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3 01:49:04

에스프레이드

에스프 시리즈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본편 에스프레이드 · 에스프가루다 · 에스프가루다 2
이식판 에스프레이드 Ψ · 에스프가루다 2 블랙 레이블

에스프레이드
ESP RA.DE.
エスプレイド
파일:에스프레이드.png
<colbgcolor=#33328b><colcolor=#ffffff> 개발 케이브
유통 ATLUS
플랫폼 아케이드
장르 종스크롤 탄막 게임
출시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1998년 4월
한국어 지원 미지원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시스템
3.1. 디폴트 설정3.2. 올클리어 보너스
4. 스토리5. 플레이어블 캐릭터6. 스테이지 및 보스7. 이식8. 기타

[clearfix]

1. 개요

1998년 케이브에서 개발하고 ATLUS에서 유통한 종스크롤 탄막 게임.[1] 케이브 ESP 계열 슈팅 게임의 조상이다.

2. 특징

이전에 제작했던 도돈파치가 큼지막한 아군기 그래픽 등 '탄막 슈팅이 아닌 척했던 게임'인 데에 비하면, 본작은 본격적으로 '느리고 빽빽한 탄막'을 제대로 실현하여 플레이어가 작아지고, 조밀하고 느린 적탄이 화면을 가득히 메우면 '저거 못 피하는 거 아니냐'란 생각부터 먼저 하게 만드는 최초의 게임이 되었다. 아군의 피탄 판정이 목 부위에만 존재하므로 보고 잘 피하면 뉴타입스러워 보이는 게임 플레이도 가능했다. 어디까지나 탄막 슈팅이 생소했던 발매 당시 이야기지만.

동방환상향동방괴기담에는 직접적인 탄막 모티브를 제공하였고[2], 동방괴기담, 동방요요몽 작중의 신키사이교우지 유유코의 날개 전개 기믹의 원류가 되는 등, 동방 프로젝트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게임이기도 하다.[3]

후속작은 아니지만 일부 시스템을 차용하여 형태가 비슷한 게임으로 에스프가루다, 에스프가루다 2가 있다. 그러나 케이브류 ESP 게임의 인터페이스와 인물, 그리고 플레이 게이지 진행 방식이 모두 흡사한 점을 든다면 에스프레이드가 이러한 원형이자 조상임을 케이브 스스로도 인정한 게임.

케이브의 게임 한정으로 난이도는 쉬운 편에 속하고 캐릭터를 전면적으로 내세운 게임이기에 초심자가 접근하기 쉽다. 또한 1998년에 만들었다고 보기 어려울 정도로 그래픽적으로도 음악적으로도 완성도가 무척 높아 케이브 최고의 작품으로 치는 사람들이 많다. 과연 조상 게임다운 퀄리티. 특히 도돈파치와 에스프레이드로 일찌감치 케이브류 슈팅을 접한 사람에게는 훌륭한 대표 추억 보정 게임 중 하나다.

이 게임의 특징은 서브 웨폰에 의한 배율 콤보와 배리어 봄 시스템. 배율 콤보는 서브웨폰 히트수+메인샷 격파로 최대 16배까지 점수 배율을 만드는 시스템으로 이것을 활용해 끊임없이 16배 점수를 유지하는 것이 목적인 시스템이다. 16배율을 만들기 위해서는 서브샷이 적기에 착탄한 순간에 메인샷으로 쏴야 한다. 사실 그저 즐기고 싶다면 이런 시스템은 '아, 그냥 이런 게 있구나.' 하는 정도로 알아두면 된다. 참고로 2P로 플레이할 경우 배율이 오래 지속되므로 스코어링 시에는 2P가 유리하다. 전일급이나 전일 스코어러가 2P로 게임 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 때문.[4] 배율 지속 시간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게이밍하고 싶다면 아무 버튼+스타트 버튼 눌러서 게임 시작할 것.

배리어 봄 시스템은 기존의 게임들처럼 봄을 개수 단위로 두지 않고 게이지 형식으로 만들어 봄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C버튼을 유지하면 배리어가 생성되는데 이 배리어는 버튼을 뗄 때까지 유지되지만 그동안 봄 게이지를 계속 소비하게 된다. 또한 배리어로 적탄을 흡수하면 배리어 샷의 공격이 강력해지기 때문에 이것을 활용한 고속 클리어 역시 가능하다.

파워업의 방식이 다른 케이브 슈팅에 비해 조금 특이한데, 그냥 파워업 아이템을 얻으면 등장하는 게 아니고 작은 파워업 아이템 15개를 얻어야 파워업이 되는 형식이다. 파워업을 할 때마다 A샷의 파워 증가+B샷 발사탄수 2발 증가. 최대 4회 파워업이 가능하고, 풀 파워가 되면 그 때부터는 파워 아이템 대신 엔 아이템이 등장.

엔 아이템은 특정 적 격파 시 등장하며, 점수는 마지막으로 B샷을 겹쳐 격파한 적의 원 배율×100. 카운터가 다 차면 탄소거가 되고, 이때 혹은 이후로 봄 게이지가 100% 미만으로 떨어지게 되면 카운터가 점차 떨어지면서 엔 아이템 대신 봄 회복 아이템이 떨어진다. 카운터가 종료되면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지만, 풀 카운터까지 필요한 엔 아이템의 개수가 100개씩 증가.(초기엔 200개) 올클리어 리절트 중에 현 엔 카운터×1000이 있으니 스코어링을 한다 해도 어느 정도 봄을 써줘도 된다.

봄 아이템, 엔 아이템은 격파 시 배율에 비례해 양이 늘어나며, 중형기와 대형기의 경우 적 기체와 겹치는 탄은 아이템으로 탄소거된다.

3. 시스템

3.1. 디폴트 설정

3.2. 올클리어 보너스

최종 스테이지를 클리어했을 경우 주어지는 올클리어 보너스는 다음과 같다.

잔기 상자가 하나라도 비어있을 때 익스텐드를 취득하면 비어있는 잔기 상자에 잔기가 하나 추가될 뿐, 잔기 상자가 늘어나지 않는다.

4. 스토리

대사 번역(영문)

5. 플레이어블 캐릭터

에스프레이드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목록
아케이드판
사가미 유스케 J-B 5th 미마사카 이로리
콘솔 이식판에서 추가된 캐릭터
오노 앨리스

6. 스테이지 및 보스

에스프레이드의 스테이지 및 보스
전반부[5]
랜덤,스테이지 1~3
A 호오 고교(오후)
시작 캐릭터 사가미 유스케
중간 보스 미야비
보스 폭주 사토루
BGM 인게임, 앨범 전용 익스텐드 리믹스
B 쇼핑몰(저녁)
시작 캐릭터 J-B 5th
중간 보스 아토믹 샹들리에
보스 거대장갑전차 이즈나
BGM #
C 임해공원(낮)
시작 캐릭터 미마사카 이로리
중간 보스 기가 도저
보스 거대전투헬기 팰러보이
BGM 인게임, 앨범 전용 익스텐드 리믹스
결전
고정,스테이지 4~5
4 지하철 완간선
중간 보스 아케보노
보스 장갑인형 플레이아데스
BGM 전반부 인게임, 전반부 익스텐드 리믹스
후반부 인게임, 후반부 익스텐드 리믹스
야사 본거지(밤)
중간 보스 야사최고간부진
최종 보스 야사총수 가라부인(feat 아레스)
BGM 전반부 인게임,
후반부 인게임, 후반부 익스텐드 리믹스
공용 보스전 BGM
RAGING DECIDE
보스전 BGM 에스프레이드 사이 드라이브 웨이브즈 버전 목록
오우미 사토루 버전: 인게임 / 앨범 전용 익스텐드 리믹스
이즈나 버전: #
펠러보이 버전: 인게임 / 앨범 전용 익스텐드 리믹스
플레이아데스 버전: 인게임 / 앨범 전용 익스텐드 리믹스
오행각사 버전: #
가라 부인 버전: 인게임 / 앨범 전용 익스텐드 리믹스
에스프레이드 Ψ 한정 히든 보스 앨리스 마스터 오노 앨리스
BGM 1페이즈 RAGE
2페이즈 WING
3페이즈 MADNESS
앨범 전용 익스텐드 리믹스

랜덤 스테이지는 게임 설정상 시간대에 맞춰서 정렬하였으며 배경은 부제에 나타난 명칭처럼 2018년인데 현실의 기술력과 비교하면 발전한 기술들이 많다. 작중 등장하는 자위대의 기갑병력 구성이 호버탱크, 에어바이크, 다족보행병기를 포함한 로봇병기에다 제트 엔진을 이용한 부유기지, 현실 시점에서는 도태된 장갑열차를 포함하고 있다. 간간히 인간형 적이 등장하기는 하는데 가라 부인 항목을 보면 자위대를 손에 넣어서 자기 수족으로 부리기 때문이다. 그리고 에스프 시리즈 전통인 인간형 적은 폭발사산이 생긴다

스테이지의 경우 캐릭터마다 하나씩 전용 스테이지가 배정되어 있으며, 처음엔 해당 캐릭터에 배정된 스테이지에서 시작한다. 첫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면 남은 두 캐릭터의 전용 스테이지를 플레이하며 전부 클리어하면 후반 스테이지(고정면)에 진입한다.

7. 이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스프레이드 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기타



[1] 판권은 ATLUS가 가지고 있다. 회사와의 합의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는지 2018년 전에는 아쉽게도 가정용으로 이식되지는 못했다. 케이브 마츠리에서 관련 상품을 내놓긴 했다.[2] 4면 보스 레이무와 유키의 패턴 중에 에스프레이드 4면 보스 패턴을 포대 하나에서 쏜 것과 비슷한 탄막 패턴을 발견할 수 있다.[3] ZUN은 에스프레이드가 발매되기 전인 1997년에도 도돈파치를 참고하여 동방봉마록을 만든 전적이 있고, 나중에는 도돈파치 대왕생은 너무 어려워서 올클리어 못해먹겠다는 말도 하는 등 케이브 탄막 슈팅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4] 도돈파치 역시 2P가 스코어링 면에서 좀 더 유리하기 때문에, 결국 전일급으로 올라가고 싶으면 2P로 전향해야 한다.[5] 랜덤 스테이지이긴 하지만, 캐릭터 선택 시 B나 C 버튼을 눌러서 캐릭터를 선택하면 캐릭터에 따라서 스테이지의 진행순서를 고정시킬 수 있다. A는 완전 랜덤. 참고로 시간대에 따른 스테이지 순서는 항구-호오 고교-쇼핑몰 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