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03:04:22

비브리오 패혈증

1. 개요2. 원인3. 증상 및 대처방법4. 예방법5. 기타

1. 개요

비브리오 패혈증(Vibrio Septicemia)은 비브리오속세균인 비브리오 불니피쿠스(V. vulnificus) 등의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패혈증이다.

2. 원인

비브리오균이 체내에 유입, 증식하는 것을 비브리오 감염증(Vibrio vulnificus Infection) 또는 비브리오증, 비브리오병이라 부르며, 그 증상으로 만성 염증이나 급성 패혈증이 있다.

비브리오 불니피쿠스는 연어, 은어, 장어를 숙주로 삼으며, 37℃ 이상에서는 발육하지 않지만 25-30℃의 상온에서 왕성하게 증식한다. 양식장에서 종종 큰 피해를 가져온다. 비브리오 패혈증이나 급성 전격성형 용혈성연쇄구균 감염증 등은 흔히 오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세균에 오염된 해수 및 갯벌 등에서 피부에 있는 상처를 통해 감염이 되었을 때 나타난다. 특히 만성질환자(당뇨 환자, 간염 보균자 등), 소모성 질환자, 알코올중독 및 습관성 음주자, 면역기능 저하자(어린이나 노인 등)에게서 발병률이 높다.

주로 6~9월에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보고되며, 일단 감염되면 병의 진행이 빨라 사망률이 높은 질환[1] 이므로 조기진단 및 신속한 치료가 생존율에 큰 영향을 미친다. 비브리오균에 오염된 해산물을 생식하였을 경우 잠복기는 1~2일이나, 피부 감염의 경우는 약 12시간이다.

3. 증상 및 대처방법

감염 시 특징은 감염된 생물의 체표에 궤양이나 얼룩장출혈이 생기는 것이다. 피부 감염의 경우 상처 부위에 부종과 홍반이 발생한 뒤 급격히 진행되며 대부분의 경우 수포성 괴사가 생긴다. 기저 질환이 없는 청장년의 경우 구토, 설사, 복통 등으로 끝나고 매우 드물지만 피부감염이 나타난 경우에는 항생제 및 외과적 치료로 회복된다. 오염된 해산물을 생식하였을 때에는 급작스런 오한·발열·전신쇠약감 등으로 시작하며 때로는 구토와 설사까지 동반한다. 잠복기는 12~24시간이며,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발병 30여 시간 전후에 피부병소가 나타나는데, 특히 넓적다리와 엉덩이 등에 부종·발적·반상출혈·물집·궤양·괴사 등이 나타난다. 만성 간질환이 있는 40∼50대 남자의 경우 치명률이 높다.[2]

환자의 격리나 환경소독·검역은 필요 없다. 치료에는 페니실린·엠피실린· 세팔로틴·테트라시클린·클로로마이세틴 등 감수성 있는 항생물질을 투여하고, 상황에 따라 절제·배농·절개 등 외과적 처치를 시행한다.

4. 예방법

예방을 위해 어패류 보관 시 다른 식품과 분리해서 냉장보관하고, 56℃ 이상의 열로 가열하여 충분히 조리한 후 섭취해야 한다. 특히 간질환 환자, 알코올 의존증자, 당뇨병, 만성신부전증 등 만성질환자는 6~10월에 어패류 생식을 금하고, 해안 지역에서의 낚시나 갯벌에서의 어패류 손질 등을 피해야 한다. 여름철 해변에 갈 때 피부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하며, 상처가 났을 때에는 맑은 물로 씻고 소독을 해야 한다. 또한 문신을 했을 경우 시술을 받은 뒤 최소 15일 정도는 물 속에서 장시간 노출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3]

횟집에서는 18℃ 이하의 원거리 심해수를 수족관 물로 사용하고, 어패류 조리 기구를 끓이거나 염소소독을 해야 한다.[4]

5. 기타



[1] 무려 약 60%의 사망률을 보인다.[2] 특히 괴사가 심할 시에는 손이나 발을 절단하는 상황까지 나온다.[3] 실제로 미국에서 한 남성이 문신 시술을 받은 지 5일 만에 바다에서 수영을 하다 아물지 않은 상처로 세균이 침투해서 비브리오 패혈증에 감염되어 사망한 사례가 있다. (관련 기사)[4]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인용 링크[5] 파괴시킨 세포를 양분으로 삼아 번식하는 것이 마치 사람을 파먹는 것 같다는 논지인데, 이 논리로는 적혈구를 파먹고 터트리는 말라리아는 식인 원충이고, 발 피부와 땀을 양분삼아 번식하는 무좀도 식인 곰팡이가 된다.(...)[6] 심지어 박테리아바이러스라고 쓴 기사도 있는데, 둘은 전혀 다른 병원체이다.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