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8 11:11:19

커크 맥카티

커크 맥카시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c2848><tablebgcolor=#0c2848> 파일:중신 브라더스 로고.svg중신 브라더스
2024 시즌 투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c2848
11 랴오이중 15 왕카이정 17 린화칭 18 궈다위안 19 정카이원 20 장중청
21 펑스잉 22 우웨이화 33 왕처쥔 34 리전창 37 왕쯔안 38 린청쉬안
41 정자옌 46 데 폴라 48 추핀뤼 49 위젠 50 차이치저 54 왕이카이
55 모리만도 56 양즈룽 58 뤼옌칭 59 청자훙 62 천후 64 황언츠 79 셰룽하오
80 웨이숴청 82 양다샹 83 황훙이 88 류융친 93 우저위안 94 우쥔웨이
97 라이블리 99 저우레이 105 타카노 케이스케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
}}}}}}}}}}}}}}} ||
커크 맥카티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e0e2d><tablebg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fff>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풀리엄 파일:미국 국기.svg
뮬렌(2)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브리또(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혼즈(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러시아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스텔라노(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러핀(3)(2) 파일:미국 국기.svg
잉글린(3)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매기(3) 파일:미국 국기.svg
디아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브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카브레라(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크루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차바치(3) 파일:미국 국기.svg
시오타니(2) 파일:일본 국기.svg
세라노(3) 파일:미국 국기.svg
피커링(2) 파일:미국 국기.svg
카브레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마노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쿠비얀(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레이(3)(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니코스키(2) 파일:미국 국기.svg
글로버(3)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2) 파일:캐나다 국기.svg
카도쿠라(3) 파일:일본 국기.svg
<rowcolor=#ffffff>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카도쿠라 파일:일본 국기.svg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매그레인(2) 파일:미국 국기.svg
고든(3) 파일:미국 국기.svg
마리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로페즈(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부시(3) 파일:미국 국기.svg
슬래튼(1)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3)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2)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3) 파일:미국 국기.svg
울프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2)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2)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3)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고메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세든(2) 파일:미국 국기.svg
라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다이아몬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워스(2)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3) 파일:캐나다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다익손(2) 파일:캐나다 국기.svg
소사(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핀토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킹엄(2)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3)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르위키(2) 파일:미국 국기.svg
가빌리오(3) 파일:미국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노바(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모리만도(3) 파일:미국 국기.svg
크론(2) 파일:미국 국기.svg
라가레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맥카티 파일:미국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로메로(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엘리아스(3) 파일:쿠바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엘리아스 파일:쿠바 국기.svg
시라카와(4) 파일:일본 국기.svg
더거(2) 파일:미국 국기.svg
앤더슨(3)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화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앤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 ||

커크 맥카티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등번호 59번
카를로스 카라스코
(2009~2020)
<colcolor=#FFFFFF> 커크 맥카티
(2022)
카를로스 카라스코
(2024)
SSG 랜더스 등번호 33번
모리만도
(2022.7.19.~2022)
맥카티
(2023)
더거
(2024~2024.4.26.)
중신 브라더스 등번호 18번
권 다위안
(2023)
커크 맥카티
(2024~)
현역
}}} ||
}}} ||
파일:克迪.jpg
<colbgcolor=#0c2848><colcolor=#ffd800> 중신 브라더스 No.18
커크 맥카티
Kirk McCarty | 克迪
본명 커클런드 매카티
Kirkland McCarty
출생 1995년 10월 12일 ([age(1995-10-12)]세)
미시시피 주 해티스버그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오크 그로브 고등학교 - 서던 미시시피 대학교
신체 173cm, 83kg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2017년 드래프트 7라운드 (전체 222번, CLE)
소속팀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2022)
SSG 랜더스 (2023)
중신 브라더스 (2024~)
등장곡 House of Pain - 《Jump Around[1]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
3.1. 피칭3.2. 내구성 및 이닝 소화력
4. 연도별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중신 브라더스 소속 좌완 투수.

2. 선수 경력

2.1.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파일:가디언스맥카티.jpg
2019년까지는 마이너 리그에서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하다가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시즌을 포기했고 2021년 AAA에서 자리 잡는 데 성공했다.

2022년 4월 20일 코로나-19로 인해 메이저에 콜업되는 데 성공해 4월 24일 메이저 리그 데뷔도 해냈으나 바로 다음 날 마이너로 강등되었다. 이후로도 이런 식으로 단기간의 콜업으로 선발 등판 후 강등되는 일이 계속되다가 7월 3일 DFA되었다.

볼티모어 오리올스가 웨이버 클레임으로 맥카티를 영입했으나 볼티모어에선 AAA에 머물다가 7월 12일 재차 DFA되었다. 이번엔 친정팀 클리블랜드가 웨이버 클레임으로 다시 데려왔고 이후 AAA와 메이저를 오가며 18⅓이닝 ERA 2.95로 롱릴리프로서 괜찮은 활약을 했다.

피출루 억제 면에서는 나름 괜찮았으나 메이저리그에서 9이닝당 홈런 2.63개라는 과하게 많은 피홈런과 극단적인 스몰사이즈라는 점에서 11월 15일 DFA되었고 17일 방출되었다.

그렇게 얼마 지나지 않은 11월 23일 윌머 폰트의 메이저 리그 도전, 숀 모리만도와 재계약하지 않는다는 결정으로 새 외국인 투수를 구하고 있던 SSG 랜더스와 계약에 근접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2.2. SSG 랜더스

2.2.1. 2023 시즌

파일:맥카티 2023.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커크 맥카티/선수 경력/2023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시즌 성적은 24경기 130이닝 9승 5패 ERA 3.39 WHIP 1.30으로 수치상으로는 준수해 보이나 후반기 들어 공략당하는 횟수가 잦아졌으며 중요한 순간마다 부상으로 이탈하는 인저리프론 기질을 보여줬다.

결국 11월 28일, 보류선수 명단에서 빠지면서 재계약에 실패했다.

2.3. 중신 브라더스

2024년 1월 17일 중신 브라더스와 계약했다. 구단에 따르면 1월 말 스프링캠프에 합류할 예정이다.

최근 KBO 리그에서 시즌 중간 대체 선수를 영입할 경우, 대만에서 뛰는 선수들도 훌륭한 대안이 되고 있기에 상황에 따라 한국에 다시 입성할 가능성도 있다. 맥카티의 KBO 성적 자체는 좋은 축에 속했기 때문.

정규 시즌 개막을 앞두고 또다시 부상이 발목을 잡아 전력에서 이탈했다. 맥카티는 타이베이돔에서 열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교류전 이후 왼팔에 불편함을 호소했고 병원에서 정밀 검진을 받은 결과 왼쪽 팔꿈치 염증 증세로 밝혀졌다. 구단 관계자는 정규 시즌 개막전에 나서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전했다.

5월 5일부터 2군 경기에 등판하기 시작했으며 4경기에 등판해 19이닝동안 9피안타 2실점 17탈삼진 2실점 방어율 0.95로 호투했다. 26일 타이강 호크스전 등판 후 1군으로 콜업되었다.
시즌 개막 약 2달 후인 6월 4일 라쿠텐 몽키스 전에 선발 등판하면서 대만프로야구 데뷔전을 치렀다. 총 106구를 던지면서 7이닝 5피안타 2볼넷 4탈삼진 무실점으로 퀄리티 스타트 플러스를 기록했고 시즌 첫 승을 달성했다.

6월 11일 라쿠텐 몽키스 전에 선발 투수로 등판했다. 5이닝 동안 8피안타(1피홈런) 2탈삼진 2실점을 기록했고 2-1로 뒤진 상황에서 마운드를 내려갔다. 9회까지 중신이 점수를 뒤집지 못하면서 시즌 첫 패배를 떠안았다.
이후 다시 2군으로 내려갔으며 6월 27일 타이강 호크스 2군전에 선발 투수로 등판해 4이닝 4피안타 3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했다. 여담으로 이 날 수염을 깎고 등장해 팬들의 관심을 받았다.# 이후 1군으로 승격되었다.

7월 7일 퉁이 라이온스와의 경기에서 선발 투수로 등판해 6.1이닝 3피안타 7탈삼진 1실점으로 호투했고 승리 투수가 되었다. 시즌 2승.

7월 14일 웨이취안 드래곤스와의 경기에서 선발 투수로 등판했다. 8이닝 3피안타 8탈삼진 1실점으로 활약했으나 패전 투수가 되었다. 시즌 2패.

8월 2일 푸방 가디언스와의 경기에 선발 투수로 등판했다. 6이닝 7피안타 1탈삼진 4볼넷 3실점을 기록한 채 마운드를 내려갔다.

8월 8일 웨이취안 드래곤스와의 경기에서 선발 투수로 등판해 5⅓이닝 7피안타(2피홈런) 6탈삼진 2볼넷 3실점을 기록했고 승리 투수가 되었다. 시즌 3승. 현재까지 맥카티는 6경기에 출장해 37⅔이닝 3승 2패 ERA 2.39 WHIP 1.12로 활약하고 있다.

3. 플레이 스타일

3.1. 피칭

파일:커크 맥카티 포심 패스트볼.gif
150km/h 포심 패스트볼
vs 신성현 (2023년 4월 28일)
파일:커크 맥카티 컷 패스트볼.gif
141km/h 컷 패스트볼
vs 박병호 (2023년 8월 1일)
파일:커크 맥카티 커브.gif
121km/h 커브
vs 김태연 (2023년 4월 9일)
전형적인 뜬공 피처. 최고 95마일(153km) 구속의 포심 패스트볼과 컷 패스트볼 위주의 투피치 유형[2][3]의 투수. 커터 자체는 수준급이라 할 수 있다.[4] 제구 자체는 준수한 편이나 가운데로 몰리는 실투가 많아 자주 난타당한다. 또한 한번 무너질 때 확 무너지는 편이다.

주자가 있을 때와 주자가 없을 때 피안타율이 크게 달라지는데 커크 맥카티는 주자가 있을 때 피안타율이 훨씬 높아서 난타당하지 않으려면 주자의 출루를 최대한 봉쇄할 필요가 있다.

신장이 겨우 173cm로 매우 작다. 더욱이 큰 키일 수록 유리한 편인 투수 포지션의 특성을 감안하면 정말 왜소한 키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최고 150km가 넘는 공을 뿌릴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꽤나 대단한 부분이다.[5]

3.2. 내구성 및 이닝 소화력

2018년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 싱글 A에서 기록한 146⅓이닝이 커리어 시즌 최다 기록이었으며 2021년 트리플 A에서 총 24번의 선발 등판을 가지고도 124이닝에 그쳤고 이후로는 선발과 불펜을 오가는 커리어를 지녔기에 풀타임 선발로 소화했을 때 체력 방전으로 인한 부상과 이닝 소화력이 우려가 되는 선수다.

KBO 리그에 와서 풀타임 1선발로 뛰게 되었는데[6] 1년이라는 다소 짧은 기간이었지만 통증 및 부상으로 인해 로테이션을 여러 차례 빠졌고, 맥카티는 2023시즌 총 24경기에 나와 130이닝을 소화해 규정이닝도 채우지 못했다.[7] 아래는 2023년 맥카티의 주요 부상 이력이다.

4. 연도별 성적

4.1.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대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fWAR bWAR
2022 CLE 13 4 3 0 0 37⅔ 4.54 37 11 13 1 26 1.327 85 -0.8 -0.3
MLB 통산
(1시즌)
13 4 3 0 0 37⅔ 4.54 37 11 13 1 26 1.327 85 -0.8 -0.3

4.2. KBO 리그

역대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23 SSG 24 130 9 5 0 0 0.643 3.39 124 10 46 116 58 49 1.30
KBO 통산
(1시즌)
24 130 9 5 0 0 0.643 3.39 124 10 46 116 58 49 1.30

5. 여담

6. 관련 문서


[1] 과거 최정이 장기간 등장곡으로 사용했던 지라 SSG 팬들에게 이미 익숙한 음악이다.[2] 정확히는 커브, 체인지업도 구사하긴 하나 포심과 커터의 비중이 무려 80%이다. 이중, 커브는 10.1% 비중으로 던지면서 포심, 커터 다음으로 비중이 높았다. 커브의 헛스윙 비율과 삼진율 자체는 나쁘지 않으나 평균보다 낮은 무브먼트로 인해 상대적으로 치기 쉬워 피안타율 .385 장타율 .692 가중출루율 .458일 정도로 매우 좋지 않았다. 또한, 체인지업으로는 MLB에서 삼진을 아예 잡지 못할 정도로 좋지 못한 모습을 보였다.[3] 슬라이더, 싱커, 포크 등의 구종도 구사하긴 하나 커브, 체인지업보다도 비중이 낮을 정도로 보여주기 식의 구종이다.[4] MLB에서도 득점 가치가 -1.5일 정도로 매우 준수하다.[5] 저 키로 150km 이상의 공을 던질 수 있다면, 만약 키가 10cm만 더 컸다면 거의 160km에 육박하는 공을 던졌을 지도 모른다.[6] 원래는 에니 로메로가 1선발로 뛸 예정이었는데 부상으로 인해 단 한 경기도 나오지 못하고 방출당하자 맥카티가 갑작스럽게 1선발이 되고 말았다.[7] 경기당 평균이닝 5.41[8] 이후 SSG 랜더스가 리그 3위를 차지하면서 준플레이오프에 직행하게 됐지만 맥카티의 몸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아 선발로는 나오지 못했고 탈락을 앞둔 3차전에서 불펜으로 복귀전을 치렀다.[9] 보통 왼손으로 필기할 경우 손에 잉크가 묻는 경우가 많아서 왼손잡이들도 필기만 오른손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또는 같은 팀의 김광현처럼 오른손잡이이지만 좌투좌타인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