 문무백관을 성대하게 모집하여 연회를 개최한 뒤 엄준에게 여범과 노숙이 이런 공을 세운 지금은 어떻게 생각하냐고 물어보자 엄준은 자리에서 물러나며 말하기를
신은 아직 그 취지를 이해할 수 없는데, 노숙과 여범이 총애를 받는 것은 두터우며, 실질 이상의 칭찬을 받았다고 합니다.
라고 대답한다.

손등은 죽기 전에 남긴 문서에서 엄준을 "나라를 위해 충성하고 나라를 다스리는 체제에 통달했습니다."라고 평했고, 주소는 "그와 같이 완미함을 이룬 자는 없었다."고 평한다. 진수는 "한 시대의 유림으로 엄준이 자신의 영달을 버리고 옛 친구를 구한 것 또한 뛰어난 것이 아닌가!"라고 평했다.

3. 연의

딱 1회 등장하는 엑스트라이며 적벽대전 전초에 제갈량과 설전을 벌이는 문신들 중 하나다.

엄준이 제갈량에게 무슨 경전을 읽었냐고 물어봤다가 제갈량에게 "그딴 더러운 냄새나는 책 읽어서 뭐함 ㅉㅉ"이라는 말을 듣고 데꿀멍하는 멍청한 유생 역할로 나온다. 이것으로 등장 끝.

4. 미디어 믹스

4.1.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삼국지 시리즈/장수(ㅇ) 문서
58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영걸전 시리즈

삼국지 영걸전에서도 보병계로 등장. 만총과 포트레이트를 공유하고 있다. 서릉 전투와 이릉전투에서만 등장하며 존재감은 없다시피 하다.

4.3. 삼국전투기

블리치으로 나온다.


[1] 특이하게도 엄준은 평소에 손권이 노숙, 여범을 칭찬하면 그것이 노숙에 대해 과대평가라고 말하던 사람이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