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15:22:59

와이번 게일 5-80GB

와이번 게일에서 넘어옴
<colbgcolor=#000>
파일:베이블레이드X 한국 로고.svg
{{{#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베이블레이드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2023년 발매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colbgcolor=#000> 어택 타입 <colbgcolor=#fff,#000><colcolor=#000,#fff>드랜 소드 3-60F, 샤크 엣지 3-60LF, 코발트 드레이크 4-60F
드랜 대거 4-60R, 피닉스 페더 3-60F, 피닉스 소어 9-60GF
밸런스 타입 헬즈 사이드 4-60T, 레온 클로우 5-60P, 헬즈 체인 5-60HT
스태미너 타입 위저드 애로우 4-80B, 바이퍼 테일 5-80O, 와이번 게일 5-80GB
디펜스 타입 나이트 실드 3-80N, 나이트 랜스 4-80HN, 라이노 혼 3-80S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2024년 발매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 어택 타입 <colbgcolor=#fff,#000><colcolor=#000,#fff>드랜 버스터 1-60A, 티라노 비트 4-70Q, 코발트 드래군 2-60C
에어로 페가시우스 3-70A, 베어 스크래치 5-60F
워리어 세이버 2-70L, 프테라 스윙 7-70RA
닌자 나이프 4-60LF, 임팩트 드레이크 9-60LR
밸런스 타입 유니콘 스팅 5-60GP, 헬즈 해머 3-70H, 펄 타이거 3-60U
웨일 웨이브 5-80E, 크림슨 가루다 4-70TP
맘모스 터스크 2-80E
스태미너 타입 위저드 로드 5-70DB, 피닉스 러더 9-70G, 실버 울프 3-80FB
고스트 서클 0-80GB
디펜스 타입 스핑크스 카울 9-80GN, 닌자 섀도우 1-80MN, 블랙 터틀 4-60D
레온 크레스트 7-60GN, 나이트 메일 3-85BS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2025년 발매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 어택 타입 <colbgcolor=#fff,#000><colcolor=#000,#fff>크로코 크런치 2-60Q
밸런스 타입 쉘터 드레이크 7-80GP
스태미너 타입
디펜스 타입 골렘 록 1-60UN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크로스오버 프로젝트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탑블레이드 <colbgcolor=#fff,#000><colcolor=#000,#fff>드랜져 스파이럴 3-80T, 트라이피오 3-60N
드라이거 슬래시 4-80P, 드래셀 실드 7-60D
드라군 스톰 4-60RA
메탈 베이블레이드 라이트닝 엘드라고 1-60F, 스톰 페가시스 3-70RA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빅토리 발키리 2-60RA, 제노 엑스칼리버 }}}}}}}}}
그 외 베이블레이드는 베이블레이드X/베이블레이드 문서 참조 }}}}}}}}}}}}
<colbgcolor=#216C89><colcolor=#fff> 와이번 게일 5-80GB
ワイバーンゲイル・ファイブエイティー・ジービー
Gale Wyvern 5-80GB
파일:와이번 게일 5-80GB.png
제품 분류 <colcolor=#000,#fff>BX-24-01 랜덤 부스터
시스템 파일:베이식 라인.png 베이식 라인
타입 우회전 스태미너 타입
파츠 블레이드: 와이번 게일
래칫: 5-80
비트: 기어 볼
발매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3년 12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04월 11일
1. 개요2. 파츠
2.1. 블레이드: 와이번 게일2.2. 래칫: 5-802.3. 비트: 기어 볼
3. 미디어 믹스에서
3.1. 작중 행적3.2. 사용 기술
4. 기타

[clearfix]

1. 개요

베이블레이드X베이블레이드. 피닉스 소어 9-60GF와 함께 일본에서 2023년 마지막으로 발매한 베이블레이드다.

2. 파츠

2.1. 블레이드: 와이번 게일

파일:베이블레이드X/타입 아이콘/우회전.png 파일:베이블레이드X/타입 아이콘/스태미너.png
와이번 게일
ワイバーンゲイル | Gale Wyvern
파일:베이블레이드X/파츠/와이번 게일.png
4개의 유선형 날로 공기 저항을 줄여 계속 회전하는 데 유리.
날개를 펼친 비룡이 모티브인 스태미너 타입 블레이드. 형태와 디자인은 좋지만 무게가 약 32g으로 매우 가볍기 때문에 채용률은 거의 없다시피 하다.

2.2. 래칫: 5-80

5-80
파일:
베이를 높게 세팅하는 파츠. 원심력이 높은 5개의 두꺼운 날을 사용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바이퍼 테일 5-80O 문서
2.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비트: 기어 볼

파일:베이블레이드X/타입 아이콘/스태미너.png
[ruby(기, ruby=G)]어 [ruby(볼, ruby=B)]
ギヤボール | Gear Ball
파일:베이블레이드X/파츠/기어 볼.png
자세를 안정시키는 커다랗고 둥근 축 끝에 기어가 축 끝까지 내려와 카운터도 실현했다.
이 비트의 진가는 안 그래도 좋은 평가를 받는 볼 비트를 덱 하나에 합법적으로 2개 채용할 수 있다는 것에 있다. 볼 비트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뒷심이 뛰어나고 기어를 통해 오버 피니시에 저항이 가능하며 외곽에 더 오래 머무르고 궤도를 만들기 쉬워 X대시를 회피하는데 유리하다. 하지만 개체와 사용자의 실력에 따라 폭주 위험성이 있으며 버스트 내성은 그대로이기 때문에 채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3. 미디어 믹스에서

파일:하하 와이번.jpg
카도바(카이)의 베이블레이드로 등장한다.

애니메이션 한정으론 1호가 사용하는 베이로 기어칩과 색상을 바꾼 베리베리 붐 5-80GB이 등장한다.

그 다음에 TVA 오리지널 캐릭터인 버드의 친구인 타카노 츠바사도 원조 와이번 게일를 사용한다.[1]

3.1. 작중 행적

TVA 11화 - 데뷔전으로 페르소나의 카도바의 시험에서 상대, 첫번째는 헬즈 체인으로 상대, 체인 블래스트로 패배를 당한 뻔했다. 그리고 익스트림 대시 플랩핑 윙즈로 헬즈 체인을 오버 피니시로 시켜 승리한다.[2] 두번째 상대는 위저드 애로우로 상대, 결국에는 공격하지 못하고 도망치기만 했기 스핀 피니시로 패배한다. 마지막 상대가 드랜 대거로 상대, 오버 피니시로 패배한다.

TVA 31화 - 과거 회상에서 엑스트라 베이를 오버 피니시로 날려 승리한다. 그후에 현재로 돌아와서 위저드 로드의 상대, 스핀 피니시로 패배한다.

TVA 59화 - 더블 익스트림 스타디움으로 테스트로 베리베리 봄과 상대, 익스트림 대시 플랩핑 윙즈로 베리베리 봄을 오버 피니시로 승리한다.[3]

TVA 65~66화 - TVA 오리지널 캐릭터인 타카노 츠바사도 이베이를 사용한다. 쿠레 쿠레오 샤크 엣지로 상대한다. 익스트림 대시 츠바 메가 에시로 오버 피니시로 쿠레오의 샤크 엣지로 날려 승리한다. 그후에 버드의 스트라이크 호크와 대결. 첫번째 배틀에서는 슛을 실수로 쏘기 때문에 스핀 피니시로 패배. 두번째 배틀에서 슛을 제대로 쏴고 완전한 배틀을 한다. 익스트림 대시로 스트라이크 호크로 공격을 했지만, 스트라이크 호크가 다행히 살아남았고 와이번 게일이 오버 피니시로 패배한다.

3.2. 사용 기술

4. 기타

3세대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이어서 두번째 와이번 모티브 베이다.[4]


[1] 레플리카인지 아니면 재대로 된 원조 베이인지 불명.[2] 이상하게도 원작에서는 기술명이 밝혀주는데 애니메이션에서는 기술명이 밝혀진 않았다.[3] 여담으로 와이번 게일이 제대로 익스트림 대시 기술명이 밝혔다.[4] 3세대는 디펜스형 이지만 4세대는 스태미너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