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23:52:37

벽성군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40001>
파일:북한 국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도소재지
해주시
강령군 과일군 룡연군 배천군 벽성군
봉천군 삼천군 송화군 신원군 신천군
안악군 연안군 옹진군 은률군 은천군
장연군 재령군 청단군 태탄군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碧城郡 / Pyŏksŏng County
벽성군
碧城郡 / Pyŏksŏng County
국가 북한
인구 90,753명
광복 당시 면적 1,552㎢
광역시도 황해남도
광복 당시 행정구역 20면
시간대 UTC+9

1. 개요2. 역사3. 지리4. 북한 기준 행정구역5.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clearfix]

1. 개요

황해남도 남부에 있는 군이다.

군 소재지인 벽성읍은 해방당시 가좌면 취야리였다.

광복 당시에 20개 면으로 이루어졌고 군청은 해주시 부용동(북본정)에 있었다.

2. 역사

원래 해주군(1895년에 23부제 시행으로 해주목에서 개편, 설치)이었으나, 1938년에 해주읍이 해주부로 분리 승격되며 나머지 지역은 벽성군이 되었다. '벽성'은 조선후기인 1608년에 해주목에서 강등된 벽성현(碧城縣)에서 유래되었다.

광복 이후 삼팔선이 그어지면서 가좌면 일부, 대거면 일부, 월록면 일부, 해남면 대부분, 동강면, 송림면 전 지역(서부)와 영천면 일부, 내성면 대부분, 추화면 대부분, 일신면, 청룡면 전 지역(동부)가 38선 이남에 위치하였는데 이렇듯 꽤 많은 면들이 남한령이 되면서 남한에서도 벽성군을 그대로 유지시킬 법도 했는데, 정작 벽성군의 중심지 역할을 해야 할 해주시가 북한령이 된 데다가, 결정적으로 38선 이북 지역을 제외하고 나니 해주만 때문에 두 동강 나버렸으므로 벽성군의 남한령 지역은 그대로 존치시키지 않고 서부 지역은 옹진군, 동부 지역은 연백군에 편입시켰다. 그 과정에서 가좌면은 옹진군 부민면에, 대거면과 월록면은 옹진군 옹진읍에, 영천면은 연백군 내성면에 편입시켰다. 물론 6.25 전쟁 휴전 이후에는 연평도를 제외한 전 지역이 옹진, 연백과 함께 완전히 북한령이 되고 말았지만. 같은 시기에 북측은 옹진군 옹진읍, 교정면, 가천면 각 일부를 편입했다.가 1951년에 해방 당시로 환원했고, 1952년에 태탄군, 신원군, 청단군을 분리 신설하며 면적이 크게 줄었다.

3. 지리

광복 당시에는 면적 1553 ㎢[1]해주시를 둘러싼 매우 큰 군이었으나, 1952년 북한 정권이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지금처럼 영역이 줄었다. 교통편으로는 옹진선 철도[2]가 지난다.

4. 북한 기준 행정구역

총 1읍 21리로 구성되어 있었다.2023년 6월 9일 로동신문 보도에서 '장해리'라는 지명이 보도되었다.

5.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545b96>
파일:황해도 휘장(이북5도위원회) 하양.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해주시 상징.png
해주시
파일:송림시 상징.png
송림시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545b96> ||
파일:벽성군 상징.png
벽성군
파일:연백군 상징.png
연백군
파일:금천군 상징.png
금천군
파일:평산군 상징.png
평산군
파일:신계군 상징.png
신계군
파일:장연군 상징.png
장연군
파일:송화군 상징.png
송화군
파일:은율군 상징.png
은율군
파일:안악군 상징.png
안악군
파일:신천군 상징.png
신천군
파일:재령군 상징.png
재령군
파일:황주군 상징.png
황주군
파일:봉산군 상징.png
봉산군
파일:서흥군 상징.png
서흥군
파일:수안군 상징.png
수안군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50%> 파일:곡산군 상징.png
곡산군 ||<width=50%> 파일:옹진군 상징.png
옹진군 ||
명목상 도청소재지 : 해주시
}}}}}}}}} ||

파일:벽성군기.png
파일:벽성군.jpg

벽성군은 대한민국에서 면을 가장 많이 관할하는 행정구역이다.


[1] 땅 넓기로 유명한 안동시와 면적이 거의 비슷하다![2] 광복 당시 행정구역상으로는 옹진선토해선 철도[3] 전라북도 완주군함경남도 정평군에 이름과 한자가 똑같은 면이 있다.[4] 해주읍 시가지 바로 서쪽 및 남쪽(38선 이남인 용당포 반도) 지역을 관할했으며, 1936년 일부 지역이 먼저 해주읍에 편입되었다.[5] 해주읍 시가지 바로 동쪽 지역을 관할했으며, 1936년 일부 지역이 먼저 해주읍에 편입되었다.[6] 저(滁) 자는 중국 장쑤성 난징시 북쪽으로 흘러 장강 하류에 합류하는 저하(滁河)라는 물줄기, 또는 안후이성 추저우시(滁州市) 지역을 가리키는 지명 글자이다. 위 두 지역의 지명으로만 쓰일 뿐 다른 뜻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