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19-04-20 03:50:08

파일:무동.jpg

파일:제한적 이용(라이선스).svg이 파일은 나무위키에서 제한된 한도 안에서 쓰입니다.

본 이미지는 퍼블릭 도메인 혹은 자유이용 저작물이 아닌, 독점적 저작권이 존재하는 이미지입니다. 나무위키는 본 이미지를 제한된 한도 안에서 이용합니다.

※ 다음과 같은 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권리자는 해당 이미지가 나무위키에 게시되어 권리자의 정당한 권리를 침해한다고 여겨진다면 권리침해 도움말 문서 참고 후 메일로 문의해 주세요.
  2. 이 이미지를 업로드하거나 재사용하는 경우 법적 책임이 부과될 수 있음을 숙지해 주세요.
  3. 이 이미지의 출처는 나무위키가 아닙니다. 이미지를 재사용하는 경우 나무위키를 출처로 작성하지 마세요.



1. 기본 정보2. 이미지 설명

1. 기본 정보

출처 무동(舞童), 단원풍속도첩(檀園風俗畵帖)에서 종이에담채, 27cm x 22.7cm, 국립 중앙박물관 소장
날짜 1780년 경 작품으로 추정
저작자 http://my.dreamwiz.com/w8jebi/op/khd/khd13.html
저작권 http://my.dreamwiz.com/w8jebi/op/khd/khd13.html.
기타 기타 정보가 있으면 삽입해 주세요.

2. 이미지 설명

삼현육각의 훙겨운 가락에 맞추어 무동이 춤을 추고 있다. 두 팔의 한삼자락을 멀리 위 오른쪽으로 감아주고 오른발을 번쩍 들어 도약하는 경쾌한 발동작 그리고 만면에 웃을 띠고 왼쪽으로 숙인 고갯짓을 통해 춤의 절정적인 순간을 묘사하고 있다. 그것을 표현한 필선은 김홍도 특유의 힘이 배어 있는 딱딱한 철선묘(鐵線描)인데, 꺾임이 매우 힘차고 거친 갈필과 속도감을 더하여 묵직한 동감을 표현하였다. 반면에 악사들은 속도감을 줄인 딱딱한 철선묘로 일관하여 대조를 이루고 있다. 채색을 할 때에도 무동에게는 짙고 순도가 높은 색을 사용하였다. 이처럼 표현기법의 변화를 통하여 중심 인물을 생동감 있게 부각시켰다.
[네이버 지식백과] 무동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풍속화), 2002., 한국콘텐츠진흥원)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