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3 14:30:24

제29회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
,
,
,
,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제28회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제29회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제30회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우승자
신진서 미정 미정
1. 개요2. 예선3. 본선 출전 참가 선수4. 본선
4.1. 24강4.2. 16강4.3. 8강4.4. 4강4.5. 결승

1. 개요

2024년 5월부터 2025년 초까지 개최 예정인 LG배.

2. 예선


* 국가시드 몫 한 자리를 놓고 선발전을 진행한 대만은 8명의 기사가 결선 토너먼트를 가졌고 결승에서 라이쥔푸가 쉬하오훙을 꺾고 본선 티켓을 따냈다. 대만 국가시드 선발전은 이 대회 본선과 동일한 룰(각자 3시간, 40초 초읽기 5회)로 대국했다.(관련기사) 참고로 국가시드 결승에서 탈락한 쉬하오훙은 와일드카드로 LG배에 출전하게 됐다.

3. 본선 출전 참가 선수

구분 출전 선수 (선수 이름에 굵은 글씨는 16강 부터 시작)
전기 시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전기 우승), 변상일(전기 준우승)
국가 시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신민준, 박건호, 원성진
파일:중국 국기.svg 딩하오, 셰얼하오
파일:일본 국기.svg 시바노 도라마루, 이다 아쓰시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라이쥔푸
선발전 통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상조, 강동윤, 김진휘, 이창석, 이지현, 최현재, 김명훈
파일:중국 국기.svg 구쯔하오, 판팅위, 커제, 미위팅
파일:일본 국기.svg 쉬자위안
와일드 카드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쉬하오훙[5]

4. 본선

4.1. 24강

24강 (2023년 5월 20일 오전 10시 개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명훈 330수 흑 2집반승 김진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창석 150수 백 불계승 구쯔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212수 백 불계승 셰얼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지현 235수 흑 불계승 판팅위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건호 260수 백 불계승 쉬자위안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상조 238수 백 불계승 이다 아쓰시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동윤 241수 흑 불계승 라이쥔푸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현재 183수 흑 불계승 쉬하오훙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4.2. 16강

16강 (2023년 5월 22일 오전 10시 개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225수 훅 불계승 한상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330수 흑 2집반승 미위팅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창석 236수 백 불계승 커제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진휘 240수 백 불계승 딩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174수 백 불계승 시바노 도라마루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304수 백 불계승 쉬자위안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165수 흑 불계승 라이쥔푸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지현 251수 흑 불계승 쉬하오훙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4.3. 8강

8강 (2024년 9월 30일 오전 10시 개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 수 - 승 변상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 수 - 승 신민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상조 - 수 - 승 커제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지현 - 수 - 승 딩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4.4. 4강

4강 (2024년 10월 2일 오전 10시 개시)
파일:국기.svg - - 수 - 승 -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 수 - 승 - 파일:국기.svg

4.5. 결승

제29회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결승 3번기
파일:국기.svg 미정 0 0 미정 파일:국기.svg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대국
흑번
백번
중계
1국
(1/20)
- - 바둑TV -
K바둑 -
오로바둑(수순) -
타이젬(유튜브) -
- 수 - 승
2국
(1/22)
- -
- 수 - 승
3국
(1/23)
- -
- 수 - 승
우승 파일:국기.svg 미정 ( - ) }}}


[1] 최정이 매우 불리한 바둑이었으나 후반에 대역전승을 거뒀다.[2] 중반까지 스미레가 매우 우세한 바둑이었으나 막판에 대역전패를 당했다.[3] 초중반부터 정우진이 스무스하게 리드를 잡으면서 빠르게 끝내버렸다.[4] 해당 대국은 바둑TV에서 하이라이트로 다뤘다.[5] LG배 첫 외국인 와일드카드[6] 각 국가별로 남은 인원이 많은 순서대로 추첨했다. 한국 선수들은 홀수 번호로 추첨하고 나머지 선수들은 짝수번호로 배정해 대진을 정했다. 단, 16강에서 한국 선수가 9명이나 되는 관계로 한국 선수간 경기가 한 경기가 나오는 상황이라 LG로고 족자를 뽑은 사람이 한한전을 두는 것으로 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