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10:13:02

중화(동음이의어)


1. 中華2. 中和
2.1. 중화반응의 예시
3. 담배4. 행정구역명

1. 中華

세계 문명의 중심이라는 뜻으로, 중국 사람들이 자기 나라를 이르거나 주변국에서 중국을 대접할 때 사용하는 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中和

neutralization

기본적인 의미는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성질들이 만나 (약해지거나) 사라지는 것이다.

물리학에서는 같은 양의 양전하와 음전하가 하나가 되어 전체적으로는 전하를 가지지 아니함을, 화학에서는 염기가 만나 두 성질이 약해지거나 사라지는 것, 즉 중화반응이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성격이 극단에 치우치지 않았다는 것이나 서로 다른 발음의 구별이 없어지는 경우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일상에서는 물리학이나 화학과 관련해서 쓰이는 경우가 많다. 성격 관련해서는 중용이나 중립적이라는 단어가 더 많이 쓰인다.

2.1. 중화반응의 예시

만약 사람이 강산을 마셔서 죽을 위기에 처했다고 치자. 그러면 강산을 중화시키기 위해서는 염기성 물질을 섭취해야 하는데, 강염기를 섭취하면 식도가 녹아내린다. 만나면(만날 수 있다면) 둘이 중화되지만 만날 수가 없다. 다행히(?) 중화열은 그다지 신경 쓰지 않아도 될 듯 하지만. 비슷한 이유에서 위산이 역류할 때 먹는 제산제는 약염기를 띤다.

학교에서는 주로 묽은 염산과 묽은 수산화나트륨을 섞어 중화시키는 실험을 많이 한다. 완전히 중화된다면 소금물이 된다. 덤으로, 이걸 가열하여 물을 증발시키면 염화 나트륨을 얻을 수 있다.

HCl(aq) + NaOH(aq) → NaCl(aq) + H2O(l)

산과 염기의 반응으로 물이 생성되면, 혼합 용액의 온도가 살짝 따뜻해지는것을 느낄 수 있을텐데, 이는 중화 반응이 일어날 때마다 발생하는, 이른바 중화열이 생기기 때문이다. 반응한 산 수용액의 수소 이온의 수와 염기 수용액의 수산화 이온 수에 따라 중화열이 많이 나타나므로, 중화 반응에서 혼합 용액의 액성과 관계가 있다.

3. 담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화(담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행정구역명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