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14:32:11

샤니아 트웨인

샤니아 트웨인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슈퍼볼 로고.svgSuper Bowl
슈퍼볼 하프타임쇼 헤드라이너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연도는 경기일 기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I
1967
II
1968
III
1969
IV
1970
V
1971
VI
1972
VII
1973
VIII
1974
IX
1975
X
1976
XI
1977
XII
1978
XIII
1979
XIV
1980
XV
1981
XVI
1982
XVII
1983
XVIII
1984
XIX
1985
XX
1986
XXI
1987
XXII
1988
XXIII
1989
XXIV
1990
XXV
1991
뉴 키즈 온 더 블록
XXVI
1992
XXVII
1993
XXVIII
1994
XXIX
1995
XXX
1996
글로리아 에스테판 마이클 잭슨 클린트 블랙, 타냐 터커, 트래비스 트리트, 더 저드스 패티 라벨, 토니 베넷, 아투로 산도발, 테디 펜더그래스, 마이애미 사운드 머신 다이애나 로스
스티비 원더, 애슐리 저드, 리사 하트먼 블랙, 조지아 새틀라이츠, 조 네이메스, 엘리자 우드, 찰스 대니얼스
XXXI
1997
XXXII
1998
XXXIII
1999
XXXIV
2000
XXXV
2001
블루스 브라더스, 제임스 브라운, 지지 탑 템테이션스, 스모키 로빈슨, 마사 앤 더 밴덜러스, 퀸 라티파, 보이즈 투 멘 스티비 원더, 글로리아 에스테판 필 콜린스, 토니 브랙스톤, 엔리케 이글레시아스,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에드워드 제임스 올모스 에어로스미스, 엔싱크
빅 배드 부두 대디 브리트니 스피어스, 메리 제이 블라이즈, 넬리
XXXVI
2002
XXXVII
2003
XXXVIII
2004
XXXIX
2005
XL
2006
U2 샤니아 트웨인, 노 다우트, 스팅 자넷 잭슨, 퍼프 대디, 넬리, 키드락, 저스틴 팀버레이크, 제시카 심슨 폴 매카트니 롤링 스톤스
XLI
2007
XLII
2008
XLIII
2009
XLIV
2010
XLV
2011
프린스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브루스 스프링스틴 더 후 블랙 아이드 피스
어셔, 슬래쉬
XLVI
2012
XLVII
2013
XLVIII
2014
XLIX
2015
50
2016
마돈나 비욘세 브루노 마스 케이티 페리 콜드플레이
LMFAO, 니키 미나즈, 엠아이에이, 시 로 그린 데스티니스 차일드 레드 핫 칠리 페퍼스 레니 크래비츠, 미시 엘리엇 비욘세, 브루노 마스, 마크 론슨, 구스타보 두다멜
LI
2017
LII
2018
LIII
2019
LIV
2020
LV
2021
레이디 가가 저스틴 팀버레이크 마룬 5 샤키라, 제니퍼 로페즈 더 위켄드
Travis Scott, Big Boi 배드 버니, J Balvin
LVI
2022
LVII
2023
LVIII
2024
LIX
2025
LX
2026
닥터 드레, 스눕 독, 에미넴, 메리 제이 블라이즈, 켄드릭 라마 리아나 어셔
50 센트, 앤더슨 팩 앨리샤 키스, 저메인 듀프리, H.E.R., will.i.am, 릴 존, 루다크리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fff {{{#!folding [ 1위 – 125위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1px"
※ 2019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창간 125년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과 앨범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롤링 스톤스 엘튼 존 머라이어 캐리 마돈나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마이클 잭슨 테일러 스위프트 스티비 원더 시카고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휘트니 휴스턴 폴 매카트니 엘비스 프레슬리 자넷 잭슨 로드 스튜어트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드레이크 프린스 리아나 빌리 조엘 가스 브룩스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허브 앨퍼트 에미넴 어셔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닐 다이아몬드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슈프림즈 이글스 비 지스 비치 보이스 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산타나 템테이션스 셀린 디옹 아레사 프랭클린 홀 앤 오츠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아델 비욘세 에릭 클랩튼 라이오넬 리치 레드 제플린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브루노 마스 존 덴버 마룬 5 올리비아 뉴튼 존 본 조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필 콜린스 다이애나 로스 밥 딜런 존 멜렌캠프 JAY-Z
<rowcolor=#fff>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도나 서머 니켈백 보이즈 투 멘 카펜터즈 저스틴 비버
<rowcolor=#fff>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레이디 가가 포리너 브리트니 스피어스 핑크 앨리샤 키스
<rowcolor=#fff>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케이티 페리 마일리 사이러스 잭슨 파이브 어스 윈드 앤 파이어 마빈 게이
<rowcolor=#fff>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U2 린다 론스태드 밴 헤일런 밥 시거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블랙 아이드 피스 넬리 캐롤 킹 저스틴 팀버레이크 몽키즈
<rowcolor=#fff>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케니 로저스 하트 팀 맥그로 배리 매닐로 R. 켈리
<rowcolor=#fff>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저니 사이먼 앤 가펑클 마이클 볼튼 에드 시런 켈리 클락슨
<rowcolor=#fff>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핑크 플로이드 메리 제이 블라이즈 카니예 웨스트 쓰리 도그 나이트
<rowcolor=#fff>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코모도스 폴라 압둘 브라이언 아담스 크리스 브라운 건즈 앤 로지스
<rowcolor=#fff>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데프 레파드 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 린킨 파크 제임스 테일러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rowcolor=#fff> 101위 102위 103위 104위 105위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폴 사이먼 백스트리트 보이즈 릴 웨인 캐리 언더우드
<rowcolor=#fff> 106위 107위 108위 109위 110위
앤디 윌리엄스 스틱스 조지 마이클 셰어 TLC
<rowcolor=#fff> 111위 112위 113위 114위 115위
샤니아 트웨인 두비 브라더스 포 시즌스 피터 폴 앤 메리 케니 체스니
<rowcolor=#fff> 116위 117위 118위 119위 120위
데스티니스 차일드 50 센트 레이 찰스 제네시스 더 폴리스
<rowcolor=#fff> 121위 122위 123위 124위 125위
래스컬 플래츠 루다크리스 글로리아 에스테판 조지 해리슨 앨런 잭슨
출처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5px"
※ 2015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2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앨범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앨범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롤링 스톤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가스 브룩스 엘튼 존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머라이어 캐리 허브 앨퍼트 테일러 스위프트 시카고 마이클 잭슨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레드 제플린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로드 스튜어트 에미넴 휘트니 휴스턴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빌리 조엘 마돈나 산타나 이글스 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밥 딜런 스티비 원더 셀린 디옹 에릭 클랩튼 닐 다이아몬드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존 덴버 핑크 플로이드 자넷 잭슨 프린스 캐롤 킹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마일리 사이러스 니켈백 팀 맥그로 밴 헤일런 비치 보이스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U2 아델 엘비스 프레슬리 브리트니 스피어스 어셔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템테이션스 린킨 파크 JAY-Z 앨런 잭슨 본 조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건즈 앤 로지스 샤니아 트웨인 캐리 언더우드 몽키즈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51위52위53위54위55위
제임스 테일러 슈프림즈 앨리샤 키스 메탈리카 데프 레파드
<rowcolor=#fff>56위57위58위59위60위
폴 매카트니 린다 론스태드 저니 메리 제이 블라이즈 제쓰로 툴
<rowcolor=#fff>61위62위63위64위65위
래스컬 플래츠 포리너 존 멜렌캠프 사이먼 앤 가펑클 케니 체스니
<rowcolor=#fff>66위67위68위69위70위
키드 락 앤디 윌리엄스 조지 스트레이트 백스트리트 보이즈 마이클 볼튼
<rowcolor=#fff>71위72위73위74위75위
피터 폴 앤 메리 라이오넬 리치 아레사 프랭클린 요세프/캣 스티븐스 밥 시거
<rowcolor=#fff>76위77위78위79위80위
AC/DC비욘세펄 잼토비 키스더 후
<rowcolor=#fff>81위82위83위84위85위
폴 사이먼무디 블루스저스틴 비버노라 존스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rowcolor=#fff>86위87위88위89위90위
넬리두비 브라더스핑크조쉬 그로반닐 영
<rowcolor=#fff>91위92위93위94위95위
프랭크 시나트라그린 데이더 칙스어스 윈드 앤 파이어하트
<rowcolor=#fff>96위97위98위99위100위
레이디 가가R. 켈리보이즈 투 멘케니 지비 지스
출처}}}}}}}}}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1위 – 6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2019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창간 125년 역사상 가장 성공한 여성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마돈나 머라이어 캐리 자넷 잭슨 휘트니 휴스턴 리아나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슈프림즈 올리비아 뉴튼 존 아레사 프랭클린 케이티 페리 테일러 스위프트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다이애나 로스 도나 서머 카펜터즈 코니 프랜시스 비욘세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브렌다 리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셰어 핑크 글로리아 에스테판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 레이디 가가 TLC 디안 워윅 하트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폴라 압둘 앨리샤 키스 켈리 클락슨 린다 론스태드 데스티니스 차일드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셀린 디옹 포인터 시스터스 캡틴 앤 테닐 브리트니 스피어스 토니 브랙스턴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제니퍼 로페즈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아델 모니카 헬렌 레디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신디 로퍼 로버타 플랙 테일러 데인 니키 미나즈 메리 제이 블라이즈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티나 터너 데비 깁슨 시나 이스턴 케샤 칼리 사이먼
<rowcolor=#fff>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브랜디 마일리 사이러스 페툴라 클라크 퍼기 나탈리 콜
<rowcolor=#fff>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알리야 베트 미들러 아샨티 앤 머레이 펫 베네타
출처 }}}}}}}}}

파일:goat flag(2).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px -11px; font-size: .8em"
※ 빌보드가 발표한 Greatest of All Time Top Country Artists 순위다.
<rowcolor=#C7A970> 순위 프로필 아티스트
<colbgcolor=#000><colcolor=#C7A970> 1위 파일:george_strait.jpg 조지 스트레이트
George Strait
2위 파일:merle-haggard.jpg 멀 해거드
Merle Haggard
3위 파일:willie-nelson.jpg 윌리 넬슨
Willie Nelson
4위 파일:alabama.jpg 앨라배마
Alabama
5위 파일:conway-twitty.jpg 콘웨이 트위티
Conway Twitty
6위 파일:charley-pride.jpg 찰리 프라이드
Charley Pride
7위 파일:reba-mcentire.jpg 레바 매킨타이어
Reba McEntire
8위 파일:garth-brooks.jpg 가스 브룩스
Garth Brooks
9위 파일:alan-jackson.jpg 앨런 잭슨
Alan Jackson
10위 파일:tim-mcgraw.jpg 팀 맥그로
Tim McGraw
<rowcolor=#C7A970>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웨일런 제닝스 벅 오언스 행크 윌리엄스 Jr. 조니 캐시 케니 로저스
<rowcolor=#C7A970>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조지 존스 로레타 린 돌리 파튼 케니 체스니 로니 밀삽
<rowcolor=#C7A970>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토비 키스 Brooks & Dunn 글렌 캠벨 랜디 트래비스 태미 와이넷
<rowcolor=#C7A970>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돈 윌리엄스 레이 프라이스 래스컬 플래츠 소니 제임스 오크 리지 보이스
<rowcolor=#C7A970>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에디 아놀드 크리스탈 게일 짐 리브스 엘비스 프레슬리 스태틀러 브라더스
<rowcolor=#C7A970>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키스 어번 테일러 스위프트 캐리 언더우드 클린트 블랙 에디 래빗
<rowcolor=#C7A970>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타냐 터커 앤 머레이 브래드 페이즐리 샤니아 트웨인 The Judds
<rowcolor=#C7A970>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빈스 길 마티 로빈스 제이슨 알딘 루크 브라이언 블레이크 쉘튼
<rowcolor=#C7A970>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에밀루 해리스 페이스 힐 빌 앤더슨 미키 길리 린 앤더슨
<rowcolor=#C7A970>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찰리 리치 더 칙스 제리 리 루이스 리키 스캑스 마티나 맥브라이드
<rowcolor=#C7A970>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얼 토마스 콘리 드와이트 요아캄 존 마이클 몽고메리 잭 브라운 밴드 리앤 라임즈
<rowcolor=#C7A970>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레이디 에이 트래비스 트릿 리키 반 쉘튼 멜 틸리스 T.G. Sheppard
<rowcolor=#C7A970>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바바라 맨드렐 리 그린우드 프레디 하트 코니 스미스 트레이스 애드킨스
<rowcolor=#C7A970>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트리샤 이어우드 스티브 워리너 슈가랜드 트레이시 로렌스 Tom T. Hall
<rowcolor=#C7A970>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소여 브라운 더크스 벤틀리 조니 로드리게스 데이비드 휴스턴 로잔 캐시
<rowcolor=#C7A970> 86위 87위 78위 79위 90위
론스타 포터 워거너 린다 론스태드 벨라미 브라더스 존 콘리
<rowcolor=#C7A970>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존 앤더슨 래리 개틀린 패티 러블리스 에릭 처치 미란다 램버트
<rowcolor=#C7A970>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클레이 워커 잭 그린 올리비아 뉴튼 존 존 덴버 콜린 레이
출처
}}}}}}}}} ||

파일:CBC.png선정 위대한 캐나다인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05년 캐나다의 공영TV인 CBC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The Greatest Canadian" 에서 발표한 내용이다
TOP 10
1위2위3위4위5위
토미 더글라스 테리 폭스 피에르 트뤼도 프레더릭 벤팅 데이비드 스즈키
6위7위8위9위10위
레스터 피어슨 돈 체리 존 맥도널드 경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웨인 그레츠키
11위~50위
11위12위13위14위15위
루이스 리엘 장 바니에 스톰핀 톰 코너스 닐 영 피터 지조우스키
16위17위18위19위20위
로미어 달레어르 스티븐 루이스 샤니아 트웨인 바비 오어 마이크 마이어스
21위22위23위24위25위
무명용사 해롤드 A. 로저스 모리스 리샤르 아서 커리 넬리 맥크룽
26위27위28위29위30위
노먼 베순 셀린 디옹 아이작 브록 짐 캐리 릭 핸슨
31위32위33위34위35위
피에르 버튼 마이클 J. 폭스 고든 라이트풋 할 앤더슨 로라 세코드
36위37위38위39위40위
어니 쿰스 테쿰세 마리오 르미외 브렛 하트 에이브릴 라빈
41위42위43위44위45위
존 캔디 샌포드 플레밍 윌프리드 로리에 매리 맥스웰 장 크레티앵
46위47위48위49위50위
레너드 코헨 존 디펜베이커 빌리 비숍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릭 머서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colbgcolor=#ffff00><colcolor=#aa7a55> 샤니아 트웨인
Shania Twain
OC
[1]
파일:E29654FF-977F-45B4-8021-733C3816B59E.jpg
본명 Eilleen Regina Edwards
아일린 레지나 에드워즈
출생 1965년 8월 28일 ([age(1965-08-28)]세)
캐나다 자치령 온타리오 주 윈저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캐나다 자치령|]][[틀:국기|]][[틀:국기|]]) →
[[캐나다|]][[틀:국기|]][[틀:국기|]]
직업 가수, 배우, 작가, 프로듀서
데뷔 1993년 앨범 ‘Shania Twain’
배우자 로버트 존 머트 랭(1993년~2010년)
프레데릭 티보드(2011년~현재)
자녀 에자 랭(2001년생)[2]
신체 160cm
관련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IMDb 로고.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출생과 어린 시절3. 데뷔4. 디스코그래피
4.1. 앨범4.2. 싱글
5. 수상6. 뮤직비디오7. 가정사8.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9CA0E532-C57B-43E2-B04A-3D4E4D3C4FA1.jpg
Queen of Country Pop[3]

캐나다 출신의 전설적인 싱어송라이터.

가스 브룩스가 1980년대에 컨트리 음악의 대중성을 널리 알려서 공헌을 했다면 샤니아 트웨인은 1990년대를 장악하여 보수적인 컨트리 음악에서 여성이 슈퍼스타로 돋아날 계기를 마련함과 동시에 팝과 컨트리를 접목시킨 크로스 오버 장르로 선구적인 성과를 일으켰다.

특히 ‘The Woman In Me’[4], ‘Come On Over[5], ‘Up!’[6] 이 세 앨범은 연이어 미국 판매량 1천만 장을 돌파하는 괴력을 발휘했는데, 특히 ‘You're Still The One’으로 유명한 앨범 ‘Come On Over’는 2021년 현재 4천만 장 판매고를 돌파하여 여성 솔로 가수 앨범 판매고 1위를 기록했다. 테일러 스위프트 이전엔 이 사람이 있었다고 할 정도로 미모와 실력으로 컨트리 뮤직 계에서 큰 사랑을 받았다.

2. 출생과 어린 시절

1965년 캐나다 온타리오 윈저(Windsor)에서 클래런스 에드워즈(Clarence Edwards)와 샤론 에드워즈(Sharon Edwards) 사이의 세 자매 중 둘째딸로 태어난다. 2살 때 부모가 이혼하여 어머니와 가족들과 함께 티민스(Timmins)로 이주하였고 그 곳에서 어머니는 오지브와족 인디언인 제리 트웨인(Jerry Twain)과 재혼한다. 이후 성은 트웨인으로 바뀌게 된다.
어려운 경제 사정으로 일찌기 사냥과 벌목을 배웠고 가족 부양을 위해 맥도날드 아르바이트와 클럽에서 노래를 부르며 돈을 벌었다. 10살 때부터 이미 작사를 시작했을 정도. 1987년 어머니와 양아버지가 교통사고로 사망하자 남은 형제들[7]을 부양하기 위해 온타리오 주 헌츠빌로 이주하여 그 곳의 리조트 근처에서 노래를 부르며 돈을 번다.

3. 데뷔

가족들이 독립을 한후 1993년 데모테이프를 머큐리 내쉬빌 레코드사에 보내 계약을 맺는다. 이 시기에 이름을 "샤니아"[8]로 개명한 후 북미에서 데뷔 앨범을 발매하는데 이는 캐나다까지 관심을 갖게 된다. 성적은 미국 컨트리 앨범 차트에서 67위에 그쳤지만 평론가들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유럽에선 더 큰 인기를 얻는다. 이후 Country Music Television Europe의 올해의 뜨는 비디오 스타 상(Rising Video Star of the Year Award)을 받는다.

4. 디스코그래피

4.1. 앨범

Shania Twain 앨범 차트인 기록
<rowcolor=#000> 연도 앨범명 파일:빌보드 로고.svg 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 비고
1993 Shania Twain - #113 1집
1995 The Woman in Me #5 #7 2집
1997 Come On Over #2 #1 3집
2002 Up! #1 #4 4집
2017 Now #1 #1 5집
2023 Queen of Me #10 #1 6집

4.2. 싱글

Shania Twain 싱글 차트인 기록
<rowcolor=#000> 연도 곡명 파일:빌보드 로고.svg 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 비고
1995 Whose Bed Have Your Boots Been Under? #31 -
Any Man of Mine #31 #118
The Woman in Me (Needs the Man in You) #74 -
(If You're Not in It for Love) I'm Outta Here! #74
1996 You Win My Love -[9]
God Bless the Child #75
1997 Love Gets Me Every Time #25
Don't Be Stupid (You Know I Love You) #40 #5
1998 You're Still the One #2 #10
From This Moment On #4 #9
When - #18
That Don't Impress Me Much #7 #3
1999 Man! I Feel Like a Woman! #23 #3
You've Got a Way #49 -
Come On Over #58
2000 I'm Holdin' On to Love (To Save My Life) -[10]
2002 I'm Gonna Getcha Good! #34 #4
2003 Up! #63 #21
Ka-Ching! - #8
Forever and for Always #20 #6
Thank You Baby! (For Makin' Someday Come So Soon) - #11
She's Not Just a Pretty Face #56 -
When You Kiss Me - #21
2004 It Only Hurts When I'm Breathing #71 -
Party for Two #58 #10 [11]
2005 Don't! -[12] #30
2011 Today Is Your Day #66 -
2012 Endless Love -[13] [14]
2023 Unhealthy - #20 [15]

5. 수상

6. 뮤직비디오

You’re still the one (1998년 호주 멜버른 라이브)

Honey, I’m home (1999년 마이애미 라이브)

Up! (2003년 시카고 라이브)


정규 앨범 Come on Over에 수록된 곡. 가사 내용 중에 브래드 피트가 들어가 있단 이유로 화제를 불러 일으켰는데 가사 내용은 "당신이 브래드 피트라고? 그래서 어쩌라는건지." 대략 이런 의미이다.




7. 가정사

안 그래도 소녀가장으로 시작한 샤니아 트웨인이었고 부양 가족들이 너무 많다는 이유로 해외투어를 잘 하지 못했다.
그러던 와중 데뷔 시기부터 함께한 프로듀서이자 남편이었던 17세 연상의 로버트 존 머트 랭(Robert John Mutt Lange)과 2008년 별거에 들어갔음이 샤니아 트웨인측에서 공식적으로 발표된다.
이전까지 남편 로버트는 대중 앞에 잘 나서지 않는 은둔 성향의 인물로 유명했고[16] 잉꼬부부로서의 애정을 과시했지만[17] 남편 로버트는 불륜을 하게 되는데 하필이면 불륜 상대가 샤니아 트웨인의 절친인 마리 앤 티보였던 것이다. 충격을 받은 샤니아는 이후 poor me라는 곡으로 자신의 심경을 담은 곡을 내보이면서 이 후 2년 동안 절망에 빠져 지낸다. 2010년 결국 둘은 이혼하여 15년의 결혼생활에 종지부를 찍는다. 그리고 샤니아 트웨인은 남편을 빼앗은 친구 마리 앤 티보의 전 남편인 프레데릭 티보와 2011년 재혼한다.

8. 기타



[1] 캐나다 훈장, 오피서(Officer)[2] 전남편 로버트와의 아들이다.[3] https://en.wikipedia.org/wiki/Honorific_nicknames_in_popular_music[4] 1,200만 장[5] 4,000만 장[6] 1,100만 장[7] 자매들 외에 친모와 양부 사이에서 아들 마크(Mark)가 태어났고, 양부 제리는 그의 고아 조카 대릴(Darryl)을 입양하였다.[8] 오지브와족 말로 "나의 길을 간다"라는 의미이다[9] 버블링 언더 #8[10] 버블링 언더 #2[11] with Billy Currington[12] 버블링 언더 #22[13] 버블링 언더 #16[14] Lionel Richie의 곡을 피처링[15] Anne-Marie의 곡을 피처링[16] 인도의 금욕적 밀교를 따른 삶을 사는 인물이었으며 금주를 철저히 따르는 신조에 따라 샤니아 트웨인과의 결혼식에서도 샴페인 조차 들이지 않았다.[17] 남편 로버트는 샤니아와의 결혼식에서 브라이언 아담스과 같이 만든 곡인 (Everything I Do) I Do It For You(브라이언 아담스의 1991년 6집 앨범에 실려 미국과 영국에서 수주동안 1위를 하였고 같은 해 개봉한 케빈 코스트너 주연의 영화 '로빈 후드' OST에도 실렸다)를 불렀고, 샤니아는 자신과 남편 이야기를 토대로 You Are Still The One을 썼다.[18] 출처: EthniCelebs Shania Twain.[19] 그녀는 캐나다 국적이므로 미국 대선 투표권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