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진도군의 초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고성초등학교 | 군내북초등학교 | 금성초등학교 | 석교초등학교 |
오산초등학교 | 의신초등학교 | 의신초등학교 접도분교장 | 의신초등학교 모도분교장 | |
조도초등학교 | 조도초등학교 거차분교장 | 조도초등학교 관사분교장 | 조도초등학교 대마분교장 | |
지산초등학교 | 진도서초등학교 | 진도서초등학교 가사도분교장 | 진도초등학교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colbgcolor=#6aa84f><colcolor=#ffffff> 지산초등학교 智山初等學校 Jisan Elementary School | |
개교 | 1933년 04월 28일 지산공립보통학교 |
유형 | 병설 초등학교 |
성별 | 남녀공학 |
형태 | 공립 |
교장 | 김영전 |
교감 | 정형식 |
교화 | 동백꽃 |
교목 | 향나무 |
학생 수 | 59명[기준] |
교직원 수 | 13명[기준] |
관할 교육청 | 전라남도진도교육지원청 |
주소 |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인지독치1길 21-12 |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에 위치한 초등교육기관이다.2. 학교 연혁
1933년 | 04월 28일 지산공립보통학교 개교 |
1995년 | 03월 01일 고야초등학교 통폐합 |
1996년 | 03월 01일 오송, 보전분교장통폐합 |
2008년 | 03월 01일 지산초등학교 길은분교장 통폐합 |
2009년 | 03월 01일 지산서초등학교 통폐합 |
2017년 | 09월 01일 제30대 김형태 교장 부임 |
2018년 | 03월 01일 예술꽃씨앗학교 선정(2018.03.01.~2022.02.28.) |
2021년 | 09월 01일 제31대 김영전 교장 부임 |
2023년 | 02월 10일 제87회 졸업(총 4,716명) |
3. 교훈 및 상징
- 출처: 지산초등학교 홈페이지
3.1. 교화
동백꽃을 교화로 삼고 있다. 차나무목 차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서 울릉도와 남·서 해안가 산지에 자라는 상록소교목이다.[3] 지산초교 재학생의 인내를 상징한다.3.2. 교목
향나무를 교목으로 삼고 있다. 측백나무목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겉씨식물로서 산지의 햇볕이 잘 드는 암석 지역에서 자란다.[4] 지산초교 재학생의 기상을 상징한다.3.3. 교육목표
꿈·보람·감동 클릭! 모두가 보배롭게 성장하는 BEST 지산행복교육 | ||
나누고 배려하는 착한이 (Beneficent) | B | 맑은마음·바른행동 실천하기 더불어 사는 공동체의식 함양하기 |
스스로 공부하는 똑똑이 (Elite) | E | 기초·기본학력 신장하기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하기 |
몸과 마음이 건강한 튼튼이 (Strong) | S | 건강관리 능력기르기 안전하고 행복한 학교만들기 |
나를 가꾸는 멋쟁이 (Telented) | T | 꿈과 끼를 키우고 표현하기 글로벌 의사소통능력 신장하기 |
3.4. 교가
1절
장엄한 지력산에 구름 개이고
우뚝 솟은 부엉봉에 햇살이 돋네
기름진 지산 뜰에 웅장한 학교
천만건아 뛰노는 우리 지산교
2절
애국의 일편단심 우리의 신념
다도해의 푸른 물결 우리의 기상
꾸준한 노력과 굳은 단결로
세우자 희망의 탑 우리 지산교
지산초등학교 교가, 작사 김재홍 / 작곡 신화용[5]
장엄한 지력산에 구름 개이고
우뚝 솟은 부엉봉에 햇살이 돋네
기름진 지산 뜰에 웅장한 학교
천만건아 뛰노는 우리 지산교
2절
애국의 일편단심 우리의 신념
다도해의 푸른 물결 우리의 기상
꾸준한 노력과 굳은 단결로
세우자 희망의 탑 우리 지산교
지산초등학교 교가, 작사 김재홍 / 작곡 신화용[5]
4. 학교 시설
교수학습공간 | 일반교실 7실 교과교실 1실 특별교실 3실 기타 2실 |
학습지원공간 | 시청각실 1실 컴퓨터실 1실 기타 1실 |
교원지원공간 | 1실 |
관리행정공간 | 10실 |
체육집회공간 | 1실 |
보건위생공간 | 보건실 1실 학생샤워실 2실 남자화장실 6실 여자화장실 6실 |
학생식당 | 1실 |
기타공간 | 12실 |
5. 학교 생활
5.1. 학교 일과
2023학년도 수업일수 및 수업시수 현황,(단위:일,명), | ||
수업일수 | 1학년 | 190 |
2학년 | 190 | |
3학년 | 190 | |
4학년 | 190 | |
5학년 | 190 | |
6학년 | 190 | |
주당 수업시수 | 157 | |
수업교원수 | 7 | |
주당 평균 수업시수(교사 1인당) | 22.4 |
2023학년도 방과후학교 프로그램,(단위:개,명), | |||
구분 | 교과 | 특기적성 | 계 |
프로그램 수 | 1 | 9 | 10 |
수강학생 수 | 13 | 207 | 220 |
참여학생 수 | 44 |
2023학년도 초등돌봄교실,(단위:개,명), | |||
구분 | 오후돌봄 | 저녁돌봄 | 방과후 학교 연계형 돌봄 |
운영교실수 | 1 | 0 | 0 |
참여학생수 | 15 | 0 | 0 |
초등돌봄참여학생중 특수교육대상학생수 | 0 | ||
특수학교종일반 | 학급수 | ||
참여학생수 |
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6.1. 버스
인지 (삼당리 방향) | 송호·동구(돈치·상미·송호·동구) | 진도공영터미널-동구 |
송호·동구(송호·동구) | 진도공영터미널-동구 | |
송호·동구(송호·동구·봉암·길은) | 진도공영터미널-동구 | |
인지 (관마 방향) | 송호·동구(돈치·상미·송호·동구) | 진도공영터미널-동구 |
송호·동구(송호·동구) | 진도공영터미널-동구 | |
송호·동구(지도·앵무·송호·동구) | 진도공영터미널-동구 | |
지도·봉상(지도·앵무·봉상) | 진도공영터미널-봉상 | |
지산 (삼당리 방향) 지산 (와우2 방향) | 세방·마세(세방·금노·마세) | 진도공영터미널-마세 |
세방·마세(세방·마세) | 진도공영터미널-마세 | |
세방·마세(세방·마세·봉암) | 진도공영터미널-마세 | |
세방·마세(앵무·세방·마세) | 진도공영터미널-마세 | |
송호·동구(송호·동구·봉암·길은) | 진도공영터미널-동구 | |
지산 (상고야리 방향) | 갈두·소포(십일시·갈두·소포) | 진도공영터미널-소포 |
갈두·소포(십일시·고길·소포) | 진도공영터미널-소포 | |
갈두·소포(십일시·소포) | 진도공영터미널-소포 | |
갈두·소포(십일시·소포·쉬미) | 진도공영터미널-소포 | |
갈두·소포(왕돈지·상미·용산) | 진도공영터미널-소포 | |
송호·동구(송호·동구·봉암) | 진도공영터미널-동구 | |
지도·봉상(지도·봉상) | 진도공영터미널-봉상 | |
지도·봉상(지도·앵무·길은) | 진도공영터미널-봉상 | |
지산 (삼당리 방향) | 송호·동구(지도·앵무·송호·동구) | 진도공영터미널-동구 |
쉬미·소포(쉬미·소포) | 진도공영터미널-소포 | |
쉬미·소포(쉬미·소포·고길) | 진도공영터미널-소포 | |
쉬미·소포(쉬미·소포·상미·왕무) | 진도공영터미널-소포 | |
쉬미·소포(쉬미·소포·안치·고길) | 진도공영터미널-소포 | |
쉬미·소포(쉬미·소포·안치·삼당) | 진도공영터미널-소포 | |
쉬미·소포(해창·쉬미·소포) | 진도공영터미널-소포 |
인지 (삼당리 방향) | 도보 4분 | 301m | 횡단보도 1회 |
인지 (관마 방향) | 도보 4분 | 314m | |
지산 (삼당리 방향) | 도보 5분 | 361m | |
지산 (와우2 방향) | 도보 6분 | 409m | 횡단보도 1회 |
지산 (상고야리 방향) | 도보 6분 | 429m | 횡단보도 2회 |
지산 (삼당리 방향) | 도보 6분 | 451m | 횡단보도 1회 |
7. 기타
- 녹색을 학교를 상징하는 색으로 삼고 있다. 지산초교 재학생의 희망을 상징한다.
- 교가에 등장하는 지력산(智力山)은 진도군 지산면 서쪽에 위치한 산을 가리킨다. 중생대 백악기 화산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진도군 향토유적 3호로 지정된 지력산 동백사지가 있다.[6]
- 교가에 등장하는 부엉봉은 지산면 관마리에 위치한 큰부엉산으로 추정한다. 산의 남동쪽 사면부에는 관마 고분군 1호가 있으며 5기의 고분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7]
- 교가에 등장하는 지산(智山)은 지산면(智山面)을 가리킨다. 북서쪽은 서해와 접하고 있으며, 동북부와 서남부의 하천 연안에는 평야가 발달하였다. 봉암저수지와 심동저수지 등 관개용 저수지가 많이 있다. 마을 이름의 정확한 유래는 전해지지 않지만, 1895년(고종 32) 지방관제를 개정할 당시 지력산의 이름을 따서 지정했다는 기록이 있다.[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