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07:28:53

장생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장생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장생(長栍)의 토착화어에 대한 내용은 장승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원신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백출(원신)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baduk_test3.png 바둑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d5ae59><colcolor=#000> 규칙 국가별 룰, 초읽기, 접바둑, , 착수금지
형태 , , 행마, 장생, 자충, , 촉촉수, 장문, 후절수, 환격
대국 흐름 포석, 정석, 끝내기, 계가, 복기, 기보
수읽기 먹여치기, 사활, 수상전, 수나누기, 교환, 맞보기
도구 바둑판, 바둑돌, 인공지능
사람 및 기관 바둑 기사, 품계, 기원, 한국기원, 대한바둑협회, 일본기원, 관서기원, 중국기원, 바둑 기전
기타 용어, 격언, 나무위키 바둑 프로젝트 }}}}}}}}}
파일:attachment/15151.png
2013년 6월 29일 한국바둑리그에서 나온 장생.

1. 개요2. 발생 원리3. 규정4. 반응5. 사례6. 그 외 창작물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장생()은 바둑 용어로 사활에서 가 아닌데 같은 모양이 계속 반복되는 형태를 말한다.

위 설명과 별도로 전근대 중국에서 편찬된 현현기경()이라는 아주 유명한 바둑책이 있다. 책의 내용은 사활 문제를 다룬 것으로 이 중에 장생세(長生)라는 문제가 있다. 장생의 기원은 이 문제에서 유래된 것이다. 어원은 아마 불로장생에서 온 것으로 추측하는데 확실하지는 않다. 일본어 위키백과에는 중국의 장생전(長生殿)에서 치러진 대국에서 이와 같은 형태가 나와 붙인 이름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2. 발생 원리

파일:attachment/151511.png

첫 번째 그림에서 흑이 살기 위해서는 a에 두어 백△를 따내야 한다. 그러나 백이 b에 두면 오궁도화로 잡히게 된다. 그래서 두 번째 그림처럼 오궁도화를 방지하기 위해 1로 먹여치고, 백은 손을 뺐다가는 왼쪽 백 넉 점이 잡히면서 흑이 살아 버리므로 2로 따낸다. 그 다음 세 번째 그림처럼 이번에는 흑이 손을 뺐다가는 단수에 걸린 흑 여섯 점을 잡아버리는 수가 있으므로 흑3으로 백 두 점을 따낸다. 그 다음에 마지막 그림으로 백4에 먹여쳐 버리면 가 아닌데 끊임없는 동형반복이 나오므로 장생 무승부가 된다.[1]

3. 규정

한국 규칙에서는 무승부가 된다. 장생의 형태가 발생했을 때 두 대국자 중 어느 한 쪽의 포기 의사가 없는 것으로 확인이 되면 주심과 입회인의 합의로 무승부 처리를 한다. 입회인이 없으면 주심이 바로 무승부 선언을 하기도 한다. 제도까지 만들어가며 무승부를 방지하는 바둑에서 무승부가 나오는 몇 안 되는 사례다.

응씨배에서는 이러한 불합리한 점을 해소하려고 장생이나 삼패도 패의 일종으로 취급해서 한 바퀴 더 돌리고 싶으면 팻감을 써야 하는 것이 규칙이다. 즉, 동형반복이 되려면 무조건 팻감을 써야 하므로 무승부가 없다. 다만 실제로 응씨배에서 장생이나 삼패가 등장한 경우는 전무하다.

4. 반응

우칭위안 九단의 회고록에서 "장생은 백만판을 둔다고 해도 나타나기 어렵다. 만약 생긴다면 경사스러운 일로 팥밥을 지어 축하해야 할 일"이라고 할 정도로 바둑계에서는 장생을 길조로 여긴다. 장생이 발생하면 두 대국자는 무병장수하고[2] 바둑을 좋아하는 그 나라 사람들에게 좋은 일이 생긴다고 한다. 아마 그래서인지 천 년에 한번 나올까 말까 하다는 말도 있을 정도로 희귀하기 때문에 장생을 예외적으로 무승부로 인정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서도 응씨배처럼 장생과 삼패를 패의 형태로 봐야한다는 주장이 있다.[3] 물론 바로 무승부를 시키는 것 보다는 이게 더 합리적인 면이 있기는 하지만 장생의 형태 자체가 매우 드문 만큼 아직은 무승부로 규정하고 있는 모양이다.

5. 사례

파일:558812f80f7967d9a83fd.jpg

6. 그 외 창작물

7. 관련 문서



[1] 자꾸 먹여치기가 나오다 보니 장생을 자살라고도 한다. 참고로 바둑에서는 '죽이다'를 '버리다'와 비슷한 뜻(사석작전)으로 쓴다.[2] 이 말을 증명이라도 하듯 정말로 1993년에 장생을 만든 린하이펑 九단과 고마쓰 히데키 八단(당시)은 큰 병 없이 건강하게 2023년 현재까지 현역 바둑 기사로 잘 활동하고 있다.[3] 즉, 팻감을 써야 사이클을 돌릴 수 있다는 얘기.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