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2 12:40:43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2026 FIFA 월드컵|[[파일:2026 FIFA 월드컵 로고(다크모드).svg|width=35]]]][br]'''[[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fff 2026 FIFA 월드컵 지역예선}}}]]'''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9px 10px;
'''[[아시아 축구 연맹|{{{#fff 아시아[br](AFC)}}}]]'''
<colbgcolor=#fff> 지역예선 <colbgcolor=#ffffff,#191919>1차예선
2차예선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I조)
3차예선 (A조 · B조 · C조)
PO GS (A조 · B조)
PO KS
대륙간PO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7px 10px;
'''[[아프리카 축구 연맹|{{{#fff 아프리카[br](CAF)}}}]]'''
지역예선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I조
PO
대륙간PO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7px 10px;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fff 북중미카리브[br](CONCACAF)}}}]]'''
지역예선 1차예선
2차예선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최종예선 (A조 · B조 · C조)
대륙간PO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남미 축구 연맹|{{{#fff 남미[br](CONMEBOL)}}}]]'''
지역예선 2023년 · 2024년 · 2025년
대륙간PO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fff 오세아니아[br](OFC)}}}]]'''
지역예선 1차예선
2차예선 (A조 · B조)
최종예선
대륙간PO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6px 10px;
'''[[유럽 축구 연맹|{{{#fff 유럽[br](UEFA)}}}]]'''
지역예선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I조 · J조 · K조 · L조
PO
조 추첨 }}}}}}}}}}}}


1. 개요2. 조 편성
2.1. 포트별 분석2.2. 추첨 결과
3. 중계4. 경기 진행5. 전체 총평6. 이변

1. 개요

2026 FIFA 월드컵2027 AFC 아시안컵아시아 지역 2차예선에 대해 정리한 문서. 4개팀이 9개조로 나뉘어져 홈 앤드 어웨이 풀리그를 벌여 상위 2팀이 3차예선에 진출하며, 동시에 이들은 모두 아시안컵 본선에도 진출하게 된다.
순위 성적 결과
1~18위 각 조 1·2위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3차예선 진출
2027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
19~36위 각 조 3·4위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진출

1차예선에서 탈락하지 않은 36개 팀을 넷씩 나누어 각 조마다 홈 앤드 어웨이 풀 리그를 실시하며, 각 조 1·2위는 다음 예선에 진출함과 동시에 아시안컵 본선행, 나머지는 아시안컵 3차예선으로 가게 된다.

아시안컵 출전권 24장 가운데 (개최국을 뺀) 17장 이상이 여기에 배정된다. 여기서 출전권을 따내지 못하면 아시안컵 3차예선에서 조 1위를 해야만 하는 험난한 경쟁이 기다리고 있으므로 중위권 팀 입장에서는 2차예선에서 일찌감치 아시안컵 본선 출전권을 획득하는 것이 유리하다.

2024년 3월 10일부터 4월 8일까지가 라마단 기간인 것이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이 기간 동안 2차예선 각 조 3차전과 4차전이 열리는데, 라마단을 준수하는 여러 이슬람 국가들의 성적이 요동칠 확률이 있다.

아울러 2024년 1월 12일부터 2월 11일까지 카타르에서 아시안컵이 진행된다. 2차 예선에 참가하는 국가 상당수가 이 대회에 참여하는데 일부 국가들이 이번 아시아 2차 예선에 배정된 조와 겹치게 된 까닭에 탐색전 개념도 겸하게 되었다.

2. 조 편성

조 추첨은 7월 27일, AFC 본부가 위치한, 말레이시아의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16시(한국 시간 17시)에 실시된다. 시드 배정은 2023년 7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한다.
순번 1포트 2포트 3포트 4포트
<colbgcolor=#000><colcolor=#fff> 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0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74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100위
1차예선 통과팀
2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2위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80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110위
1차예선 통과팀
3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27위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82위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113위
1차예선 통과팀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8위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86위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115위
1차예선 통과팀
5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54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94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135위
1차예선 통과팀
6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59위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95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136위
1차예선 통과팀
7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70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96위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137위
1차예선 통과팀
8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72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97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138위
1차예선 통과팀
9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73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99위
1차예선 통과팀 1차예선 통과팀
지난 월드컵 예선 2차예선과 비교하면 이라크와 오만이 2포트에서 1포트로 상승했으며, 중국은 1포트에서 2포트로 하락하고 팔레스타인·바레인·인도는 3포트에서 2포트로 상승하고 레바논은 2포트에서 3포트로 하락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조 추첨은 2023년 7월 FIFA 랭킹으로 4개의 포트로 나뉜 36개국이 참여하며, 1포트와 2포트는 각각 9개국, 3포트는 8개국으로 1~3포트 국가는 모두 2차예선 직행 국가다. 또한 4포트는 스리랑카의 극적인 참가가 확정되면서 10개국으로 늘어났는데, 4포트 전원은 모두 1차예선을 뚫은 국가들이 될 예정이다. 포트가 균일하게 나눠지지 않은 관계로, 4→3→2→1포트 순으로 추첨을 하며 4포트 추첨에서 끝까지 나오지 않은 대진이 3포트에 합류하여 추첨이 이뤄진다.

2.1. 포트별 분석

2.2. 추첨 결과

1포트 2포트 3포트 4포트
<colbgcolor=#000><colcolor=#fff> A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5]
B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6]
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7]
D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8]
E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9]
F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10]
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11]
H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12]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13]
I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14]

추첨 결과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C조에 배정되었으며, 중국, 태국, 싱가포르를 상대하게 되었다.

3. 중계

4. 경기 진행

2023년 11월, 2024년 3월·6월에 국가당 각각 2경기씩 총 6경기를 치른다. 구체적인 일정은 다음과 같다. (앞의 국가의 홈 경기)

2024년 3월에는 홈·원정을 바꾸어 같은 팀과 경기를 치른다.

4.1. A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A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fff>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6 5 1 0 18 3 +15 16 [확정1]
2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6 2 1 3 6 6 0 7 [확정1]
3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6 1 2 3 3 7 -4 5 [확정2]
4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6 1 2 3 3 14 -11 5 [확정2]
<rowcolor=#000,#fff> 월드컵 3차예선 진출 |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4.2. B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B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fff>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6 6 0 0 24 0 +24 18 [확정1]
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6 3 0 3 11 7 +4 9 [확정1]
3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6 2 1 3 9 12 -3 7 [확정2]
4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6 0 1 5 3 28 -25 1 [확정2]
<rowcolor=#000,#fff> 월드컵 3차예선 진출 |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4.3. C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C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fff>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6 5 1 0 20 1 +19 16 [확정1]
2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6 2 2 2 9 9 0 8 [24][확정1]
3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6 2 2 2 9 9 0 8 [26][확정2]
4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6 0 1 5 5 24 -19 1 [확정2]
<rowcolor=#000,#fff> 월드컵 3차예선 진출 |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4.4. D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D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fff>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6 4 1 1 11 2 +9 13 [확정1]
2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6 3 2 1 13 7 +6 11 [확정1]
3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6 3 1 2 9 9 0 10 [확정2]
4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6 0 0 6 2 17 -15 0 [확정2]
<rowcolor=#000,#fff> 월드컵 3차예선 진출 |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4.5. E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E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fff>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6 4 2 0 16 4 +12 14 [확정1]
2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6 4 2 0 13 4 +9 14 [확정1]
3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6 0 2 4 4 14 -10 2 [확정2]
4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6 0 2 4 4 15 -11 2 [확정2]
<rowcolor=#000,#fff> 월드컵 3차예선 진출 |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4.6. F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F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fff>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6 6 0 0 17 2 +15 18 [확정1]
2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6 3 1 2 8 8 0 10 [확정1]
3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6 2 0 4 6 10 -4 6 [확정2]
4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6 0 1 5 3 14 -11 1 [확정2]
<rowcolor=#000,#fff> 월드컵 3차예선 진출 |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4.7. G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G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fff>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6 4 1 1 16 4 +12 13 [확정1]
2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6 4 1 1 12 3 +9 13 아시안컵 개최국 [확정1]
3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6 2 2 2 11 7 +4 8 [확정2]
4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6 0 0 6 1 26 -25 0 [확정2]
<rowcolor=#000,#fff> 월드컵 3차예선 진출 |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4.8. H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H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fff>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6 5 1 0 16 2 +14 16 [확정1]
2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6 3 2 1 11 3 +8 11 [확정1]
3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6 1 2 3 5 9 -4 5 [확정2]
4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6 0 1 5 2 20 -18 1 [확정2]
<rowcolor=#000,#fff> 월드컵 3차예선 진출 |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4.9. I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I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fff>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6 6 0 0 22 0 +22 18 [확정1]
2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6 2 2 2 6 6 0 8 [확정1]
3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6 1 3 2 5 8 -3 6 [확정2]
4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6 0 1 5 1 20 -19 1 [확정2]

5. 전체 총평

1포트 팀은 예상대로 전부 여유롭게 3차예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외한 모든 팀이 조 1위로 진출했고, 사우디도 마지막 경기 요르단전을 패해서 그렇지 실질적으로 여유롭게 진출했다.

하지만 2포트 이하 팀들 사이에서는 이변이 속출했다. 일단 4년 전 월드컵 최종예선까지 갔던 레바논, 시리아, 베트남이 모두 3차 예선 진출에 실패했는데, 베트남과 레바논은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에서 보여준 안 좋은 모습으로 인해 탈락 가능성이 충분히 점쳐진 상황이었지만, 5개월 전 아시안컵에서 16강에 올라 이란과 승부차기까지 가는 혈투를 벌였던 시리아의 탈락은 이변으로 꼽힌다. 이외에도 지난 아시안컵 8강 진출팀인 타지키스탄, 아시안컵 16강 진출팀인 태국이 탈락했다.

반대로 이변을 쓰며 3차 예선에 진출한 팀들도 많다. 1차 예선을 치른 10개 팀, 4포트 9개 팀 중 유일하게 생존한 인도네시아가 사상 최초의 3차 예선 진출을 이뤄내며 동남아시아의 자존심을 살렸고[53], 최종예선 단골 팀 레바논을 제친 팔레스타인, 김판곤 감독의 말레이시아를 제치고 올라온 키르기스스탄도 사상 첫 3차 예선 진출이다. 월드컵 진출국이 늘어난 만큼 3차예선 진출국도 늘어나 오랜만에 복귀한 전통의 아시아 다크호스들도 눈에 띄는데, 지난 예선 충격의 2차 예선 탈락을 맛본 강호 우즈베키스탄이 8년 만에 2차 예선을 통과했으며, 바레인, 요르단은 12년 만에, 북한은 16년 만에, 쿠웨이트20년 만에 2차 예선을 통과했다.

한편 전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국가이자 FIFA가 예의주시하고 있는 중국인도는 희비가 엇갈렸다. 중국은 싱가포르 원정과 태국과의 홈경기에서 비기고 대한민국에게 두 번 다 지면서 3차 예선 진출이 불확실한 상황이었으나 최종전에서 태국이 2점차 승리에 그치면서 승자승으로 간신히 3차 예선에 턱걸이했으며, 인도는 카타르 원정에서 선제골을 넣으며 본선행에 가까이 다가갔으나 후반 73분과 85분에 2골을 허용하고 통한의 역전패를 당하며 3차 예선 티켓을 쿠웨이트에게 내줘야 했다.

한편 2차 예선 최종전 결과로 인해 포트가 요동쳤는데, 사우디아라비아는 6차전에서 요르단에 패하면서 이라크에 밀려 3포트로 주저앉았고, 키르기스스탄이 3차예선으로 올라온 여파로 실력 외적으로 까다로운 북한이 6포트로 내려가면서 죽음의 조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여담으로 현재 AFC 국가들 중 AFC 자격으로 월드컵에 출전했던 12개 국가는[54] 모두 중도 탈락 없이 전원 3차 예선으로 올라왔다.

6. 이변

전반적으로 1포트에서는 모든 국가가 3차 예선 진출을 확정지었는지라 마지막 경기에서 조 2위가 된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외하면 단일 경기가 아닌 조별 순위에서는 이변이 없었다. 그러나 그 아래로 내려가면 2포트 국가들이 3포트 국가들에게 밀리거나 고전하는 상황이 나타나고 있다.[55][56] 심지어 베트남과 필리핀은 4포트인 인도네시아에게 밀리는 경우도 있었다.[57]

4포트 인도네시아는 조별순위 2위를 현재까지 사수하고 있으며 같은 조의 2포트 베트남과 치열한 2위 싸움에서 한결 유리한 위치를 확보했다. 3포트 말레이시아 또한 잠깐이나마 조별순위 1위를 차지하는 등 힘을 내고 있다. A조의 4포트 아프가니스탄은 1포트 카타르를 상대로 무승부[58], 2포트 인도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이변을 만들었다. 싱가포르, 필리핀, 미얀마 등 대부분의 4포트 국가들은 탈락이 확정되었지만 이 세 국가 모두 지금까지 1무를 기록한 상황.

G조의 사우디아라비아는 조 1위로 3차 예선에 진출할 것이 유력했지만 최종전에서 요르단에게 지는 바람에, 2차 예선 1포트 팀 중 유일하게 조 2위로 떨어져서 3차 예선에서 3포트에 배정받았다. 이에 따라 사우디아라비아가 끼는 조는 죽음의 조에 걸린다.

최종예선 진출을 확정한 국가 중 눈에 띄는 국가는 I조 2위 팔레스타인으로, 당초 2위를 무난히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 레바논을 5경기 만에 3위로 밀어내고 생각보다 더 여유롭게 조 2위를 확보하는 선전을 펼쳤다. 2024년 1월에 펼쳐진 아시안컵 16강 진출에 이은 겹경사인 셈이다.


[1] 지난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에 실패했음에도 FIFA 랭킹에서 최종예선에 진출한 하위권 국가들(중국, 시리아, 베트남, 레바논)에 앞서는 등 최종예선에 진출할 만한 기반은 아직 단단하다.[2] 지난 월드컵 2차예선에서 1포트였고, 지난 최종예선에서 베트남에게도 지는 굴욕을 겪었지만 최종예선에 진출했던 것만으로도 아직까지는 2포트에서는 위협적인 상대가 맞다.[3] 요르단·바레인·시리아·팔레스타인이며, 중앙아시아 지역인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까지 포함할 시 6개 팀이다. 여기에 남아시아 지역인 인도도 중동 지역과 꽤 가깝다.[4] 시차 적응을 생각하면 중국·베트남이 더 선호된다.[5] 1차예선 1경기(아프가니스탄 vs 몽골) 승리팀[6] 1차예선 5경기(미얀마 vs 마카오) 승리팀[7] 1차예선 3경기(싱가포르 vs 괌) 승리팀[8] 1차예선 7경기(대만 vs 동티모르) 승리팀[9] 1차예선 9경기(홍콩 vs 부탄) 승리팀[10] 1차예선 8경기(인도네시아 vs 브루나이) 승리팀[11] 1차예선 6경기(캄보디아 vs 파키스탄) 승리팀[12] 1차예선 4경기(예멘 vs 스리랑카) 승리팀[13] 1차예선 10경기(네팔 vs 라오스) 승리팀[14] 1차예선 2경기(몰디브 vs 방글라데시) 승리팀[확정1]
월드컵 3차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확정1]
월드컵 3차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확정2]
월드컵 본선 진출 실패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확정2]
월드컵 본선 진출 실패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확정1] [확정1] [확정2]
월드컵 본선 진출 실패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확정2]
월드컵 본선 진출 실패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확정1]
월드컵 3차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24] vs 태국 승자승 우세.[확정1]
월드컵 3차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26] vs 중국 승자승 열세.[확정2]
월드컵 본선 진출 실패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확정2]
월드컵 본선 진출 실패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확정1] [확정1] [확정2] [확정2] [확정1] [확정1] [확정2] [확정2] [확정1] [확정1] [확정2] [확정2] [확정1]
월드컵 3차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확정1]
월드컵 3차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확정2] [확정2] [확정1] [확정1] [확정2] [확정2] [확정1] [확정1] [확정2] [확정2] [53] 인도네시아는 1938년 월드컵에서 본선에 진출한 경력이 있으나 지역예선에서는 다른 팀들의 기권으로 인해 실제로는 예선 경기 없이 본선에 직행했다. 그렇게 직행한 본선에서는 우승후보 팀인 헝가리를 만나 6:0으로 패배하고 바로 탈락, 아직까지도 역대 월드컵 본선에서 치른 경기가 1경기 뿐인 유일한 국가대표팀으로 남아있다.[54] 마지막 월드컵 참가 기준으로 대한민국, 일본, 이란, 호주,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2022), 북한(2010), 중국(2002), 아랍에미리트(1990), 이라크(1986), 쿠웨이트(1982), 인도네시아(1938). 1970년 대회에 아시아·오세아니아 대표로 참가했던 이스라엘은 이후 UEFA로 소속을 옮겼다.[55] A조의 인도와 쿠웨이트, B조의 시리아와 북한, C조의 중국과 태국, D조의 키르기스스탄과 말레이시아 등[56] 팔레스타인은 말만 2포트지, 사실상 3포트급인 것을 감안하면 이 쪽도 포함된다.[57] 다만 인도네시아는 1차예선을 거쳐야 할 정도의 약체가 아니어서 명목상으로만 4포트지 실질적으론 3포트 필리핀보다 더 강하고 2포트 베트남과도 전력 차이가 적다는 평이 있다.[58] 다만 카타르는 2군 전력으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