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01:56:11

손승익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KT Challengers
2024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colbgcolor=#000><colcolor=#ff0a07> 코치 [[손승익|손승익
Sonstar
]]|[[전호진|전호진
Lilac
]]|[[강병률|강병률
Spark
]]
로스터
파일:TOP_icon_brion.pn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제|신민제
Casting
]]
파일:JGL_icon_brion.pn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함유진|함유진
HamBak
]]
파일:MID_icon_brion.pn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백진|유백진
Zinie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인웅|한인웅
Pout
]]
파일:ADC_icon_brion.pn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정현(프로게이머)|변정현
Hype
]]
파일:SUP_icon_brion.pn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길|한길
Way
]]
LCK CL 참가팀 로스터 }}}}}}}}}
손승익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우승 스태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시즌 대회 우승팀 스태프
League of Legends the Champions
2012 스프링 파일:600px-MiG_Frost_logo.png OnAir · Kezman
서머 파일:Azubu_Frostlogo_square.png
League of Legends Champions
2013 윈터 파일:130px-NaJin_Swordlogo_square.png Reach · Sim
스프링 파일:Team MVP.png Dopani · Choi
서머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cCarter · kkOma
2014 윈터 파일:attachment/Sktt1_k.png
스프링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Samsung_Bluelogo_square.png Choi · DoGGi · BanBazi
서머 파일:attachment/Kt_rolster_arrows.png FIFAHUN · ZanDarC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2015 스프링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cCarter · kkOma
서머
2016 스프링 cCarter · kkOma · PoohManDu
서머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NoFe · SSONG
2017 스프링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cCarter · kkOma · RapidStar
서머 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 Hirai · Supreme · Kim
2018 스프링 파일:600px-Kingzone_DragonXlogo_square.png Hirai · Supreme · ActScene
서머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ZanDarC · NoEX · Sonstar
2019 스프링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kkOma · Zefa · Fly
서머
2020 스프링 파일:T1 LoL 로고.svg Kim · Comet · Moment
서머 파일:DAMWON.png Zefa · Daeny
2021 스프링 파일:DWG KIA 엠블럼.svg kkOma · PoohManDu · Ares
서머 kkOma · PoohManDu · Ares · Daeny
2022 스프링 파일:T1 LoL 로고.svg Polt · Moment · Bengi · Gisepa
서머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Score · Mafa · Museong · J
2023 스프링 Score · Mafa · Museong
서머 Score · Mafa
2024 스프링 KIM · Helper
}}}}}}}}} ||

파일:lec logogo.png 펜타킬 달성 선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e4be><colcolor=#000> 2013 시즌 Bjergsen 쇠렌 비에르 1호 · Alex Ich 알렉세이 이체토프킨 2호
2014 시즌 Genja 예브게니 안드류신 3호 · Rekkles 마틴 라르손 4호
2015 시즌 PowerOfEvil 트리스탄 쉬라제 5호 · Rekkles 마틴 라르손 6·7호☆
2016 시즌 Sonstar 손승익 8호 · Expect 기대한 9호
2017 시즌 Zven 제스퍼 스베닝슨 10호 · Nukeduck 에흘란 홀름 11호 · Hans sama 스티븐 리브 12호
2018 시즌 Kobbe 카스페르 코베룹 13호 · Rekkles 마틴 라르손 14호 · Perkz 루카 페르코비치 15호
2019 시즌 Rekkles 마틴 라르손 16호 · Upset 엘리아스 립 17호 · Nemesis 팀 리포프섹 18호 · Odoamne 안드레이 파스쿠 19호
2020 시즌 Rekkles 마틴 라르손 20호 · Caps 라스무스 뷘터 21호 · Comp 마르코스 스템코풀로스 22호
2021 시즌 WhiteKnight 마티 소르무넨 23호 · BrokenBlade 세르겐 첼리크 24호 · Inspired 카츠페르 스워마 25호
2022 시즌 Jezu 장 마솔 26호 · Comp 마르코스 스템코풀로스 27·28·29호★
2023 시즌 Nisqy 야신 딘체르 30호 · Comp 마르코스 스템코풀로스 31호 · Hans Sama 스티븐 리브 32호 · Crownie 유쉬 마루시치 33·35호☆ · Kobbe 카스페르 코베룹 34호 · Carzzy 마티아슈 오르샤크 36호·39호☆ · Caps 라스무스 뷘터 37호 · Oscarinin 오스카르 무뇨즈 38호
2024 시즌 Supa 다비드 마르티네스 가르시아 40호·44호☆ · Hans Sama 스티븐 리브 41호·43호·50호★ · Yike 마르틴 순델린 42호 · Ice 윤상훈 45호 · nuc 일리아스 비즈리켄 46호 · Caps 라스무스 뷘터 47호·49호☆ · Noah 오현택 48호
☆ - 한 시즌에 2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 한 시즌에 3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d3736> 파일:Rift_Rivals_Red_2019.pngRift Rivals Red Rift
역대 준우승자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시즌 준우승팀 포지션별 선수 감독 및 코치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Sub_icon_RR.png
SUB
파일:Coach_icon_RR.png
COACH
<colbgcolor=#fd3736> 2017 파일:LCK Old logo.png파일:LCK 로고 2018 화이트.jpg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un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eanu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ak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a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ol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lan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Cart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kOm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apidStar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meb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cor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aw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ef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at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s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IFAH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ZanDar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AnimalDAX
파일:Samsung_Galaxy.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uVe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Ambiti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row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ul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oreJJ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ar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Edga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oD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rAce
파일:Team MVP.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AD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eyon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I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aH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a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arr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el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aroo
2018 파일:LCK_Logo_2018.png파일:LCK 2018 로고화이트.jpg 파일:600px-Kingzone_DragonXlogo_square.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h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eanu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d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ra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orill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uzz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ira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uprem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ActScene
파일:아프리카 프릭스(2016~2020.11) 로고.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i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piri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ur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Aimi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us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ram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iloveoov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Zef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comet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meb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cor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Uca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ef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at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ush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ZanDar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AnimalDA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ONSTAR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ha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lan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ak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a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ol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losso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kOm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oohManD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engi
2019 파일:lpl.png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heShy
파일:중국 국기.svg
Ni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ookie
파일:중국 국기.svg
JackeyLove
파일:중국 국기.svg
Baol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uk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ara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afa
파일:JD_Gaming.png 파일:중국 국기.svg
Zoo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lawless
파일:중국 국기.svg
Yaga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imp
파일:중국 국기.svg
LvMa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anav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omme
파일:FPX_LoL_new_logo.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imGoon
파일:중국 국기.svg
Ti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oinb
파일:중국 국기.svg
Lwx
파일:중국 국기.svg
Crisp
파일:중국 국기.svg
Xinyi
파일:대만 국기.svg
WarHorse
파일:중국 국기.svg
Despa1r
파일:TES 로고 2019.svg 파일:중국 국기.svg
369
파일:중국 국기.svg
Xx
파일:중국 국기.svg
Knight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oke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en
파일:중국 국기.svg
Moyu
파일:중국 국기.svg
BSYY
파일:중국 국기.svg
BYG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CL 로고 화이트 (2021~).svgLCK Challengers League
역대 우승 스태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시즌 대회 우승팀 스태프
CK 폐지 후 LCK CL 출범.
2021 스프링 파일:T1 LoL 로고.svg Bengi · sayho
서머 파일:Gen.G 로고.svg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Dokgo
2022 스프링 파일:DWG KIA 엠블럼.svg Hachani · Woong
서머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Chelly · Chico · Noblesse
2023 스프링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Bubbling
서머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Sound · SSUN
2024 스프링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Sonstar · Lilac · Spark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CL 로고 화이트 (2021~).svgLCK Challengers League
Best Coach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1 스프링 2021 서머 2022 스프링 2022 서머 2023 스프링
Bengi
배성웅

T1C
Dokgo
김경탁
GENC
Expession
구본택

DRXC
Roach
김강희

T1C
Crush
김준서

DRXC
2023 서머 2024 스프링 2024 서머 2025 스프링 2025 서머
Bubbling
박준형

DKC
Sonstar
손승익

KTC
}}}}}}}}} ||
<colbgcolor=#000><colcolor=#ff0a07>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파일:Sonstar_2019_Summer.png
KT Challengers 코치
Sonstar
손승익 (Son Seung-ik)
출생 1994년 8월 31일 ([age(1994-08-31)]세)
경기도 수원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ID KT Sonstar #KR1#
포지션 바텀
소속
[ 펼치기 · 접기 ]
DUG
(2012.11)
kt Rolster Arrows
(2013.05.31~2013.10.05)
Incredible Miracle #2
(2014.05.28~2014.11.17)
Longzhu IM
(2014.11.17~2015.12.05)
Giants Gaming
(2016.02.29~2016.10.07)
Giants Gaming 전략 코치
(2017.01.19~2017.05.06)
Team AURORA 코치
(2017.05.14~2017.11.07)
kt Rolster 코치
(2017.12.06~2019.11.15)
KT Challengers 코치
(2023.01.05 ~ 2025.11.17예정)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플레이 스타일3. 선수 경력
3.1. 주요 경력
4. 지도자 경력
4.1. 주요 경력
5. 기타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CK CLkt 롤스터 챌린저스 코치. 선수 시절 포지션은 바텀 라이너.

2. 플레이 스타일

베인, 이즈리얼, 케이틀린을 잘 쓴다고 한다. 반대로 우르곳, 드레이븐은 못 한다고 한다.

그리고 IM에 입단한 2014년 기준 전반적인 대세 원딜은 무난히 플레이할 수 있다.

3. 선수 경력

2015 LCK 스프링 시드 선발전에서는 그 당시 후야 타이거즈를 상대로 펜타킬을 기록하며 그 경기를 승리, 후야 타이거즈와 함께 2015 LCK 스프링시즌에 합류하게 된다.

단일팀 체제가 된 2015년 초기 프리시즌에는 프로즌 빼고 전부 노답(...)이라는 소리를 듣던 중 그나마 그 4명 중 그나마 덜 싸던게 손스타라 비난은 덜 받았으며, 이 때도 한타 때 안정적인 장소에서 딜을 넣는 등 한타 포지션은 나쁘지 않았다. 그러다 스프링 시즌 경기를 점차 치루면서 서폿인 투신과의 궁합이 괜찮아지더니 덩달아 라인전 능력도 상승하는 중. 이전처럼 일단 지고 시작(...)하지는 않고 적어도 반반은 가져가게 되면서 라인전에서 최소한의 성장력을 얻으니 안 그래도 괜찮았던 한타 능력이 더 탄력을 받고 있다. 데뷔 이후 계속(...) 라인전에서 지고 들어가는 라일락과 판마다 극과 극의 모습을 보여주는 위즈덤과 달리 점차 성장하면서 투신과 같이 프로즌의 고통을 덜어주면서 같이 고통 받는 중.

2015 롤챔스 서머에는 로어에 밀려 많이 출전하지 못했다. 그러나 로어의 던지기가 문제가 되고 손스타의 솔로랭크 순위가 폭등한 뒤로는 중용되고 있으며, 이그나와 호흡을 맞춰 스프링 시즌보다도 나아진 라인전을 보여주는 중. 2라운드 중후반부터는 오히려 로어와 연로하고 병약하신파라곤을 제치고 주전경쟁에서 우위에 섰다.

다만 케스파컵에서는 파일럿에게 다시 라인전을 털리며 까였다. 이후 파일럿이 스페이스와 CLG의 신입 원딜을 상대로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인 것을 감안하면 좀...

이후 리빌딩 과정에서 팀을 나왔고, 위즈덤과 함께 자이언츠 게이밍에 합류했다. 세계 최고리그인 롤챔스에서도 한타 딜링능력은 호평을 받았던 손스타이지만, 투신, 이그나와 호흡을 맞추면서 라인전에서 기복이 무척 심한 것이 문제였는데 유럽 원딜들도 메카닉은 만만치 않다는 점에서 이쪽 문제를 해결해야 팀을 강등으로부터 구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일단 아드리급 쓰로잉은 안할테니 잘 영입한듯

그리고 세 경기 동안 팀이 망해서 보여준 것이 없었으나, 최종전 로캣전에서 팀이 망하지 않자 신기의 포지셔닝으로 한타에서 어그로를 끌더니 살아남아 하드캐리, 롤드컵 2회 원딜러인 탭즈의 면전에서 클래스를 제대로 보여줬다.

승강전에서는 라인전을 어떻게든 버티고 나면 원탑원딜의 풍모를 보여줬지만, 신인 서포터와 호흡을 맞췄기 때문인지 라인전은 여전히 안 좋은 모습을 보여줬다. 그래도 스플라이스전 1세트에서 상대 아지르가 애매하게 피가 빠진 상태로 자기 정글로 들어가는 것을 장신구로 시야를 밝히고 정확히 특급폭탄배송 이후 누킹으로 끊어내는 장면은 손스타 특유의 센스가 돋보이는 명장면.

다만 프나틱과의 LCS 복귀전에서는 부진했다. 상대 원딜러인 레클레스도 쓰로잉을 보여줬지만 전반적으로는 캐리한 반면, 손스타는 갱에 뻔하게 당해서 죽거나 한타에서도 포지셔닝형 원딜러라는 명성에 걸맞지 않게 쉽게 잘리고, 페비벤의 르블랑을 간과해서 아예 원콤을 당해버리는 등 유럽 팬들에게 많이 까였다.누가 말하길 차라리 울라이트라면 르블랑 잡겠다고 앞으로 투망을 써서 사슬을 피했을지도 모르겠다고(...) 이날 인상적 LCS 데뷔전을 치른 나이트 나건우 선수에게 많은 고통을 준 멤버 중 하나였다.

초반에는 라인전부터 탈탈 털린 뒤 나이트가 한타에서 딜을 넣을동안 상대 누커에게 원콤을 당하며 폴리스, 베리타스 등과 묶여 B급 한국인 원딜이라는 조롱을 당했다. 하지만 나이트를 중심으로 팀이 살아나고 허슬린의 처참한 라인전 기량이 향상되면서 한타 실력이 제대로 발휘되는 중. 프나틱전에선 안정감마저 잃어버렸다는 레클레스를 상대로 판정승을 거뒀다.

그러나 포스트시즌과 승강전에서는 라인스왑이 사장된 메타에서 후반캐리형 원딜을 고집하다가 UoL의 구멍이라는 베리타스에게 라인전 득점을 허용하는[1] 메타 부적응을 보여주면서 나이트에게 어마어마한 고통을 주었다. 결국 해외리그에서도 자신의 약점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한 셈. 결국 2016년 10월을 마지막으로 자이언츠 게이밍을 탈퇴, 선수 생활을 마무리하고 은퇴하게 되었다.

3.1. 주요 경력

우승 경력
IEF 2014 우승[2]
Xenics Storm 한국 대표 팀[3] IEF 2015 우승팀

4. 지도자 경력

은퇴 이후 4개월 만인 2017년 1월, 자이언츠 게이밍의 전략 코치로 다시 돌아와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신입 원딜러 HeaQ가 손스타와 정반대로 손가락은 뛰어나지만 한타를 할 줄 모르는 원딜러라는 이야기가 있어서 손스타가 잘 가르치면 나이트의 고통이 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는 이야기가 있었고, 손스타 본인도 단순히 한타만 잘하던 것이 아니라 위의 묘사를 보면 알 수 있듯 게임을 보는 눈이 좋은 원딜이기에 좋은 경험이 될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자이언츠는 단 2승만 거두며 좋지 못한 성적을 거뒀고, 이것 때문인지 한 시즌만에 팀을 퇴단하고 터키의 게임단인 팀 오로라에 코치로 부임하여 한 시즌을 보냈다.

2018 스프링 시즌부터 친정팀인 kt 롤스터에 코치로 복귀했다. 선수인 스멥, 스코어, 마타보다 어린 코치이고, 이전까지 선수 경력이나 코치 경력이 좋지 못해 영입 당시 KT 팬들의 반응이 좋지 않았고, kt에서의 역할은 주로 손으로 세트로 묶여서 같이 까이는 욕받이 겸 탱커(...) 운전부터 선수관리, SNS 관리 등 인게임적인 부분을 제외한 거의 모든 부분을 다 담당한다는 이야기가 돌면서 선출 코치를 생활코치로 활용하냐는 비판이 나왔다.

2018 LCK 서머 우승을 달성, LCK 우승을 코치가 된지 4시즌 만에 달성하며 kt와 2019년까지 계속 하게 되었으나, 2019 시즌 kt 역사상 최악의 암흑기를 맞이하며 그에 동반된 비판 속에 2019년 시즌을 끝으로 KT롤스터와의 계약이 종료되었다. 팬덤에서는 오창종과 정제승으로 인해 커리어가 꼬여버린 비운의 코치라는 여론이 강한 편.

이후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지도자 활동을 하지 않고 군 복무를 하였고, 전역 후 2023 시즌을 앞두고 2군인 kt Challengers 코치로 부임, kt에 다시 합류하게 되었다.

2023년 6월부터 3군인 kt Academy를 담당하게 되었고, 첫 대회인 LCK AS 6월 오픈 토너먼트에서는 3위, 7월 오픈 토너먼트에서는 준우승, 8월 오픈 토너먼트에서는 우승을 달성했다. 이후 아카데미 시리즈 팀들 중 오픈 토너먼트를 통해 참가자격을 획득한 상위팀들이 참가하는 하반기 아카데미 리그에서 정규리그 3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 플레이오프에서 디플러스 기아와 티원을 모두 꺾고 우승하며 3년 만에 코치로 다시 복귀하자마자 3등-준우승-우승-최종 우승을 달성하였다.

2024 스프링 시즌엔 kt Challengers를 전담하게 되었다. 시즌이 지날수록 우상향하는 밴픽 능력으로 2라운드에 들어서부터는 상대팀보다 두 수는 앞서 내다본 듯한 밴픽을 보여주며 선수들의 높은 체급에 날개를 달아줬다는 평가를 받았고, 결국 kt Challengers 역사상 최초로 정규시즌 1위와 3년 만의 통합 우승까지 달성하며 한 팀의 코치로서 1, 2, 3군 우승을 전부 달성하는 대단히 이색적인 기록을 세웠다. 이제 KT 1군에서 인게임 담당 코치로써 다시 한 번 LCK 우승과 10년이 넘어버린 국제전 우승만 달성하면 KT의 레전드 반열에 오를 첫 명장 코치진이 될 수 있을 정도.
kt Challengers 선수들이 LCK CL 역사상 2021년 이후 무려 3년 만의 4 올CL팀을 받았고, 특히 유백진은 kt Challengers 최초의 라운드 MVP와 정규시즌 MVP를 수상하면서 코칭 능력도 인정받게 되었다. 플레이오프 승자조에선 선수들이 제발에 걸려 넘어지며 다 이긴 경기를 패배하였으나, 결승진출전과 결승전에서 단점들을 모두 고쳐와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며 우승을 달성했고, 후에 나온 우승 다큐멘터리에서 플옵 당시 손스타의 디테일한 인게임 코칭이 나오면서 좋은 평을 받았다. 선수들도 인터뷰에서 손스타의 코칭이 많은 도움이 됐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선수들의 체급과 챔프폭도 물론 훌륭했지만 손스타가 없었다면 통합 우승을 달성하긴 어려웠을 것이라는 게 중론.

2024 스프링 CL 베스트 코치를 수상하였고, 군 복무 후 코치로 복귀하자마자 아카데미 3등-준우승-우승-최종우승과 챌린저스 통합우승을 달성, 지도자로 돌아온 후 2018년 LCK 서머 우승 이후 가장 좋은 성적을 내고 있으며, 2018년 당시에는 코치로써 맡은 역할이 지금과 많이 달랐기 때문에 사실상 지도자로써 최고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상대팀의 밴픽을 예측해 OP를 가져오거나 밴하고, 선수들이 선호하거나 체급에 맞는 챔피언을 조합과 방향성에 맞게 잘 짠 후 패배시 우틀않을 시전하지 않고 유동성 있게 수정하며 밴픽 칭찬을 받았고, 중간중간 실험픽을 꺼내면서 선수들의 체급과 챔프폭을 테스트하는 등 플레이오프를 대비한 다양한 밴픽을 보여주기도 했다. 밴픽부터 인게임 코칭까지 CL의 명장이라는 평가를 받았을 정도.

2024년 5월 28일, KT와의 계약이 2025년까지로 변경되었다는 데이터베이스가 뜨면서 KT의 현 코치진 7명 중 유일하게 2025년까지 KT와 함께하게 되었다. 시즌 중 계약을 잘 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한 KT가 시즌 중 계약을 맺었다는 것은 그만큼 손스타의 능력이 입증받았다는 뜻.

4.1. 주요 경력

수상 경력
2024 LCK Challengers League Spring Best Coach
박준형
(DK Challengers)
손승익
(KT Challengers)
미정

5. 기타



[1] 라인전 상성을 4:6 정도로만 맞추면 적어도 베리타스보다는 잘했지만, 세트가 지속될수록 베리타스가 루시안을 기용할 때 평타원딜을 기용하다가 무너졌다.[2] 한중 대항전 이벤트 대회[3] Prime Clan, HUYA Tigers, Incredible Miracle, Xen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