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09 20:59:55

저스티파이드

저스티파이드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5px;"<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The Guardian Logo.pn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274c87><colcolor=#fff>1위소프라노스
2위더 와이어
3위Mad Men
4위The Thick of It
5위브레이킹 배드
6위더 오피스(영국)
7위왕좌의 게임
8위플리백
9위《핍 쇼》
10위애틀랜타
11위《해피 밸리》
12위30 Rock
13위라인 오브 듀티
14위커브 유어 엔수지애즘
15위웨스트 윙
16위《나이티 나이트》
17위데드우드
18위걸스
19위《베트남 전쟁》
20위《O.J.: 메이드 인 아메리카》
21위《못말리는 패밀리》
22위트윈 픽스 리턴
23위블랙 미러
24위더 데일리 쇼 위드 존 스튜어트
25위핸드메이즈 테일
26위《레드 라이딩 트릴로지》
27위《트렌스페어런트》
28위《더 킬링》
29위《스페이스드》
30위킬링 이브
31위아름다운 바다
32위더 오피스(미국)
33위빅 브라더
34위《카타스트로피 》
35위《디스 이스 잉글랜드》
36위《그레이트 브리티시 베이크 오프》
37위《브레스 아이》
38위《디텍토리스트 》
39위굿 와이프
40위《악몽의 힘》
41위프라이데이 나이트 라이츠
42위사우스 파크
43위아메리칸즈
44위더 크라운
45위《더 브릿지》
46위닥터후 뉴 시즌》
47위《네이선 발리》
48위베터 콜 사울
49위《인시큐어 》
50위다운튼 애비
51위《패트릭 멜로즈》
52위《굿 파이트》
53위《블랙 북스》
54위팍스 앤 레크리에이션
55위유토피아
56위《더 징크스》
57위섹스 앤 더 시티
58위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
59위울프 홀
60위셜록
61위스테이트 오브 플레이
62위석세션
63위《쇼 미 어 히어로》
64위《식스 핏 언더》
65위《플라이트 오브 더 콘코즈》
66위《인사이드 넘버 나인》
67위《여총리 비르기트》
68위밴드 오브 브라더스
69위굿 플레이스
70위쉐임리스
71위로스트
72위살아있는 지구
73위《스파이럴》
74위《인비트위너스》
75위필라델피아는 언제나 맑음
76위베리 잉글리시 스캔들
77위더 실드
78위《프릭스 앤 긱스》
79위《홀트 앤 캐치 파이어》
80위부통령이 필요해
81위《가빈 & 스테이시》
82위《스트릭틀리 컴 댄싱》
83위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
84위《루킹》
85위《가글박스》
86위《프레쉬 미트》
87위레프트오버
88위저스티파이드
89위엘 워드
90위24
91위실리콘밸리
92위《가스 메렝기의 다크플레이스》
93위루폴의 드래그 레이스
94위스킨스
95위《더 트립》
96위《브로드 시티》
97위《섀도우 라인》
98위《더 마이티 부시》
99위라이프 온 마스
100위《 아임 어 셀레브리티》
2019년 발표 / 출처
}}}}}}}}} ||

롤링 스톤 선정 100대 TV쇼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wiki style="padding: 5px 0px; 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d32531><colcolor=#fff>1위<colbgcolor=#ffffff,#2d2f34>《소프라노스
2위심슨 가족
3위브레이킹 배드
4위더 와이어
5위플리백
6위사인펠드
7위매드맨
8위치어스
9위애틀랜타
10위메리 타일러 무어 쇼
11위석세션
12위환상특급
13위부통령이 필요해
14위아메리칸즈
15위래리 샌더즈 쇼
16위트윈 픽스
17위레프트오버
18위새터데이 나잇 라이브
19위아이 메이 디스트로이 유
20위30 Rock
21위올 인 더 패밀리
22위스타트렉: 디 오리지널 시리즈
23위왓치맨
24위프릭스 앤 긱스
25위M.A.S.H.
26위세서미 스트리트
27위데드우드
28위프라이데이 나이트 라이츠
29위뿌리
30위팍스 앤 레크리에이션
31위왕좌의 게임
32위베터 콜 사울
33위몬티 파이튼의 비행 서커스
34위더 오피스(미국)
35위로스트
36위왈가닥 루시
37위못말리는 패밀리
38위힐 스티리트 블루스
39위커브 유어 엔수지애즘
40위굿 플레이스
41위보잭 홀스맨
42위배틀스타 갤럭티카 신 시리즈
43위인시큐어
44위레이트 나잇 위드 데이비드 레터맨
45위형사 콜롬보
46위웨스트 윙
47위마이 소 콜드 라이프
48위더 실드
49위프렌즈
50위제퍼디!
51위엑스파일
52위배리
53위더 오피스(영국)
54위ER
55위홀트 앤 캐치 파이어
56위커뮤니티
57위러시아 인형처럼
58위식스 핏 언더
59위Key & Peele
60위택시
61위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
62위딕 밴다이크 쇼
63위사우스 파크
64위더 골든 걸스
65위걸스
66위더 데일리 쇼 위드 존 스튜어트
67위뉴욕경찰 24시
68위폴티 타워즈
69위샤펠 쇼
70위SCTV
71위베러 씽즈
72위굿 타임스
73위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
74위더 허니무너스
75위프레이저
76위저스티파이드
77위더 제퍼슨스
78위섹스 앤 더 시티
79위미스터 쇼 위드 밥 앤 데이비드
80위밴드 오브 브라더스
81위필라델피아는 언제나 맑음
82위파티 다운
83위나는 앨런 파트리지
84위파고
85위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
86위밥 뉴하트 쇼
87위더 키즈 인 더 홀
88위더 크라운
89위캐롤 버넷 쇼
90위케빈은 열두살
91위투나잇 쇼 위드 자니 카슨
92위머펫 쇼
93위락포드 파일즈
94위뉴스라디오
95위오징어 게임
96위릭 앤 모티
97위별난 커플
98위굿 파이트
99위오즈
100위뱀파이어에 관한 아주 특별한 다큐멘터리
2022년 발표 / 출처
}}}}}}||

{{{#!wiki style="padding: 5px 0px; 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013년 미국 작가 조합의 회원들인 미국의 각본가들이 선정한 역대 가장 잘 쓰여진 TV 시리즈 순위다.
<colbgcolor=#000000><colcolor=#fff>1위<colbgcolor=#FFFFFF,#2d2f34>《소프라노스
2위사인펠드
3위환상특급
4위《올 인 더 패밀리》
5위M.A.S.H.
6위《메리 타일러 무어 쇼》
7위Mad Men
8위치어스
9위더 와이어
10위웨스트 윙
11위심슨 가족
12위왈가닥 루시
13위브레이킹 배드
14위《딕 반다이크 쇼》
15위《힐 스트리트 블루스》
16위《못말리는 패밀리》
17위더 데일리 쇼 위드 존 스튜어트
18위《식스 핏 언더》
19위《택시》
20위《래리 샌더즈 쇼》
21위30 Rock
22위프라이데이 나이트 라이츠
23위프레이저
24위프렌즈
25위새터데이 나잇 라이브
26위엑스파일
27위로스트
28위ER
29위《더 코스비 쇼》
30위커브 유어 엔수지애즘
31위《더 허니무너스》
32위데드우드
33위스타트렉: 디 오리지널 시리즈
34위모던 패밀리
35위트윈 픽스
36위《뉴욕경찰 24시》
37위《캐롤 버넷 쇼》
38위배틀스타 갤럭티카
39위섹스 앤 더 시티
40위왕좌의 게임
공동 41위《밥 뉴하트 쇼》
공동 41위《유어 쇼 오브 쇼스》
공동 43위다운튼 애비
공동 43위《떠스티썸팅》
공동 43위Law&Order
공동 46위《홈사이드》
공동 46위《St. Elsewhere》
48위홈랜드
49위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
공동 50위콜베어 르포
공동 50위더 오피스(영국)
공동 50위굿 와이프
53위《알래스카의 빛》
54위《케빈은 열두살》
55위《L.A. 로》
56위Sesame Street
57위형사 콜롬보
공동 58위폴티 타워즈
공동 58위《록포드 파일즈》
공동 60위블루문 특급
공동 60위《프릭스 앤 긱스》
62위《뿌리》
공동 63위사우스 파크
공동 63위내 사랑 레이먼드
65위《플레이하우스 90》
공동 66위덱스터
공동 66위더 오피스(미국)
68위《마이 소 콜드 라이프》
69위《더 골든 걸스》
70위《앤디 그리핀 쇼》
공동 71위24
공동 71위더 실드
공동 74위《머피 브라운》
공동 74위House M.D.
공동 76위《클라우디우스 1세》
공동 76위《바니 밀러》
78위《오드 커플》
공동 79위스타트렉: 더 넥스트 제너레이션
공동 79위앨프리드 히치콕 프리젠츠
공동 79위몬티 파이튼의 비행 서커스
83위겟 스마트
공동 84위《디펜더스》
공동 84위《건스모크》
공동 86위트루 블러드
공동 86위저스티파이드
공동 86위《필 실버스 쇼》
88위밴드 오브 브라더스
89위《로완 & 마틴 쇼》
90위《프리즈너》
공동 91위The Muppet Show
공동 91위《앱솔루틀리 패뷸러스》
93위보드워크 엠파이어
94위윌 앤 그레이스
95위《패밀리 타이즈》
공동 96위《머나먼 대서부》
공동 96위《수프》
공동 98위도망자
공동 98위레이트 나잇 위드/쇼 데이비드 레터맨
공동 98위루이
공동 101위오즈
2013년 발표 / 출처
}}}}}}||

엠파이어 매거진 선정 100대 TV쇼
파일:엠파이어 매거진 로고.png
{{{#!wiki style="padding: 5px 0px; 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a0522d><colcolor=#fff> 1위<colbgcolor=#fff,#1f2023>《브레이킹 배드
2위왕좌의 게임
3위소프라노스
4위더 와이어
5위프렌즈
6위웨스트윙
7위OA
8위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
9위LOST
10위닥터후
11위심슨 가족
12위트윈 픽스
13위매드맨
14위배틀스타 갤럭티카
15위데드우드
16위레프트오버
17위스타 트렉: 넥스트 제너레이션
18위밴드 오브 브라더스
19위피키 블라인더스
20위엑스파일
21위사인펠드
22위24
23위팍스 앤 레크리에이션
24위체르노빌
25위셜록
26위30 Rock
27위베터 콜 사울
28위워킹 데드
29위더 실드
30위블랙애더
31위ER
32위M.A.S.H.
33위식스 핏 언더
34위프레이저
35위썬즈 오브 아나키
36위스타 트렉: 디 오리지널 시리즈
37위필라델피아는 언제나 맑음
38위파이어플라이
39위킬링 이브
40위한니발
41위오피스(미국)
42위기묘한 이야기
43위파울티 타워즈
44위플리백
45위아메리칸즈
46위스타 트렉: 딥 스페이스 나인
47위프라이데이 나이트 라이츠
48위못말리는 패밀리
49위스페이스드
50위온리 풀 앤 호스
51위파고
52위오즈
53위프라임 서스펙트
54위웨스트월드
55위라인 오브 듀티
56위House M.D.
57위오피스(영국)
58위환상특급
59위힐 스트리트 블루스
60위트루 디텍티브
61위블랙 미러
62위핸드메이즈 테일
63위마인드헌터
64위파더 테드
65위릭 앤 모티
66위커브 유어 엔수지애즘
67위보드워크 엠파이어
68위노던 익스포저
69위스크럽스
70위사우스 파크
71위프린지
72위엔젤
73위치어스
74위익스팬스
75위보잭 홀스맨
76위덱스터
77위크래커
78위핍 쇼
79위섹스 앤 더 시티
80위레드 드워프
81위더 씩 오브 잇
82위굿 플레이스
83위저스티파이드
84위브루클린 나인-나인
85위내가 그녀를 만났을 때
86위뉴욕경찰 24시
87위나르코스
88위살인 사건: 길거리 생활
89위길모어 걸스
90위굿 와이프
91위몬티 파이튼의 비행 서커스
92위커뮤니티
93위더 브릿지
94위사선을 넘어
95위나는 앨런 파트리지
96위라이프 온 마스
97위브로드처치
98위빅 리틀 라이즈
99위파스케이프
100위로마
2021년 발표 / 출처
}}}}}}||


<colbgcolor=#a7a37b,#848058><colcolor=#000> 저스티파이드 (2010 ~ 2015)
Justified
파일:justified_lawman.jpg
장르 서부극, 드라마, 범죄물, 액션
방송사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FX 로고.svg
시즌 방송횟수 방송기간
1 13회 2010년 3월 16일~2010년 6월 8일
2 13회 2011년 2월 9일 ~ 2011년 5월 4일
3 13회 2012년 1월 17일 ~ 2012년 4월 10일
4 13회 2013년 1월 8일 ~ 2013년 4월 2일
5 13회 2014년 1월 7일 ~ 2014년 4월 8일
6 13회 2015년 1월 20일 ~ 2015년 4월 14일
총감독 그레이엄 요스트
제작 루니 맥피 프로덕션, 팀버맨/비버리 프로덕션, 니모 필름스, FX 프로덕션, 소니 픽처스 텔레비전
스트리밍 파일:Disney+ 로고.svg파일:Disney+ 로고 화이트.svg | 파일:프라임 비디오 로고.svg파일:프라임 비디오 로고 화이트.svg
IMDB
페이지
파일:IMDb 로고.svg

1. 개요2. 시놉시스3. 예고편4. 등장인물
4.1. 할런 카운티 연방 보안관서4.2. 할런 카운티 범죄자들
5. OST6. 여담7. 후속

[clearfix]

1. 개요

미국 켄터키 주 할란을 배경으로 하는 서부극 드라마이다.

주인공 레일런은 플로리다 주에서 활동하는 연방 보안관이었는데 추적 중이던 범죄자를 대낮에 공공장소에서 사살해 버리자 윗선에서는 여론의 화살을 피하기 위해 그를 잠시 고향 할란 카운티로 보내버리게 되면서 벌어지는 일을 다룬다.

작가 엘모어 레너드의 단편 소설인 "Fire in the Hole"이 원작. 드라마의 무대가 되는 할란 카운티는 범죄의 소굴처럼 보일 정도로 온갖 악역이 등장하는데, 각 시즌마다 메인 빌런이 있고 중심 사건 하나를 놓고 시즌이 진행된다. 중심 사건이 진행됨에 따라 메인 빌런과 주인공, 그리고 보이드 세 사람 사이의 긴장과 협력, 대결이 볼거리. IMDb Top 250 TV의 리스트에 있을 정도로 평가 또한 상당히 좋다. 국내에서는 Wavve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에서 서비스한 적 있고, 2023년부터는 디즈니+에서도 다시 볼 수 있다.

엘모어 레너드는 서부극 스타일과 케이퍼 무비가 뒤섞은 것 같은 경쾌하면서도 개성적인 작품 스타일로 유명한 작가였고, 특히 주인공들의 유쾌하면서도 그럴싸한 입담 묘사에 능했다. 저스티파이드는 그 영향을 받아서 때로는 무겁고, 어두운 이야기를 다루면서도 지나치게 진지하거나 또 가볍지 않게 이를 묘사한다. 경찰, 범죄자 할 것 없이 등장인물 모두가 특유의 매력과 개성을 지니고 있으며, 악당과 경찰의 대결이 주를 이루지만 이들 모두를 인간적으로 다룬다. 그 덕분인지 대부분의 미드나 추리소설의 클리셰가 묘하게 박살나는 경우가 많고, 긴장감 넘치면서 흥미로운 전개가 끊임없이 이뤄진다. 그렇다고 범죄자를 단순히 미화하는건 결코 아니라서, 주인공을 포함한 모든 인물들이 벗어날 수 없는 범죄의 굴레 속에서 결국 자기가 행동한 것의 대가를 어떤 형태로든 치루고 마는 상황을 묘사하고 있다.[1]

채드윅 보스만이 무명 시절 때 단역으로 출연했었는데, 그가 연기한 캐릭터의 행적이 상당히 기구하다.

2. 시놉시스

온갓 범죄와 싸우며 정의를 실현하는 연방 보안관, 레일런 기븐스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현대판 서부극.

3. 예고편

4. 등장인물

4.1. 할런 카운티 연방 보안관서

4.2. 할런 카운티 범죄자들

5. OST

<colbgcolor=#a7a37b,#848058><colcolor=#000>
오프닝 영상.[15]

6. 여담

7. 후속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
파일:368076794_310141741527442_1010683927479340509_n.jpg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fff>
공식 예고편


[1] 당장 주역인 보이드만 해도 타고난 두뇌와 배짱, 결단력으로 온갖 위기상황을 자기 힘으로 뚫고나가지만 최종적으로 모든 것을 다 얻을것 같은 상황이 되면 자기 잘못으로 인한 대가로 귀신같이 모든 것을 잃고 나락으로 가는 상황이 반복된다.[2] 데드우드의 주인공 세스 불럭과 다이 하드 4.0의 빌런 토마스 가브리엘, 만달로리안코브 벤트를 연기했다. 산타 클라리타 다이어트에도 출연하였으며 여기에서 일부 에피소드에서 프로듀서를 맡기도 했다.[3] 알로는 시즌 4까지 나오다가 시즌 4의 중요 인물 드류 톰슨과 관계된 일로 살해당한다.[4] 시즌 6의 메인 빌런 에이버리 마컴과 보이드와의 일들을 전부 해결하고 마이애미로 떠난다. 그 때도 보이드를 쏴 죽일 수 있었고, 보이드도 날 안죽이면 널 반드시 죽이겠다고 말했지만 결국 그를 쏘지 못하고 살려둔 채 체포한다. 이후 보이드의 뒤통수를 쳤던 에이바를 찾아내어 그녀의 진실을 알고는 감옥에 갇힌 보이드의 면회를 가 둘이서 같이 석탄 캐던 시절을 떠올리는걸로 끝난다.[5] 시즌 4의 마지막 화에서 자신과 자신의 전처 위노나를 공격한 괴한들의 보스가 라이벌에 의해 차 안에서 벌집이 되어 죽어가는 걸 묵인해 준다. 당시 레일런은 휴가를 받은 상태였다고.[6] 시즌 3에서 개리가 죽은 이후 레일런과 다시 맺어지지만 레일런이 위험한 일을 자꾸 겪게 되자 마이애미로 먼저 떠나고 그곳에서 딸을 낳는다. 마지막에는 레일런이 보이드와의 악연을 끝내고 그녀가 있는 마이애미로 가면서 진히로인 포지션을 차지하게 된다.[7] 더 실드의 쉐인 벤드럴 역을 맡았고, 헤이트풀 8, 앤트맨과 와스프, 장고: 분노의 추적자 등에 출연했다. 비슷한 시기에 방영된 같은 방송사의 인기작 썬즈 오브 아나키 시즌 5~7에선 시체랑 검열삭제한 적이 있는 SOA의 멤버 티그랑 맺어지는 트랜스젠더인 비너스 밴 댐을 연기했다.[8] 시즌 6의 후반부에서 에이바에게 배신당하고 그녀를 쫓지만 결국 체포된다. 이후 교도소에서 죄수들에게 설교를 늘어놓다가 찾아온 레일런에게 에이바가 죽었다는 말을 듣고 상심하지만 레일런과 같이 이야기를 나누는걸로 끝이 난다.[스핀오프스포일러] 본편의 15년 뒤를 다루는 스핀오프 원시도시의 마지막 화에서 근황이 나오는데 자신에게 푹 빠진 여성 교도관의 도움으로 탈옥, 그녀와 같이 멕시코로 떠난다.[10] 마치 사형수에게 먹이듯이 남편이 좋아하는 요리를 해놓고, 그걸 다 먹어치운 남편에게 사냥용 라이플을 겨누고 자기 할 말을 한 뒤 쏴죽여버린다.[11] 시즌 1에서 레일런은 그녀랑 만나지 말라는 아트의 충고에도 불구하고 에이바와 계속 만나지만 난데없이 찾아온 위노나가 레일런과 검열삭제를 하는 걸 에이바가 보면서 관계가 깨지게 된다.[12] 마지막에는 보이드를 배신하고 레일런한테서도 달아나지만 결국 나중에 레일런에게 발각된다. 알고봤더니 보이드의 아이를 임신했고 자식을 생각해서 계속 범죄를 저지르기 싫었던 것. 이걸 안 레일런은 보이드를 찾아갔을때 에이바가 죽었다고 거짓말한다.[13] 시즌 1에도 1편 정도 출연했었다.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한건 시즌 2.[14] 시즌 2부터 등장하여 자신을 따르던 부하 마이키가 죽을떼눈 옆에 있어주기도 했다.[15] 사용된 음악은 Gangstagrass의 Long Hard Times to C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