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3 14:31:11

제2회 취저우 난가배 세계 바둑 오픈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취저우 난가배 세계 바둑 오픈
,
,
,
,
,
취저우 난가배 세계 바둑 오픈
제1회 취저우 난가배 세계 바둑 오픈
제2회 취저우 난가배 세계 바둑 오픈
제3회 취저우 난가배 세계 바둑 오픈
우승자
구쯔하오 미정 미정
1. 개요2. 예선3. 본선
3.1. 48강전3.2. 32강전3.3. 16강전3.4. 8강전3.5. 4강전3.6. 결승전
4. 여담

1. 개요

2024년 중국에서 열리기로 예정된 두 번째 취저우 난가배 세계 바둑 오픈. 이번 대회는 본선 48강으로 확대하여 대회를 진행한다.

2. 예선

3. 본선

3.1. 48강전

48강 (2024년 4월 2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석 329수 백 4집반승 셰얼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동윤 144수 백 불계승 황신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은지 197수 흑 불계승 정자이샹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설현준 213수 흑 불계승 이치리키 료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263수 흑 불계승 다카오 신지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민규 280수 백 반집승 우에노 아사미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명훈 150수 백 불계승 스타니스와프 프레일락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이야마 유타 240수 백 불계승 쉬하오훙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후쿠오카 고타로 245수 흑 불계승 탄샤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사카이 유키 212수 백 불계승 장타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시바노 도라마루 139수 흑 불계승 뤄추예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린쥔옌 192수 백 불계승 루이나이웨이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린리샹 177수 흑 불계승 장치룬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라이언 리 133수 흑 불계승 셰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산더 치 195수 흑 불계승 양둥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마테우스 수르마 161수 흑 불계승 구링이 파일:중국 국기.svg

3.2. 32강전

32강 (2024년 4월 25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283수 흑 불계승 자오천위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330수 백 반집승 리쉬안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313수 흑 불계승 미위팅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149수 흑 불계승 딩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동윤 224수 백 불계승 리웨이칭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설현준 204수 백 불계승 커제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명훈 292수 백 4집반승 장치룬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266수 백 불계승 정자이샹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명훈 271수 백 5집반승 판팅위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시바노 도라마루 220수 백 불계승 셰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이야마 유타 169수 흑 불계승 양둥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우에노 아사미 200수 벡 불계승 셰얼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라이쥔푸 222수 백 불계승 탄샤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린쥔옌 196수 백 불계승 장타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양딩신 291수 백 1집반승 쉬자양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구쯔하오 272수 흑 1집반승 구링이 파일:중국 국기.svg

3.3. 16강전

16강 (2024년 4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246수 백 불계승 장타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290수 백 반집승 셰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253수 흑 6집반승 장치룬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동윤 290수 흑 2집반승 커제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324수 백 2집반승 양딩신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이야마 유타 206수 백 불계승 판팅위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우에노 아사미 200수 백 불계승 구쯔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라이쥔푸 256수 백 불계승 딩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3.4. 8강전

8강 (2024년 6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 수 - 승 양딩신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 수 - 승 구쯔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동윤 - 수 - 승 딩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 수 - 승 이야마 유타 파일:일본 국기.svg

3.5. 4강전

4강 (2024년 6월 29일)
파일:국기.svg - - 수 - 승 -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 수 - 승 - 파일:국기.svg

3.6. 결승전

제2회 취저우 난가배 세계 바둑 오픈 결승 3번기
파일:국기.svg 미정 0 0 미정 파일:국기.svg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대국 일정
흑번
백번
결과
1국 2024년 8월 -일 - - - 수 - 승
2국 2024년 8월 -일 - - - 수 - 승
3국 2024년 8월 -일 - - - 수 - 승
우승 파일:국기.svg - ( - ) }}}

4. 여담



[1] 변상일은 제14회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우승자 자격으로 시드를 받았고, 신민준은 국가대표 상비군 시드로 출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