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16 17:37:14

'-이'와 '-히'의 구별

1. 개요2. '-이'로 적는 것3. '-히'로 적는 것4. '-이'인지 '-히'인지 구별하는 법5. 관련 문서

1. 개요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 '-이'와 '-히'가 쓰인 부사의 예와 이들을 구별하는 법을 다루는 문서다.

2. '-이'로 적는 것

분명하게 /이/로만 발음되는 말

3. '-히'로 적는 것

분명하게 /히/로만 발음되거나 /이/, /히/ 둘 다로 발음되는 말('-하다'가 붙는 어근에 '-히'가 결합하여 부사가 된 가운데 어근의 끝 음절이 'ㅅ' 받침이 아닌 받침).

4. '-이'인지 '-히'인지 구별하는 법

보통 쓰는 쉬운 구별법은 '-하다'를 붙여서 말이 되고 끝 음절이 'ㅅ' 받침이 아니면[14] '-히'를 붙이고,[15] 끝 음절이 'ㅅ' 받침이거나 '-하다'를 붙여서 말이 안 되면[16] '-이'를 붙이는 것. 전자는 '-하게'를 쓰는 것도 한 방법. 다만, 후자에는 위 문단에도 있는 '익히', '특히' 같은 준말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C] 또한, 끝 음절이 'ㅅ' 받침이 아닌 어간에 '-하다'가 붙어도 '-이'로 표기하는 예외적 규칙도 있는데, 위에 있는 끝 음절이 'ㄱ' 받침인 어근 뒤에서 '-히' 말고 '-이'를 붙여야 되는 예외들이 있다. 이것들은 넓게 보면 '이' 불규칙 활용으로 볼 수도 있다.

예시로 든 단어를 포함해 '-이', '-히' 구별은 '깨끗히'나 '두둑히'같이 화자에 따라 달라져서 이 규칙이 모든 말에 반드시 적용된다고는 할 수 없다.

5. 관련 문서


[1] 다만, '많다'는 어원상으로 파생어 '만하다'의 준말이므로 '많이'는 '만히'가 분철된 것으로 볼 수 있다.[A] '간간'와 '간간'의 사전적 의미가 다르다.[B] '번번'(자주, 매번, 때마다)와 '번번'(울퉁불퉁하지 않고 매끈하게. 반반히의 큰말)의 사전적 의미가 다르다.[4] 모두 ㄱ/ㅂ으로 끝나서 거센소리 ㅋ/ㅍ이 된다.[5] 모두 모음이나 유성음인 ㄴ, ㄹ, ㅁ, ㅇ으로 끝난다.[A] [B] [8] '-히'가 없는 '자연'도 부사로 쓰인다. 제25항 2 때문에 '자연이'도 될 듯하지만 현실에서는 쓰이지 않는다.[9] 주로 한자어다.[C] '익하다'와 '특하다'는 안 되지만 국립국어원에서는 '익히'와 '특히'를 '익숙히'와 '특별히'의 준말로 본다.#[C] [12] '가하다': 1. 옳거나 좋다/2. 문제가 자기의 뜻에 맞아 좋다. '가히': '능히, 넉넉히'나 '과연, 결코'의 뜻을 나타냄.[13] '도저하다': 1. 학식이나 생각, 기술 따위가 아주 깊다/2. 행동이나 몸가짐이 빗나가지 않고 곧아서 훌륭하다. '도저히': 부정하는 말과 함께 쓰여 '아무리 하여도'의 뜻을 나타냄.[14] '공평하다', '능하다', '똑똑하다', '묵묵하다', '익숙하다', '특별하다', '다행하다' 등.[15] 다만 '-히'가 붙은 형태는 쓰지만 '-하다'의 활용형은 쓰지 않으면 이걸로도 구별할 수가 없다. 또한 '열심히' 같이 '-히'만 있고 '-하다'가 사전에 없는 경우도 있다.[16] '곰곰하다', '더욱하다', '일찍하다' 등 말이 안 되는 것. 그리고 '더욱이'와 '일찍이'는 1988년 개정 맞춤법 시행 전에는 어형을 밝히지 않아 '더우기'와 '일찌기'로 적었다.[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