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7 22:21:12

옥주현


[[옥주현|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rowbgcolor=#000> 파일:핑클 로고 화이트.svg||<color=#fff>옥주현
Ok Joo Hyun
||
]]

{{{#!folding [ 관련 문서 ]
옥주현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핑클 로고 화이트.svg



[ 음반 목록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tablecolor=#000,#fff><width=25%>
파일:Fine Killing Liberty BLUE RAIN 앨범 아트.jpg
||<width=25%>
파일:finkl_album_2.jpg
||<width=25%>
파일:finkl_live_concent.jpg
||<width=25%>
파일:finkl_album_2.5.jpg
||
정규 1집

Fine Killing Liberty : BLUE RAIN
(1998.05.20)
정규 2집

White
(1999.05.12)
라이브 앨범

1999 Fin.K.L First Live Concert
(1999.10.01)
비정규 2.5집

S.P.E.C.I.A.L
(1999.11.24)
파일:finkl_album_3.jpg
파일:Fin.K.L 3.5.jpg
파일:finkl_album_4.jpg
파일:finkl_single_finkl_.jpg
정규 3집

Now
(2000.10.06)
리메이크 3.5집

Memories & Melodies
(2001.04.13)
정규 4집

call me in your heart ...can be my soul show you love again
(2002.03.08)
디지털 싱글

Forever Fin.K.L
(2005.10.26)
파일:finkl_best_album.jpg
파일:finkl_single_like_a_song.jpg
베스트

FIN.K.L Best Album
(2019.08.19)
디지털 싱글

남아있는 노래처럼
(2019.09.22)
[ 관련 문서 ]
||<tablebgcolor=#fff,#1f2023><width=500> 음반 ||<width=33.3%> 활동 ||<width=33.3%> 캠핑클럽 ||
핑클빵 노래방 핑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665D57,#000> 파일:별밤 로고.png 별이 빛나는 밤에
역대 별밤지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2대 3대 4대 5대
오남열 차인태 이종환 박원웅 안병욱
6대 7대 8대 9대 10대
조영남 오혜령 고영수 이필원 김기덕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문진호 이수만 서세원 이문세 이적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이휘재 박광현 정성화
박희진
옥주현 박정아
21대 22대 23대 24대 25대
박경림 윤하 허경환 백지영 강타
26대 27대
산들 김이나 }}}}}}}}}

<rowcolor=#000,#e0e0e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3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A3CB1E> 연도 엘파바 글린다 피예로
2013 초연 옥주현, 박혜나, 김선영 정선아, 김보경, 김소현 이지훈, 조상웅
2016 재연 차지연, 박혜나 정선아, 아이비 민우혁, 고은성
2021 삼연 옥주현, 손승연 정선아, 나하나 서경수, 진태화
{{{#!wiki style="margin:0px 0px 4px"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rowcolor=#e2dfda> 연도 스위니 토드 러빗 부인 터핀 판사 안소니 토비아스 조안나
2007 류정한, 양준모 박해미, 홍지민 김봉환 임태경, 이동명 홍광호, 한지상 유에스더
2016 조승우, 양준모 옥주현, 전미도 서영주 윤소호 문태유, 김성철 이지혜, 이지수
2019 조승우, 홍광호, 박은태 옥주현, 김지현, 린아 김도형, 서영주 임준혁 신주협, 신재범 최서연, 이지수
2022 강필석, 신성록, 이규형 전미도, 김지현, 린아 김대종, 박인배 진태화, 노윤 윤은오, 윤석호 최서연, 류인아
같은 배우가 여러 번 참여하는 점을 감안하여 처음으로 참여한 시즌에만 다이렉트를 삽입합니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연도 마타하리 아르망 라두 대령
2016 옥주현, 김소향 엄기준, 송창의, 정택운 류정한, 신성록, 김준현
2017 옥주현, 차지연 엄기준, 임슬옹, 정택운 민영기, 문종원, 김준현
2022 옥주현, 솔라 김성식, 이홍기, 이창섭, 윤소호 최민철, 김바울
같은 배우가 여러 번 참여하는 점을 감안하여 처음으로 참여한 시즌에만 다이렉트를 삽입합니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3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29432e> 연도 안나 브라운 로렐라이
2017 트라이아웃 유리아 박은석 지현준
2018 초연 아이비, 유리아 박은석, 이상이 지현준, 홍우진
2021 재연 차지연, 아이비, 김세정 송원근, 서경수, 인성 홍우진, 정상윤, 조풍래
2023 삼연 옥주현, 박진주, 민경아 송원근, 신성민, 김성규 박영수, 조풍래
같은 배우가 여러 번 참여하는 점을 감안하여 처음으로 참여한 시즌에만 다이렉트를 삽입합니다.
}}}}}}}}} ||
파일:방과후설렘로고화이트.png
<rowcolor=#fff> MC
윤균상
<rowcolor=#fff> PRODUCER
옥주현 유리 아이키 소연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옥주현
玉珠鉉|Ok Joo Hyun
파일:옥주현1.jpg
출생 1980년 3월 20일 ([age(1980-03-20)]세)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본관 의령 옥씨 (宜寧 玉氏)
신체 173cm[1], 60kg[2], O형
가족 어머니[3], 오빠, 남동생 옥승호
육촌 박형식[4]
학력 서울삼릉초등학교 (졸업)
언주중학교 (졸업)
광남고등학교 (졸업)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연극영화학 00 / 학사)
경력
[ 펼치기 · 접기 ]
동서울대학 (공연예술학부 겸임교수 / 2009)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연극영화학과 - 실용음악학과 교수 / 2010)
단국대학교 (공연영화학부 뮤지컬학과 초빙교수 / 2015)
종교 불교개신교[5][6]
소속사 TOI 엔터테인먼트
{{{#!folding [ 이전 소속사 펼치기 · 접기 ]
소속 그룹 핑클(FIN.K.L)
포지션 메인보컬[7]
데뷔 1998년 5월 12일 Fin.K.L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D4985; color: #000000"
(데뷔일로부터 [dday(1998-05-12)]일, [age(1998-05-12)]주년)
상징색
블랙
[8]
공식 팬클럽 비코즈 오브 옥주현[9]
별명
[ 펼치기 · 접기 ]
핑클의 블랙[10], 옥(옥님, 옥누나, 옥언니), 눙(눙님, 눙누나, 눙언니)[11], 옥엘리(옥리자벳)[12], 옥마타(옥타하리)[13], 옥티머스[14], 옥테일[15], 옥트니 휴스턴, 옥라이어 캐리
링크 파일:다음 카페 아이콘.pn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16]

1. 개요2. 활동
2.1. 핑클 활동2.2. 솔로 활동2.3. 음반
3. 뮤지컬 배우 활동4. 나는 가수다
4.1. 합류4.2. 밀어주기?4.3. 경연4.4. 나는 가수다에서 불렀던 노래들
5.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6. 콘서트7. 그 외 활동
7.1. DJ7.2. MC7.3. 기타
8. 팬클럽9. 수상 경력10. 옥주현에게 영향을 받은 인물11. 논란 및 사건 사고12. 여담

[clearfix]

1. 개요

[The musical Awards] Rebecca (레베카 2막 1장)
대한민국가수뮤지컬 배우.

4인조 걸그룹 핑클의 멤버이며, 메인보컬을 맡았다. 그룹 활동 이후 솔로가수 및 라디오DJ로 활동하다가 2005년부터 뮤지컬 배우로 전향하여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위키드, 엘리자벳, 레베카, 마타하리 등이 있으며 인생캐로 위키드의 엘파바, 엘리자벳의 엘리자벳, 레베카의 댄버스 부인, 마타하리의 마타하리 등이 있다.[17]

별이 빛나는 밤에[18]를 대표하는 꼭지 코너 중 하나인 별밤 뽐내기에서 머라이어 캐리의 'Hero'를 불러 연장원에 오른 것을 계기로 대성기획 이호연 대표의 눈에 띄어 핑클 멤버들 중 첫 번째로 영입되었다.[19]

키가 커서 핑클 첫 활동 당시 기준으로 옥주현과 키가 대등한 여가수는 김이지, 김현정이었다. 이후 멤버 전원 170 후반대인 LPG에게 타이틀을 내주었다. 핑클 활동 막판에 이르러 실제 키를 공개했다. 사실 핑클 멤버들은 전원이 장신인 편이다.[20]

2. 활동

2.1. 핑클 활동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핑클 멤버로서 활동한 부분에 대한 내용은 핑클/활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옥주현이 힐링캠프에 출연했을 때 데뷔 일화를 밝혔는데, 참조. DSP 이호연 사장이 스카우트로 풀어놓은 기자가 옥주현이 노래하는 모습을 보고 이호연한테 데려갔다고 한다. 이호연은 옥주현을 처음 보자마자 "왜 이렇게 뚱뚱하냐"며 돌직구를 던졌는데, 옥주현은 "나는 성악하는 사람이니까 상관없다"고 맞받아쳤다. 그러자 이호연은 "너 아이돌 시켜준다는데 뭐가 싫냐?" 며, 여자는 살 빼고 쌍꺼풀 수술하면 확 바뀐다고 설득했다고 한다. 그런데 데뷔 날짜가 다가오는데도 수술을 안 시켜주다가 뒤늦게 시켜줘서, 데뷔하고 쌍꺼풀이 퉁퉁 부은 채로 활동했다고 한다.

아무래도 걸그룹 아이돌인 만큼 외모가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옥주현의 외모는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조혜련과 닮아서 가끔 그 둘이 장난삼아 같이 나오기도 했다.[21] 냉정히 말해 당시의 대성기획[22]의 저질 기획력의 희생자. 무릎팍도사 성유리편이나 강심장에서 김준희가 밝힌 핑클 탄생 비화를 보면 알겠지만, 옥주현은 구색 맞추기 식의 가창력 담당으로 끼워놓고, 나머지 멤버는 외모만 보고 캐스팅되었다.[23]

2집 때 폭풍 감량을 통해 점점 미모는 발전해졌다.[24] 또한 자신의 강점이었던 롱다리를 콘서트 등에서 적극적으로 노출하여 나름 다리 미녀로 알려지기도 했다.[25] 핑클 활동 끝 무렵에는 외모가 다른 멤버들에게도 뒤쳐지지 않았다. 인기도는 다른 멤버들에 비해서는 다소 낮다고 할 수 있었지만 나름 팬 층이 탄탄했다.

2015년에 핑클 4명이 한 자리에 모였을 때 페이스북에 다음과 같은 글을 올렸다. 활동 당시의 비화를 말하며 이호연 사장과 당시 회사 직원들에 대한 감사인사를 전했다.
오랜만에 옛날 이야기 보따릴 펼쳤더니 재미난 일들이 많긴 하다. 넷은 여러모로 세고 특이했다. 이상하리만큼 운이 좋았다, 우린. 가수가 되고 싶단 큰 꿈도 없이 캐스팅된 아이들. 노래 안 되고 춤도 안 되는데 '연습생 시절'이란 것도 없이 그 상태로 데뷔를 시킨다고... 망할 거라고 확신하며 아무 기대도 겁도 없이 세상에 나왔다.

예상대로 데뷔곡 '블루 레인'은 큰 집중을 받지 못했지만 좌절하지도 않았다. 당연하다고 생각했기에. 우리 사장님은 갑자기 말도 안 되는 곡으로 방향을 바꿔 빛의 속도로 일을 진행했다. 뮤직비디오를 찍던 날의 기억이 생생하다. 이런 옷을 입고, 이런 유치한 가사를 립싱크하라니. 이걸로 앞으로 방송도 해야 하냐고. -이것봐 나를 한번 쳐다봐. 나 지금 예쁘다고 말해봐-콜미 콜미 콜콜 기 붜 코올 -난 니 거야- 우린 모두 하기 싫은 티를 뚝뚝 묻혀가며 했다. 그런데 이게 그렇게 터질 줄이야...! 그 이후 고공행진.

노래 춤 실력을 키워야 하는데 예능의 절대 강자로 시청률을 제압하던 핑클은 잠자는 시간, 가요 프로그램 출연하는 시간을 제외하곤 예능 촬영에 몰두. 노래 연습은 안녕... 춤은 모두가 따라 출 수 있는 걸로.

오늘 밥 먹으면서 저 위의 내용으로 웃음꽃이 활짝 폈다. 신기하지 않냐며, 잠깐 꿈을 꾸고 깨어난 것 같다며. 갖춰진 것도 없이 운이 억수로 좋았던 건 말이 안 되는 걸 되게끔 옆에서 애써준 사람들의 공이 크다고... FBI에서 훈련 받는 것보다 우리 넷을 케어하는 게 몇 배는 더 고통스러웠을(^__^) 매니저 오빠들. 불도저 이호연 사장님. 오늘 귀 좀 간지러우시겠다. 핑클을 에워싼 숲이 되어준 그대들에게 고맙고 보고 싶고 미안하고... 넷이서 이야기 나누며 많이 그리워했어요. 오겡키데스카.

2.2. 솔로 활동

파일:6852431.1.jpg
2002년 이후, 핑클은 따로 또 같이 활동을 시작했다. 옥주현은 라디오 DJ를 시작했는데 별이 빛나는 밤에의 19대 별밤지기로서 2002년 4월 1일부터 2006년 10월 1일까지 4년 6개월 동안 진행하면서 동시간대 청취율 1위를 유지했다. 2002년에는 라디오 부문 우수상, 2005년에는 라디오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별밤 뽐내기로 연예계에 스카우트되었는데 본인이 DJ를 맡게 되어서 감사하다고 했다.

요가 다이어트 비디오를 내면서 대히트를 했다. 다이어트 비디오들 중 가장 히트했다고. 원래 얼굴만 통통했을 뿐 비만 체형과는 거리가 멀었다. 게다가 키 170이상인걸 생각하면 오히려 늘씬한 편이었다. 체중을 감량하면서 성형수술을 했다고 스스로 공개했다. 2005년쯤에는 압구정동에 요가 스튜디오를 열었었지만, 쫄딱 말아먹은 데다가 임대료도 안드로메다급으로 비싼 압구정동이었던지라 타격이 심각했고, 동업자는 '옥주현이 일부러 경영권을 독차지하려 자신에게 접근했다'며 소송까지 거는 등 이래저래 마음고생이 심했다. 약 3년 정도 사업을 했었는데, 덕분에 그동안 번 돈도 다 날려먹은 데다가(요가 비디오로 번 돈도 전부 들이부었었다고 한다.) 빚까지 져서 핑클 멤버들에게 돈을 꿔야 했다고 한다.[26][27]

핑클이 개인 활동을 시작한 후 솔로로 데뷔했으나, 톱스타로 성장한 이효리만큼의 뛰어난 커리어를 남기지는 못했다. 가창력이 좋다고 다 성공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 다만 이효리가 워낙 독보적으로 크게 성장한 거지[28], 아이돌 출신 중 옥주현 정도면 상당히 자리를 잘 잡은 편이다. '아주 망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데, 쇼! 뮤직탱크 1위 3회[29], MBC 음악캠프에서 1위 후보까지 올라가는 등 괜찮은 성적을 거두었다.

2008년 3집을 끝으로 더 이상의 앨범은 내지 않고 있지만, 드라마 OST에 참여하거나 SG워너비의 앨범에 피쳐링으로 참여하는 등[30] 간간히 가수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는 뮤지컬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옥주현의 1~3집 앨범 퀄리티는 상당히 괜찮은 편이다. 1집에서는 팝페라풍의 강렬한 보컬을, 2집에서는 좋은 그루브를 보여주며 흑인 음악 싱어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했다. 지금은 뮤지컬 배우로 완전히 변신, 각종 작품에서 주연을 꿰차고 본인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맹활약 중이다.

하지만 뮤지컬을 조금 나중에 시작하고 좀 더 가수 활동을 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 섞인 의견도 있다. 옥주현이 뮤지컬을 시작하고 집중했던 기간은 발라드, 알엔비, 락 가수들이 잘 나가던 시절이었다. 하지만 3집을 냈던 2008년 가요계는 다시 아이돌 가수들의 전성시대였다. 아니면 차라리 처음부터 댄스곡으로 시작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것도 있는데 댄스에 대해서 이효리와 함께 핑클 내에서 잘하는 멤버였고 보는 사람에 따라서는 제일 잘하는 멤버로 꼽히기도 했다.

그리고 오페라 가수로도 활동한 적이 있다.

뮤지컬 배우로서 옥주현의 티켓 파워는 굉장히 좋다고 할 수 있다. 매년 실시하는 골든티켓 어워즈에서 남녀 뮤지컬 배우를 통틀어 최초로 상을 다섯 번이나 받았다. 실제로도 옥주현이 댄버스 부인으로 열연한 뮤지컬 레베카의 경우, 티켓팅 시작 5분 만에 VIP석을 순식간에 매진시켜 버릴 정도로 티켓 파워가 출중하다.

2019년 뮤지컬 캣츠를 영화화한 캣츠의 개봉을 앞두고 대표적인 넘버 Memory 한국어 버전 커버송을 발표했다. 참고로 전 세계에서 유일한 공식 커버곡으로 옥주현은 유일한 커버곡의 주인공이 되었다.

2021년 MBC 방송연예대상에서 특별상[31]을 수상했다.

2.3. 음반

<rowcolor=#fff> 발매일 음반명 타이틀곡
2003년 6월 2일 ☆정규 1집 NAN 난(亂)
2004년 11월 15일 ☆정규 2집 L'ORDEUR ORIGINAL Catch
2008년 6월 17일 ☆정규 3집 REMIND Honey
2010년 5월 7일 MONTE CRISTO -
2012년 4월 2일 ELISABETH -
2013년 3월 5일 ☆미니 1집 REFLECTION 그림자 놀이
2013년 3월 28일 REBECCA -
2013년 7월 19일 THE LAST KISS -
2014년 9월 1일 ☆뮤지컬 명곡 1집 GOLD Finding Wonderland
2016년 6월 29일 MATA HARI -
2016년 8월 5일 ☆라이브 1집 VOKAL (화이트 버전) -
2016년 11월 30일 ☆라이브 1집 VOKAL (블랙 버전) -
2017년 9월 26일 REBECCA (리패키지 버전) -

3. 뮤지컬 배우 활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옥주현/뮤지컬 배우 활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나는 가수다

4.1. 합류

JK김동욱과 함께 나는 가수다에 새로 합류한다는 소식이 나오자마자 아이돌 출신이라는 이미지 때문에 상당한 반발을 일으켰다. 지금이야 옥주현이 뮤지컬등을 하면서 중견가수 이미지가 생긴거지만, 당시에는 커리어가 대부분 아이돌 활동뿐이었다. 그리고 당시 시류에서 아이돌이란 직업은 음악인이라는 이미지도 없던 시절이다.

2011년 5월 23일 녹화에 참여했다는 기사가 나간 이후로, 그녀에 대한 웹의 시선은 이 짤방 하나로 말할 수 있다.

억지로 오케스트라를 대동하여 이소라와 싸웠다는 루머 및 가십 기사까지 온 인터넷을 강타했다. 결론은 이소라에게 소리를 지른 건 임재범이었고, 그것조차 난동이라는 건 과장이라는 해명 기사. 참조. 옥주현은 이소라 언니에게 당일 귀걸이까지 선물 받았다며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4.2. 밀어주기?

출연과 동시에 규칙이 바뀌면서 '옥주현을 밀어주는 것 아니냐'는 음모론에 시달렸다. 바뀐 규칙으로는 참여 첫 주 가수 본인의 대표곡 부르기 폐지가 있다. 갑작스런 변화에 여론이 민감한 시기였다보니 이 변화를 굳이 옥주현과 연관시키는 감이 없잖아 있었다. 사실 어느 프로그램이든 초반에는 방향성이나 규정이 명확하지 않고, 이리저리 바뀌면서 갈팡질팡하는 것은 항상 있는 일이니 약간이라도 프로그램을 유연한 시선으로 지켜보는 것이 필요하다.

대표곡 같은 경우 옥주현이 솔로 대표곡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부러 빼버린 게 아니냐는 논란에 시달렸는데, 대표곡 부르기는 3명이나 되는 가수들이 한 번에 들어오는 데다가 신정수 PD 체제에서 다시 시작하자는 마음으로 첫 번째 주에만 부르기로 했던 것이다. 사실 핑클 당시 곡들까지 대표곡으로 치면 굉장히 많다.

4.3. 경연

여러 논란과 루머에도 불구하고, 첫 번째 경연에서 '천 일 동안'을 뮤지컬에서 갈고닦은 실력으로 득표율 21.5%로 1위를 차지했다. 워낙에 긴장해서인지 등장부터 다리가 후들거리더니, 노래가 끝난 후에는 펑펑 울면서 내려왔다.

2번째 경연에서는 김건모의 '사랑이 떠나가네'를 탱고로 편곡하여 전조와 스포츠 댄서와 같이 한 안무가 화제가 되었다. 기타 케이블이 빠지는 사고가 났는데도 불구하고, 감정을 다잡고 다시 매끄럽게 무대를 소화한 것이 호평을 받았고, 특히 '전조'가 네이버 순위에 오랫동안 등극하며 제법 화제가 되었다. 결과도 5위로 양호했다.

이소라가 나가수에서 떠날 때 옥주현에게 별 모양 귀걸이를 주었고, 이후 연락해서 '누구도 붙잡지 못하는 별이 되거라'라는 말을 해주었다고. 옥주현은 다음 경연 때 이소라에게 받은 귀걸이를 하고 나왔다. 이후 이소라의 프로포즈 시즌2에도 출연하며 선후배 사이를 이어나가게 된다.

이후에 나가수의 열기가 방송 초기에 비하면 줄어들고, 또한 김어준이 누누이 지적했던 묻지마 옥주현 까들에 대한 반동으로 안티도 줄어드는 양상이 되어가고 있었다.

하지만 이때부터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하는데, 1차 경연에서 뮤지컬스러운 편곡으로 신성우의 '서시'로 4위를 차지했지만, 2차 경연에서 플루트를 이용해 '숲속 음악회'의 느낌으로 조장혁의 'LOVE'를 편곡했으나, 결과적으로는 느낌의 전달이 성공적으로 이뤄지지 못했고, 7번째 경연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6위를 했고, 탈락 후보까지 갔다.[32] 아이러니하게도 이때 1등은 순서가 2번째였던 YB가 했다.[33]

거기에 전 경연에서 잔잔한 곡으로 6위를 한 게 마음에 걸렸는지 이효리의 'U-Go-Girl'을 선곡해 넥스트 기타리스트 김세황을 동원한 파격적인 댄스 무대를 보여주었으나 6위를 했다. 가수들이 1위 후보로 꼽을 정도였지만, 본인도 인정했듯이 후반부에서 보컬이 불안정했던 데다가 파격 이상의 무언가를 보여주지 못했다는 게 중평. 그래도 피나는 안무 연습 등은 나름대로 호평을 받았다.

하지만, 7월 24일 2차 경연에서 7위를 받았으며, 1차 경연 6위와 합산한 결과 평균 9.5%의 득표율로 최종 7위로 하차했다. 옥주현도 이날은 최종 꼴지 할 것을 예상했다. 떨어지더라도 경연 7위는 하지 말자고 인터뷰 했는데, 결국 경연 7위까지 하고 떨어졌다. 나가수에서의 최종 성적은 1-5-4-6-6-7.

나가수에서 그녀에게 돋보였던 가수로서의 특징은 뮤지컬에서 입증된 성량과 깔끔한 고음 처리, 그리고 정확한 음정 잡기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이전에 아이돌 그룹 생활을 해서 그런지, '사랑이 떠나가네'나 '유고걸' 등 댄스 무대도 비교적 자주 들고 나왔다. 아마 다른 아이돌 출신 가수들이 나오지 않는 이상[34] 나가수의 거의 유일무이한 댄스 무대가 될 듯싶다. 결과적으로 옥주현에게 있어서는 좋은 경험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뮤지컬을 즐기지 않은 대중에게도 자신의 실력을 확실하게 선보인 기회였다고 볼 수 있다.

4.4. 나는 가수다에서 불렀던 노래들

<rowcolor=#FFFFFF> 경연 가수 매니저 노래 순위
2라운드 1차 경연 옥주현 송은이 천 일 동안 - 이승환 1위
2라운드 2차 경연 옥주현 송은이 사랑이 떠나가네 - 김건모 5위
3라운드 1차 경연 옥주현 송은이 서시 - 신성우 4위
3라운드 2차 경연 옥주현 송은이 LOVE - 조장혁 6위
4라운드 1차 경연 옥주현 송은이 U-GO-GIRL - 이효리 6위
4라운드 2차 경연 옥주현 송은이 남자는 배 여자는 항구 - 심수봉 7위

5.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옥주현/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콘서트

7. 그 외 활동

7.1. DJ

7.2. MC

7.3. 기타

8. 팬클럽

해외 팬 사이트, 핑클 팬 사이트는 제외했다.옥주현의 대표적인 팬사이트이다. 옥주현이 핑클 시절부터 글을 남겨왔다. 핑클 멤버들의 팬사이트 중 가장 오래되고 가장 공신력 높은 팬사이트다.

9. 수상 경력

10. 옥주현에게 영향을 받은 인물

옥주현의 팬이거나 존경, 롤모델이라고 밝힌 유명인

11.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옥주현/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여담



[1] 팀 내 최장신. 김범수 왈,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그녀'. 키가 너무 커서 가까이 있으면 비교된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가족오락관 861회 맨 끝자락에 김건모와 같이 선 장면을 볼 수가 있는데, 이때도 옥주현이 더 컸다.[2] # 과거에는 체중이 86kg까지 나갔었다.[3] 친아버지는 초등학교 6학년 때 돌아가셨다. 핑클 방송 활동 시기 등장하던 아버지라고 부르는 분은 어머니가 재혼 후에 맞은 새아버지이다.[4] 브라이언과는 먼 친척 사이.[5] 원래는 불자였으나, 2008년 동갑내기 팀 동료 이진전도개종하였다.[6] 같은 크리스천들인 성유리이진과 함께 신앙 생활을 한다고 한다. 출처.[7] 당시 자신의 포지션을 소개할 때 리드보컬이라고 소개했지만, 현재의 아이돌 포지션 분류에 따르면 메인보컬 포지션이다. 당시 1세대 아이돌 걸그룹들을 보면 한 명이 메인 겸 리드를 동시에 맡아서 보컬을 이끄는 모습이 종종 나타나는데, 베이비복스를 제외하면 그 중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S.E.S.바다, 서인영 & 조민아 투입되기 전 쥬얼리 1집 활동 때 박정아, 샤크라황보 등이 옥주현처럼 원 메인이 돼서 보컬을 이끄는 모습을 보여줬다. 2세대 걸그룹부터는 메인, 리드 포지션을 나눠서 하지만, 1세대는 멤버 중 한 명이 원탑이 돼서 희생당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특히 라이브할 때는. 영상 링크 1, 영상 링크 2. 영상을 보면 1세대 아이돌 걸그룹의 사정을 알 수 있다.[8] 블랙과 함께, 핑클의 상징색인 펄레드도 옥주현 팬덤의 공식 컬러로 사용된다[9] 약칭 '비코즈', 다음카페, 옥주현 인증有[10] 핑클은 멤버 컬러가 있는데 이효리는 레드, 옥주현은 블랙, 이진은 블루, 성유리는 화이트다.[11] 옥을 거꾸로 한 글자[12] 뮤지컬 엘리자벳에서 맡은 엘리자벳 역할[13] 뮤지컬 마타하리에서 맡은 마타하리 역할[14] SNL코리아 출연 당시 붙여진 별명.[15] ① 뮤지컬 무대에서 눈빛, 표정, 제스처 하나하나가 디테일하다 하여 붙은 별명. ② 온앤오프 옥주현 출연 회차에 같은 소속사 후배 레떼아모르 멤버들에게 디렉팅을 해주는 장면이 나오는데, 아주 디테일하다 하여 붙은 별명.[16] 옥주현 단독 유튜브 채널이 2024년 2월 3일에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채널명은 '눙주현'. 옥주현의 다양한 영상을 보고 싶어 하던 팬들에게 엄청난 희소식.[17] 옥주현 본인도 4개의 작품 중 본인의 인생작을 하나만 골라달라는 질문에 선뜻 고르지 못했다.[18] 당시는 이문세가 진행하던 시절이었다.[19] 신기하게도 그녀와 자주 비교되는 S.E.S.의 바다도 오디션에서 머라이어 캐리의 hero를 불렀는데, sm관계자 눈에 띄어 캐스팅되었다고 한다.[20] 밝혀진 프로필 기준으로 멤버 중 키가 가장 작은 이효리의 신장이 164cm이며 나머지 3명은 모두 168cm 이상이다. 이효리의 키도 한국 여성 평균 신장(161cm)보다 크고 워낙 비율이 좋은 몸이라 작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21] 이게 어떻게 인연이 되었는지 여걸파이브에 오랫동안 같이 출연하기도 했고 현재까지도 인스타에서 소통하며 사이를 이어오고 있다.[22] DSP미디어의 전신.[23] 근데 결과적으로 그렇게 된 것이다. 원래 핑클 데뷔조는 이미 가수로 데뷔를 했던 김준희, 랩과 댄스 담당의 애니가 있었지만 둘의 탈퇴로 연습생 기간이 짧은 이진, 성유리(캐스팅 과정과 연습생 기간을 고려하면 이진, 성유리는 비주얼 멤버로 캐스팅한걸로 보인다.)만 남게 되었다. 4인조를 고집해 겨우 데려온 이효리도 외모만 보고 캐스팅한거였다.[24] 단식원에 들어갈 정도로 체중 관리에 열성을 다했다고 한다.[25] 이때 이효리는 복근을 드러내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26] 이때 핑클 멤버들이 선뜻 큰 돈을 주자 옥주현은 꼭 갚겠다고 했지만, 멤버들은 "너는 밥을 잘하니까 우리들 밥이나 해주면 된다."고 했고, 특히 이진은 옥주현이 괜한 생각으로 극단적인 선택을 하지 못하도록 매일 집에 찾아가서 밥 달라고 했다고 한다.[27] 상술한대로 압구정이라 한달 임대료만 1900만원에 임대료와 직원들 월급을 포함해서 한달에 약 3500만원이 빠져 나갔었다고 한다.[28] 애초에 2000년 이후 "신드롬"이라고 할 만한 족적을 남긴 여가수는 이효리밖에 없다.[29] 2003년 6월 27일, 7월 4일, 7월 11일.[30] 4집 'The Sentimental Chord'의 '한 여름날의 꿈' 뮤직비디오에는 직접 연기까지 하였다.[31] 방과후 설렘(아이키, 권유리, 전소연) 단체 수상[32] 참고로 해당 라운드에서는 BMK가 최종 6위와 3표 차이로 탈락했다.[33] 참고로 나는 가수다 시리즈를 통틀어서 2번째 호명자가 1위를 한 건 이게 유일하다.[34] 물론 옥주현 논란으로 미뤄봤을 때 앞으로 아이돌 출신 가수가 나올 가능성은 나가수에 나얼이 출연할 확률 정도일 것이다. 했으나 나가수3에는 되레 현역 아이돌인 효린이 나오게 됐다. 물론 나가수1과 3는 아주 많은 부분이 달라졌다.[35] 핑클 멤버들이 모였다.[36] '만나면'이라는 곡으로, 옥주현을 비롯하여 K-musical의 대표 배우 5인이 함께 하였다.[37] 이는 캣츠 뮤지컬 제작사가 인정한 세계 최초이자 세계 유일의 공식 외국어 커버곡이다.[38] 자신을 모창하는 AI와 야생화로 노래 대결을 펼쳤는데, AI를 압도적인 표 차이로 눌러버리고 가뿐히 승리했다. 사람들의 평가에 따르면, AI는 뮤지컬을 하기 전인 핑클 시절 옥주현에 더 가까워서 고음에서 차이가 났다고 한다. 사실 그럴 법한 게, 음원사이트에서 AI가 학습할 만한 옥주현의 노래들은 대부분 핑클 노래거나 뮤지컬 시작 전~초반의 노래들이 대부분이고, 뮤지컬 넘버의 음원은 거의 없다.[39] 이때 전현무가 밝힌 바에 따르면 히든싱어에서 옥주현 모창을 아무도 못해서 그동안 섭외를 못했다고 한다.[40] 영국, 독일, 프랑스, 러시아, 중국 현지의 뮤지컬 배우들과 함께 페스티벌의 테마곡 '진실한 꿈'을 한국 대표로 노래했다.[호스트] [42] SNL 특유의 코믹한 모습들과 핑클 시절에 대한 셀프디스 개그는 물론이고, 심지어 PT 트레이너가 된 댄버스 부인까지 소화했다. 고퀄 보컬에 웃긴 가사가 더해진 다이어트 버전 레베카 넘버는 덤.[43] 총괄 디렉터이자 3학년 담임으로 참여[44] 2006년도에 미주 한국일보 대표의 차남인 제프장과 교제를 한다고 밝혔으며, 2012년 더 뮤지컬 어워즈에서도 수상소감으로 남자친구를 언급하였다. 그러나 그 뒤로는 남자친구 관련해서 언급도 없으며, 정황상 조용히 결별한 거로 보인다.[45] 오피셜로는 무려 20kg이다.[46] 홍광호와의 회차에서는 홍광호가 옥주현을 들고 나가다 중간에 홍광호가 허리 아픈 시늉을 하면 옥주현이 홍광호를 들고 나가며, 박은태와의 회차에서는 박은태와 가위바위보를 하여 박은태가 이기면 박은태가 옥주현을 공주님 안기로 안고 나가고, 옥주현이 이기면 옥주현이 박은태를 들고 나간다.[47] 조승우는 옥주현의 의자 흔들기를 꽤 재밌어한 듯 하다.옥데월드[48] 박형식이 방송에서 밝힌 에피소드.[49] 서장훈을 든 건 배우 보호차원에서 편집되었다고.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