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딩 카드 게임 《매직 더 개더링》의 카드.
1. 개요
Death's Shadow 죽음의 그림자 | |
생물 ― 화신 | |
죽음의 그림자는 -X/-X를 받는다. X는 당신의 생명 총점이다. 촛불이 약해지면 그 그림자는 더 커지기 마련이다. | |
13/1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사용 가능 범위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스탠다드 | 알케미 | ||
파이어니어 | 익스플로러 | |||
모던 | 히스토릭 | |||
레거시 | 타임리스 | |||
빈티지 | 파우퍼 | |||
커맨더 | }}}}}}}}} |
Phyrexian Dreadnought를 능가하는 마나 코스트 대비 최대 공방의 생물. 내 생명점이 줄어들 수록 강해진다는 점에서 세라의 화신과는 정 반대점에 서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냥 첫 턴에 나오면 자체 능력으로 -20/-20을 받고 그대로 무덤으로 직행한다. 발비는 B이지만 내 생명점이 반토막은 나야 위니로라도 쓸만해진다. 게임의 초반에는 나와봐야 사망이고 후반에는 이거 하나 나와봐야 이미 전세가 뒤집어진 후. 능력치는 재미나지만 실로 계륵같은 카드이다. 정적 능력이라 Stifle 같은 카드로 어떻게 손을 쓸 수도 없다.
일단은 자체 능력으로 가장 강력해질 수 있는 상황은 내 체력이 1 남아있을 때 12/12. 막강하긴 하지만 돌진, 선제공격, 신속, 비행, 치명타 기타등등 어떠한 능력도 없어서 높은 공방만으로 혼자 전세를 뒤집기는 힘들다. 대신 무덤에서는 13/13으로써 처리되는데다가 생명점이 높을 때 B로 나와서 알아서 자기발로 무덤으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꽤나 쓸모가 있는데, Sutured Ghoul 등의 무덤의 카드를 제거하고 그 공방을 가지는 생물들에게는 최고의 효율을 보여준다. 라브니카로의 귀환에서 나온 흉터 투성이 바롤즈의 경우 고작 B 하나로 생물에게 +1/+1 카운터 13개를 올려놓을 수 있다!
Postmortem Lunge 등의 1턴용 재활용 리애니 카드와의 효율이 꽤나 괜찮은 편. 살린 다음에 적덱을 섞어서 Assault Strobe로 더블 스트라이크를 날리거나 Fling으로 날리는 방법도 하나의 방법. 내 생명점을 잘만 컨트롤 할 수 있거나 무덤 활용 덱을 짜면 나름 필살기가 될 수 있다.
Platinum Angel, Abyssal Persecutor 등의 승리/패배 룰에 관여하는 카드와 함께해서 내 생명점이 -로 내려가도 죽지 않는 상황이 되는 경우, "음수인 X는 0으로 취급한다"는 규칙에 따라 13/13이 된다. 아몬케트까지는 음수인 X가 그대로 감산되어 역으로 공격력이 증가했었다.
2. 덱
모던에서 Death Zoo 또는 Suicide Zoo라고 불리는 덱의 키 카드이다. 초반에 일부러 생명을 까며 이 카드의 공방과 펌핑카드의 조합으로 역전을 노리는 덱이었고, 시간이 흘러 2017년 중반에는 그릭시스(흑청적) 죽음의 그림자가 1급 덱으로 부상했다. 저발비 고파워 생물(Death's Shadow, 황금 송곳니 타시구르, 거마그 아귀)과 저렴한 디나이 및 핸드 털기, 그리고 카운터로 나머지 덱을 채워넣은 덱이다. 강덱인건 분명하지만, 분명히 상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오랜만에 모던의 상태가 양호해졌다고 평해진다.그리고 레가시까지 내려갔다. UB Death Shadow 덱으로. 운용방식은 모던쪽 섀도우덱과 비슷하게 빠르게 내피를 째고 적절히 컨트롤하면서 델버와 섀도우로 패는 덱으로, 리저브드 카드가 Underground Sea 1~2장정도로 요구수가 적어서 쓰는 사람이 늘어나는 중.
3. 변형
3.1. 필멸성의 그림자
Shadow of Mortality 필멸성의 그림자 | |
생물 ― 화신 | |
당신의 생명 총점이 당신의 시작 생명 총점보다 적다면, 이 주문은 발동하는 데 “얼마든지 원하는 만큼 높게 탑을 쌓아라. 그림자는 항상 그보다 더 높은 곳에 도달하니까.” ―골목 벽에 휘갈겨 쓴 메시지 | |
7/7 |
뉴 카펜나의 거리에서 등장한 변형. 죽음의 그림자가 초반에 나올 수 있지만 나오자마자 무지막지한 -X/-X에 압사당하는 유형이라면 이쪽은 발비가 무지막지하게 커서 초반에 못 나오는 유형이다. 적절한 타이밍에 전장에 들어오려면 죽음의 그림자처럼 자해는 필수. 그런데 죽음의 그림자는 흑색 마나 하나로 전장에 들어올 수 있지만 필멸성의 그림자는 배를 열심히 째도 생물 하나에 못해도 흑색 마나 두 개는 먹는다. 거기에
3.2. 최후의 차량
The Last Ride 최후의 차량 | |
전설적 마법물체 ― 탑승물 | |
최후의 차량은 -X/-X를 받는다. X는 당신의 생명 총점이다. 백미러는 윈터가 실패하면 그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보여주었다. | |
13/13 |
에테르 드리프트의 탑승물 버전. 첫 턴에 던져도 안 죽는 엄청난 강화점을 얻어온 대신, 탑승 때문에 공격이든 방어든 개체수 하나 만큼을 추가로 손해본다는 약점을 얻게 되었다. 발매 시점에서 데쉐덱의 주류인 그릭시스가 소외되는 공포를 앞세운 섬망 미드레인지의 형태를 하고 있기 때문에, 마법물체가 된 것은 강화점에 가깝다. 패턴이 꼬이면 카드를 뽑아볼 수 있는 것도 장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