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8 17:17:20

검은 월요일


1. 1987년 10월 19일 주가 대폭락2. 2011년 주가 대폭락3. 2020년 3월 9일, 3월 16일 주가 대폭락4. NFL 정규시즌 마지막 경기 다음날

[clearfix]

1. 1987년 10월 19일 주가 대폭락

국내외 주요 경제 · 금융 위기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대공황|1929 ~ 1940년대
대공황
{{{#!wiki style="margin: 0 -10px; font-size: .9em"
]]
[[대침체|2008 ~ 2010년대
대침체
{{{#!wiki style="margin: 0 -10px; font-size: .9em"
]]
[[대봉쇄|2020 ~ 2023
대봉쇄
{{{#!wiki style="margin: 0 -10px; font-size: .9em"
]]
<colcolor=#000,#ddd> 금융 | 경제 | 제2차 세계 대전
대침체가 정확히 언제 끝났는지는 경제학자나 역사학자들마다 의견이 다르다.
}}}
||<tablewidth=100%><width=13%><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404040><colcolor=#ffffff> 20세기 이전
(연준 이전) ||<tablecolor=#000000,#dddddd>네덜란드 튤립 투기 파동(1636) · 미시시피회사 거품 사태(1718) · 남해회사 거품 사태(1720) · 1792년 공황(1792)· 1819년 공황(1819) · 1837년 공황(1837) · 1857년 공황(1857) · 검은 금요일(1869) · 당백전(1866) · 장기불황(1873-1896) · 1907년 은행 패닉(1907) ||
20세기
(연준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 초인플레이션(1919) · 쇼와 금융 공황(1927) · 1929년 월가 대폭락(1929) · 대공황(1929-1939) · 금 해금·쇼와 대공황(1930) · 오일 쇼크(1973-1979) · 검은 월요일(1987) · 일본 거품경제 붕괴(1985-) · 닷컴 버블(1995-2001) · 1997년 외환 위기(1997-2001)
2000년대 2002년 가계 신용카드 대출 부실 사태(2002) ·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2007) · 대침체(2008-) · 짐바브웨 초인플레이션(2008-) · 그리스 경제위기(2008-)
2010년대 베네수엘라 초인플레이션과 경제위기(2014) · 2014 브라질 경제위기(2014-2017) · 2015-2016년 중국 증시 폭락(2015-) · 브렉시트 증시 폭락(2016) · 튀르키예 리라화 폭락(2018-) · 아르헨티나 통화 위기(2018-) · 레바논 경제 위기(2019-)
2020년대 대봉쇄(2020-2023) · 2020년 주가 대폭락(2020) · 2021년 헝다그룹 파산 위기(2021) · 2022년 러시아 경제위기(2022) · 2022년 스리랑카 경제위기(2022) · 코로나 버블(2022) · 2022년 전 세계 물가 폭등(2022-2023) · 레고랜드 사태(2022) · 흥국생명 채권사태(2022) · 실리콘밸리 은행 파산(2023) · 2023년 은행 위기(2023) · 2023년 태영건설 부도 위기(2023) · 홍콩 ELS 사태(2024)
}}}}}} ||

1987년 10월 19일 월요일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DJIA)가 하루만에 508포인트, 즉 22.6%나 떨어졌다. 이는 DJIA 역사상 단일 하루 최대 하락률이었다.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시장도 큰 타격을 입었고, 블랙먼데이 이전의 주가를 회복하는 데는 2년이 걸렸다.

붕괴의 원인은 주가 고평가, 금리 상승 등 여러 가지가 있었다. 그 중 큰 주목을 받은 것은 시장이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할 때 대규모 매도를 촉발시킨 컴퓨터 기반 거래 프로그램의 도입이었다. 이로 인해 일종의 도미노 효과가 발생해 상황이 아주 빠르게 통제 불능 상태로 빠졌다.

이후, 이처럼 급격한 대규모 매도를 방지하기 위해 규제 변경이 이루어졌다. 가격이 너무 빨리 하락할 경우 일시적으로 거래를 중단하는 서킷브레이커가 도입되어 투자자들이 상황을 평가할 시간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사이드카도 이날을 계기로 도입되었다. 이는 시장 변동성이 커졌을 때 프로그램 거래 주문을 임시로 주요 거래소가 아닌 별도의 격리된 시스템으로 보내, 대규모 자동화 거래가 시장을 압도하고 추가적인 불안정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도이다. 즉, 변동성이 큰 거래를 별도의 "사이드카"에 넣어 주요 시장이 숨 쉴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라 보면 된다.

2. 2011년 주가 대폭락

미국 국채의 신용도가 떨어지며 일어난 주가 대폭락이다.

3. 2020년 3월 9일, 3월 16일 주가 대폭락

2020년 주가 대폭락 문서 참조


4. NFL 정규시즌 마지막 경기 다음날

NFL의 정규시즌 일정이 모두 종료된 일요일 다음날의 월요일을 말한다. 보통 이날 성적이 저조했거나 각 지구 최하위로 시즌을 마감한 팀들의 감독및 코칭스태프들이 정리해고 되는 날이기도 해서 붙여진 별칭이다. 구단 프런트 역시 이날 대거 해고되는 일이 있는데 대부분 계약 만료가 얼마남지 않은 경우로 한정하는 경우가 많고, 일부 살아남는 경우도 아주 없는건 아니나 십중팔구는 정리해고 대상에 어김없이 포함되며 이후 새 감독및 단장 물색및 탐색 기간을 가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