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21:35:43

쌍둥이 도시


Twin Cities

1. 개요2. 상세
2.1. 대한민국
2.1.1. 행정구역이 다른 경우
2.2. 외국
3. 유사 개념

1. 개요

쌍둥이 도시란, 독자적으로 형성된 두 개 이상의 비슷한 규모의 도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연담화되어 하나의 도시권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영어로는 '트윈 시티즈(Twin Cities)'라고 하는데, 미국에서 '트윈 시티즈'라고 하면 대개 미네소타주의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을 뜻한다.[1]

2. 상세

대도시 근교에 형성된 위성도시시가지가 연담화되는 것은 쌍둥이 도시라고 하지 않으며, 규모가 비슷한 도시들이 인접해 있더라도 도시들끼리 시가지가 완전히 연담화되지 않는 경우 역시 쌍둥이 도시라고 하지 않는다. 또한 별개의 연원으로부터 성장한 두 도시가 연담화가 되더라도, 어느 한쪽 도시의 규모가 연담화된 다른 나머지 도시들을 압도한다면 쌍둥이 도시라고 볼 수 없다.

쌍둥이 도시는 하나의 이나 농경지대를 사이에 두고 각자 발전하다가 생활권이 통합되는 양상을 많이 보인다. 하나의 강과 농경지대를 두 개 이상의 도시가 공유하고, 시간이 지나 농경지대는 시가지로 변모하면서 자연스럽게 생활권이 통합되는 것이다. 한국이나 일본의 경우, 지도를 보면 도시 간 경계를 거의 확인하기 어려운 곳들이 많이 보이는데, 이런 곳들은 본래 과거에는 하나의 안에서 농경지대를 사이에 두고 조금씩 떨어져 있던 이나 정(町) 단위의 소규모 시가지들이 군에서 분리되어 로 승격되는 과정에서 별개의 도시가 된 것이다. 나중에 가서는 각 읍면들 사이에 있었던 농경지가 시가지로 변하고, 사실상 하나의 도시를 이루게 된 경우로, 대표적으로 경기도안양시-군포시-의왕시가 그렇다. 한국은 1994년 이후로 도농통합시가 출범하면서 이러한 경우는 많이 줄어들게 되었다.

이와 달리, 원래부터 역사적으로 별개의 지역이었다가 쌍둥이 도시로 통합되어 가는 예는 충청남도천안시아산시를 들 수 있다. 천안시와 아산시는 2000년대 들어 두 도시의 경계 지역에 아산신도시가 들어서면서 생활권이 통합된 예이다. 이와 같이 오늘날에는 두 도시의 경계 지역에 신도시를 세우고 메가시티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쌍둥이 도시들도 있다.

이렇듯 사실상 하나의 도시가 되었는데 행정적으로는 여전히 별개의 도시라면 시외 할증이나 전화 요금 등 생활의 밀접한 요소들부터 불편하게 다가오기 마련이다. 때문에 이러한 도시들은 행정적 편의를 위해 단일도시로 통합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 헝가리수도 부다페스트가 있다. 그러나 각 도시의 이해관계 때문에 통합을 이루지 못 하는 경우도 많이 있는데, 역시 앞서 언급했던 안양-군포-의왕의 갈등이 그 예시이다.

이와는 조금 다른 양상으로, 국경이나 지역 경계와 같은 인위적인 경계지대에 형성되는 쌍둥이 도시들도 있는데, 국경도시들이 대개 이렇게 쌍을 이루곤 한다. 이러한 도시들은 국가 간, 혹은 지역 간 관문 역할을 하면서 외교 사절의 통행, 교역, 군사적 요충지 등의 구실로 형성된다. 다만 아직 국가 간 협력 거버넌스는 미진한 상태이므로 국경 간 쌍둥이 도시는 관계는 밀접할지언정 행정구역상으로까지 통합되기는 어렵다.

2.1. 대한민국

2.1.1. 행정구역이 다른 경우

2.2. 외국

북한은 편의상 이 문단에 기술한다.
아래 목록은 인접한 국가 간의 국경도시로써 통행에 검문을 요구하는 특수 지역(예. 홍콩) 등을 포함한다.

3. 유사 개념

대형 도시와 그 주변 도시들이 연담화된 메갈로폴리스, 중심 도시에 의존하는 위성도시, 베드타운과는 다소 다른 개념이다.

하나의 도시였다가 국경 변경으로 인하여 분단된 도시들도 넓은 의미의 쌍둥이 도시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일이나 국경 조정을 통해 하나로 합쳐지는 경우도 간간히 있다.

2000년대 이후 한국에서는 도청 신도시를 행정구역 경계에 건설하는 경우가 많다. 이 역시 도시 형성은 동시에 이루어지니 엄밀한 의미의 쌍둥이 도시와는 다소 다르다. 다만 행정구역의 차이로 도시 발달의 다소간의 차이가 나기는 한다.[9]
[1] 이 지역을 연고로 하는 미네소타 트윈스의 팀명 역시 이러한 지역적 특성에서 유래한 것이다.[2] 이 분야의 네임드.[3] 이 동네는 통합되었다 분리되었다를 반복한다.2005년에 통합되었다.[4] 당시(1954년)는 오키나와가 일본령이 되기 전이었다.[5] 두 도시를 중심으로 주변지역을 합쳐 런던 주, 이후 그레이터 런던으로 확장한다. 그래서 오늘날 런던의 중심은 웨스트민스터에서 시티로 향하는 길목에 있는 위치한 트라팔가 광장으로 삼는다.[6] 두 국가가 이름도 비슷하기 때문에 수도 이름을 따 각각 '브라자빌 콩고', '킨샤사 콩고'라고 부르기도 한다.[7] 대루(對壘)란 성을 포위한 군대가 성에 맞대응하여 쌓는 보루를 말한다.[8] 혹은 그 역할을 그대로 이름으로 써 대루 선(La Línea de Contravalación)이라고도 한다. 오늘날처럼 '수태고지의 선'(라리네아데라콘셉시온, La Línea de la Concepción)이라는 이름으로 바꾼 것은 1870년이다. 영국 측에서는 '스페인 선'(Spanish Lines)이라고도 한다.(#[9] 일례로 내포신도시2010년대까지 홍성 측의 발전이 압도적이었다. 2020년대에 들어서는 이 격차가 거의 해소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