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3 19:13:32

피너츠

피너츠
Peanuts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eanuts_gang.png
작가 찰스 M. 슐츠
장르 유머, 풍자
국가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연재 기간 1950년 10월 2일 ~ 2000년 1월 3일 (일간지)
1952년 1월 6일 ~ 2000년 2월 13일 (일요일판 신문)
링크 공식 사이트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문의 공식 에이전시
[email protected] (한국지사)
피너츠 완전판
출판사 파일:미국 국기.svg 판타그램 북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북스토리
권수 파일:미국 국기.svg 26권 (2016. 11. 22. 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5권 (2020. 12. 25. 完[1])

1. 개요2. 특징
2.1. 작가
3. 등장인물
3.1. 주연3.2. 조연
4. 해외 공개
4.1. 대한민국
5. 평가6. 미디어 믹스7. 기타8. 미네소타 주와의 관계9.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찰스 M. 슐츠1950년 10월 2일부터 2000년 2월 13일까지 신문지상에 연재한 4컷 만화.[2] 구독자 3억 5500만 명이 넘는 만화계의 전설. 75개국 2,600종의 매체에 연재되었다.

주인공 찰리 브라운보다 더 유명한 개 캐릭터인 스누피가 등장하는 만화이기도 하다.[3] 당장 한국에서는 스누피는 알아도 이 작품 원제목과 찰리 브라운은 누군지도 모르는 사람이 더 많을 정도, 그런데 찰스 슐츠 본인은 피너츠라는 이름을 무척 싫어했다고 한다. 하지만 찰스 슐츠가 쓰고 싶었던 피너츠의 원안이 된 만화 '릴 폭스'는 이미 비슷한 제목의 만화들이 나와있었기에 받아들일 수 밖에 없었다고. 작가 본인에겐 무척이나 아쉬움이 남았는지 스누피나 찰리 브라운이라는 이름으로 단행본들이 출간되기도 했다.

2. 특징

조금 우울하지만[4] 따뜻한 분위기에 만화로서는 과장되지 않은 적절한 균형이 묘미이다.

언제나 루시 반 펠트에게 말꼬리를 잡혀서 타박당하거나 하는 일마다 좀처럼 풀리지 않으며 다소 심각한 찰리 브라운과 그의 비글종 반려견인 스누피 및 주변 친구들의 무미건조한 일상이 이야기의 중심이다. 어느 시대에나 읽을 수 있는 이야기를 만들고 싶었기 때문에 정치적·사회적 소재는 삼갔다고 작가가 밝혔다.[5] 아이들의 이야기라고 보기에는 등장인물들이 너무 진지하고 심각하지만 사실상 그 주제는 아이들의 것이다.[6]

예를 들자면 크리스마스 전부터 루시 반 펠트와 라이너스 반 펠트가 우리는 형제자매고 서로를 사랑한다고 주변에 연기하고 다닌다(산타에게 선물을 받기 위해서)[7] 당연히 그럴 리가 없다는 걸 알고 있는 찰리 브라운은 산타는 바보가 아니라고 충고하지만 둘은 "우리들은 영리한 애들이지만 산타는 그저 늙은이일 뿐"이라고 이야기하고 찰리 브라운은 "우리 세대에 대해서 실망했다"고 자책한다.

대부분의 연재분이 이런 식으로 주변의 사소한 것들이나 말꼬리를 잡아 진지하고 심각하게 이야기를 진행시켜 나가서 조금 씁쓸한 웃음을 유도한다. 이는 냉소와는 거리가 좀 있는데, 어른들의 세상의 씁쓸한 일면들을 자기도 모르게 따라가고 있는 순진한 아이들이 주인공이기 때문이다. 마냥 밝지만은 않으면서도 유쾌하고 따뜻한 분위기는 이 연재만화가 50년 동안 계속될 수 있었던 원동력이다.

작가가 개방적인 가치관을 가졌다. 1960년대 당시 미국에서 흑인 차별이 극심할 때라 편집자가 흑인 캐릭터를 넣지 말라고 압박 하기도 했으나 작가 찰스 M. 슐츠는 전혀 개의치 않고 1968년 7월 1일자 연재분에서 흑인 캐릭터 프랭클린을 등장시켰으며, 심지어 캐릭터들의 대화로 항의하는 이들을 비꼬기도 했다. 슐츠 작가는 이에 대해 어떤 정치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는 인상을 줄 수는 있어도 별 의도는 없었다고.

파일:EeSOuMGWAAUDkiS.jpg
"마틴 루터 킹이 연설하기로,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라 했대. 그 말 전까진, 우리가 여기에 같이 앉지도 못했을 거고.."
"그리고 내 당근 스틱을 네 감자튀김이랑 거래할 기회도 없었을 거고.."
"그건 동등한 거래가 아니잖아, 프랭클린.."

또 작가는 여학생과 여성들의 스포츠를 열정적으로 지지했다. 1970년대 미국에서 여성 스포츠는 주목 받지 못하고 여학생들의 운동은 학교에서마저 외면받았는데, 국민 작가였던 슐츠가 여성 테니스 스타 빌리 진 킹을 적극적으로 응원하면서 여성 스포츠에 대한 인식을 개선시키고 여학생들의 교내 운동 참여에도 기여했다. 피너츠 속에서도 페퍼민트 패티가 낡은 공을 받자 “왜 학교에서 남학생들에게 주는 공은 여학생들에게 주는 공보다 더 좋은 거냐”라며 이야기해서 좋은 공을 받아내고, 운동을 좋아하지 않아도 여자 아이들의 권리를 요구할 수 있다는 내용의 에피소드가 나온다. #

파일:4367AB0C-C683-4176-BB78-D2DDC9E9AD0B.jpg

2.1. 작가

United States Congressional Gold Medal
미합중국 의회 명예 황금 훈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776년 1777년 1779년 1781년
조지 워싱턴 소장 호레이쇼 게이츠 소장 앤서니 웨인 사령관 헨리 리 3세 준장 대니얼 모건
1781년 1787년 1800년 1805년 1813년
소장 너새니얼 그린 존 폴 존스 대령 토머스 트럭스턴 준장 에드워드 프레블 대령 아이작 헐
대령 스티븐 디케이터
대령 제이콥 존스
1813년 1814년
대령 윌리엄 베인브리지 대령 올리버 해저드 페리
대령 제시 엘리엇
대위 윌리엄 워드 버로스 2세
대위 에드워드 매콜
대령 제임스 로렌스 대령 토머스 맥도너
대령 로버트 헨리
대위 스티븐 카신
1814년 1814년, 1848년 1814년
대령 루이스 워링턴 대령 존스턴 블레이클리 소장 제이콥 브라운 소장 윈필드 스콧 소장 피터 부엘 포터
준장 엘리저 윌락 리플리
대령 제임스 밀러
1814년 1815년 1816년
소장 에드먼드 P. 게인스 소장 알렉산더 마콤 소장 앤드루 잭슨 대령 찰스 스튜어트 대령 제임스 비들
1818년 1835년 1846년, 1847년, 1848년 1847년 1854년
소장 윌리엄 해리슨
주지사 아이작 셸비
대령 조지 크로간 소장 재커리 테일러 소머스 호
장교 및 승무원 구출
중령 덩컨 잉그함
1858년 1863년 1864년 1866년 1867년
프레더릭 로즈 소장 율리시스 S. 그랜트 코닐리어스 밴더빌트 로버트 크레이튼
에드윈 J. 로
조지 C. 스투퍼
사이러스 웨스트 필드
1867년 1871년 1873년 1874년, 1904년 1883년
조지 피바디 조지 F. 로빈슨 대령 재러드 크랜달 그 외 존 혼 주니어 존 폭스 슬레이터
1888년 1890년 1900년 1902년 1909년
조셉 프랜시스 수석 엔지니어 조지 W. 멜빌 그 외 중위 프랭크 H. 뉴컴 중위 데이비드 H. 자비스
소위 엘스워스 P. 버트홀프
새뮤얼 J. 콜 박사
라이트 형제
1912년 1914년 1915년 1928년
선장 아서 로스트론 폴 H. 크라이봄 그 외 로물로 세바스티안 나온
에두아르도 수아레스 무히카
찰스 린드버그 로알 아문센
움베르토 노빌
1928년 1929년 1930년 1936년
토머스 에디슨 최초로 성공한 대서양 횡단 비행사 소령 월터 리드 준장 리처드 에벌린 버드 링컨 엘즈워스
1936년 1938년 1939년 1940년
조지 M. 코핸 리처드 올드 리치 부인
안나 불리니
하워드 휴즈 목사 프랜시스 퀸 윌리엄 시넛
1942년 1945년 1946년
롤런드 바우처 1939~1941년 미국 남극 탐험대 육군 원수 조지 C. 마셜
해군 원수 어니스트 킹
육군 원수 존 조지프 퍼싱 준장 빌리 미첼
1949년 1954년 1955년 1956년 1958년
앨번 W. 바클리 어빙 벌린 조너스 소크 박사 남북 전쟁의 참전 용사 준장 하이먼 리코버
1959년 1960년 1961년 1962년
로버트 고다드 로버트 프로스트 토머스 앤서니 둘리 3세 밥 호프 샘 레이번
1962년 1968년 1969년 1973년 1977년
육군 원수 더글러스 맥아더 월트 디즈니 윈스턴 처칠 로베르토 클레멘테 매리언 앤더슨
1978년 1979년
중장 아이라 이커 로버트 F. 케네디 존 웨인 벤 아브러조
맥시 앤더슨
래리 뉴먼
휴버트 험프리
1979년 1980년 1982년
미국 적십자 케네스 테일러 1980 미국 하계 올림픽 팀 베아트릭스 여왕 대장 하이먼 리코버
1982년 1983년
프레드 워링 조 루이스 루이스 라머 레오 라이언 대니 토머스
1984년 1985년
해리 S. 트루먼 레이디 버드 존슨 엘리 비젤 로이 윌킨스 조지 거슈윈
아이라 거슈윈
1986년 1987년 1988년
네이선 샤란스키
에비탈 샤란스키
해리 차핀 에런 코플런드 메리 래스커 제시 오언스
1988년 1990년 1991년
앤드루 와이어스 로런스 록펠러 대장 매튜 B. 리지웨이 대장 노먼 슈워츠코프 대장 콜린 파월
1994년 1996년 1997년
랍비 메나헴 멘델 쉬니어슨 루스 그레이엄
빌리 그레이엄
프랭크 시나트라 마더 테레사 바르톨로메오스 1세
1998년 1999년
넬슨 만델라 리틀록 9인 제럴드 포드
베티 포드
로자 파크스 시어도어 헤스버그
2000년
존 오코너 찰스 M. 슐츠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로널드 레이건
낸시 레이건
나바호족 코드 토커
2002년 2003년
대장 휴 셸턴 토니 블레어 재키 로빈슨 도러시 하이트 박사 조지프 디레인
해리 & 일라이자 브릭스
레비 피어슨
2004년 2006년
마틴 루터 킹
코레타 스콧 킹
터스키기 에어맨 달라이 라마 14세 바이런 넬슨 노먼 볼로그 박사
2007년 2008년
마이클 데바키 박사 아웅 산 수 치 콘스탄티노 브루미디 에드워드 윌리엄 브룩 3세 아메리카 원주민 코드 토커
2009년 2010년
여성 공군 군무원 조종사 닐 암스트롱
버즈 올드린
존 글렌
아널드 파머 무함마드 유누스 제100 보병대대
제442 보병연대 전투단
군사정보국
2011년 2012년 2013년
몬트포드 포인트 해병전우회 9.11 테러 참사 사망자 라울 발렌베리 애디 메이 콜린스
데니스 맥네어
캐럴 로버트슨
신시아 웨슬리
제1 특수임무단
2014년
둘리틀 특공대 멤버 미국의 공군 에이스 제2차 세계 대전
민간 항공 초계 부대 멤버
시몬 페레스 모뉴먼츠 맨
2014년 2015년 2016년
제65 보병연대 잭 니클라우스 셀마 몽고메리 행진 제2차 세계 대전 필리핀인 참전 용사 OSS
2017년 2018년
밥 돌 래리 도비 제2차 세계 대전
중국계 미국인 참전 용사
USS 인디애나폴리스 승무원 안와르 사다트
2019년
스티브 글리슨 캐서린 존슨 크리스틴 다든 도로시 본 메리 잭슨
2019년 2020년 2021년
무명의 수여자들 그렉 르몬드 미국 국회의사당 경찰
컬럼비아구 경찰청 소속 경찰관
제369 보병연대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에서 전사한 13명의 장병
2022년 2023년
미 육군 제23부대 본부 특수부대
제3133 신호 복무 중대
제6888 중앙우편대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상선 선원
에밋 틸
메이미 틸모블리
}}}}}}}}}

찰리 브라운이 작가인 찰스 먼로 슐츠의 페르소나라는 말이 거의 정설처럼 받아들여진다. 실제로 인터뷰를 보면 어린 시절의 찰스 슐츠는 상당히 소심하고 눈에 띄지 않는, 정말로 찰리 브라운 같은 아이였다고 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찰리 브라운를 찰스 슐츠 그 자체로 보는 것은 매우 부적절한 일이다. 작가가 언급한 적도 없으며, 미국에서 이런 식으로 슐츠의 전기를 썼던 사람이 유족들에게 가루가 될 때까지 까인 전적이 있다.

슐츠는 고등학교 졸업 후 통신미술학교에서 만화를 배우게 되었으며, 이후 미술 교사로 재직하면서 동시에 세인트 폴 파이오니어 프레스 지에 만화를 연재하기 시작한다. 그는 1948년 1949년부터 피너츠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릴 포크스"(Li'l Folks)를 연재한 뒤 1950년부터 피너츠를 연재하기 시작했다.

파일:피너츠19501002.png[8]
아, 저기 찰리 브라운 녀석이 오네찰리 브라운, 좋은 녀석이지. 그렇고 말고!좋은 녀석이야, 찰리 브라운...저 자식 정말 싫어!
▲1950년 10월 2일 최초 연재분. 등장한 캐릭터는 찰리 브라운, 셔미, 패티

피너츠를 연재한 50년동안 슐츠는 거의 연재를 중단한 적이 없다. 인터뷰에 따르면 그는 매일 아침마다 일어나서 오전에는 30분에서 2~3시간 정도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점심을 먹고 나서 본격적으로 3~4시간 동안 만화를 그리는 식으로 꾸준하게 작업을 해왔다. 심지어는 80년대 중반에 파킨슨 병으로 쓰러졌을 때도 연재를 중단하지 않았다(!). 최소 한달 치를 미리 그려놓기 때문에 지장이 없었다고. 나중에 97년에 처음으로 휴가라는 걸 가져보고 싶다고 하면서 한달 휴재한 것이 피너츠 50년 역사 속의 유일한 휴재다.

슐츠는 99년 겨울에 파킨슨 병대장암이 겹치면서 갑작스럽게 원고 그리기를 중단했고, 10년은 더 그릴 수 있으리라고 생각했는데 허무하다고 말한 지 3달 후인 2000년 2월에 심장마비로 갑자기 세상을 떴다. 신기한 점은 그가 죽은 시점인데, 앞에서 말했듯이 원고 그리기를 중단한 이후에도 그간 쌓아둔 분량이 있어 2000년 1월까지도 매일 연재가 되었다. 그런데 이 이외에도 주말 연재분이 있었는데, 그 가운데 마지막 작품이 올라가도록 되어 있던 바로 전날 밤에 슐츠가 세상을 떠났다. 그것도 지병과는 상관 없는 심장마비로.

아래는 피너츠의 마지막화. 연재 중단 결정 발표와 함께 작품에 대한 소회를 적었으며, 과거 연재분의 장면까지 배치되어 있어, 상술한 사망 시점이 절묘하게 겹치며 슐츠의 유서와도 같은 느낌을 준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ast_peanuts_comic.png
찰리 브라운: "잠시만요, 지금 쓰고 있는 중 같거든요."

친구(독자)들께.
약 50년 동안 찰리 브라운과 그의 친구들을 그리게 된 것은 행운이었습니다. 피너츠는 나의 어릴적 포부의 실현이었습니다.
불행히도, 나는 더 이상 일간 연재만화의 스케줄을 소화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가족들도 피너츠가 다른 누군가에 의해 연재되는 것을 바라지 않기에, 나의 은퇴를 선언합니다.
수년 간 충실했던 우리 편집자들과 멋진 후원자들, 그리고 내게 애정을 주었던 많은 독자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찰리 브라운, 스누피, 라이너스, 루시... 어떻게 내가 그들을 잊겠습니까...

3. 등장인물

3.1. 주연

3.2. 조연

4. 해외 공개

4.1. 대한민국

파일:external/image.kobay.co.kr/1211SA7XWDU_3.jpg
한국에서는 애니메이션 버젼이 방영되면서 알려졌는데, 가장 먼저 알려진 것은 금성마그네테크[14]가 내놓은 찰리 브라운 시리즈였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87년 KBS-1TV에서 어깨동무 찰리 브라운이라는 제목으로 방영되면서 부터이다. 이후 폭스 비디오와 시시 영화사에서 간간히 발매되다가, 1995년부터 투니버스에서 찰리브라운이라는 제목으로 3년여를 방영하였다. 하지만 DVD 출시가 이뤄진 것은 무려 2008년경에 이르러서였다. 다만 특이한 것은 한국에서는 대부분 찰리 브라운이라는 제목으로 출시가 이뤄졌다는 것이다. 심지어 2000년대에 나오는 DVD 세트마저도 찰리 브라운 세트, 찰리 브라운 해피 세트 뭐 이런 식이다. 정말 드문게 피너츠 세트이거나 아니면 각 화 제목만 써놓은 것이거나 말이다.

신영미디어에서 나온 10권짜리 한국어판의 경우 영문 원본 만화 옆칸에 한국어로 번역한 대사를 적는 방식으로 영한 대역을 해 두었다. 영문 원본과 영 딴판인 번역도 있고 원래의 느낌을 잘 살린 번역도 있기 때문에 오역 혹은 초월번역의 좋은 사례가 된다. 본격 제2차 세계대전 만화에서 이것을 패러디하였다. 오역인지 초월번역인지의 여부는 본인이 직접 보고 판단하도록 하자. 참고로 번역가한국인이 아닌 Stephen Jackowicz라는 미국인이다. 게다가 이 사람 연세대 대학원 동양철학과에 다닌 경력이 있다. 읽어 보면 어지간한 고학력 한국인이나 숙련된 왠만한 번역가들 보다 더 정확한 한국어를 구사하고 있으며 이른바 번역체의 문제가 전혀 없다.[15] 심지어 역자가 너무나 정확한 한국어를 구사하기 때문에 신영문화사판에는 페퍼민트 패티가 New year's eve를 섣달 그믐날이라고 말하고 있다.(...) 너 열살짜리 맞냐

2015년 12월 국내에 완전판 정식발매가 시작되었다, 총 25권이며, 3개월에 1권씩 발매 되었다. 우려랑 달리 생각보다 판매량이 괜찮은 편인지라 이후 책들도 나올듯 하다. 2020년 12월 5년간의 대장정을 마치고 25권 1999~2000편으로 완결되었다.

극장판은 이전 제목들과는 다르게 스누피: 더 피너츠 무비로 개봉 하였다. 분명 국내에 처음 들어올땐 다른 제목이었지만 스누피가 네임드 어필이 더 되버려서 더 유명하니 그랬을지도 싶지만 대표적인 만델라 효과의 사례라고 보여진다.

5. 평가

<colbgcolor=#fff,#1f2023> 전 세계의 만화 판매 순위 100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rowcolor=#000,#e5e5e5> 순위 만화 국가 연재 기간 권수 수치
1위 슈퍼맨 미국 1938년 ~ 연재 중 15000화 6억부
2위 원피스 일본 1997년 ~ 연재 중 108권 5억 2,000만부
3위 배트맨 미국 1939년 ~ 연재 중 17000화 4억 8,400만 부
4위 스파이더맨 미국 1963년 ~ 연재 중 13500화 3억 8700만부
5위 아스테릭스 프랑스 1959년 ~ 연재 중 39권 3억 8500만부
6위 드래곤볼 일본 1984년 ~ 1995년 42권 3억 5000만부
7위 고르고13 1968년 ~ 연재 중 206권 3억 900만부
8위 도라에몽 1969년 ~ 1996년 45권 3억부
9위 럭키 루크 벨기에 1946년 ~ 연재 중 82권 3억부
10위 용호문 홍콩 1969년 ~ 연재 중 2,427권 2억 8000만부
11위 명탐정 코난 일본 1994년 ~ 연재 중 105권 2억 7000만부
12위 피너츠 미국 1950년 ~ 2000년 26권 2억 7000만부
13위 땡땡의 모험 벨기에 1926년 ~ 1976년 24권 2억 7000만부
14위 엑스맨 미국 1963년 ~ 연재 중 12000화 2억 6000만부
15위 나루토 일본 1999년 ~ 2014년 72권 2억 5,000만부
16위 스파이크와 수지 벨기에 1945년 ~ 연재 중 365권 2억 3000만부
17위 캡틴 아메리카 미국 1941년 ~ 연재 중 9000화 2억 1000만부
18위 철완 아톰 일본 1952년 ~ 1968년 23권 2억부
19위 블랙 잭 1973년 ~ 1983년 25권 1억 7,600만부
20위 슬램덩크 1990년 ~ 1996년 31권 1억 7,000만부
21위 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 1976년 ~ 2016년 201권 1억 5,650만부
22위 디아볼릭 이탈리아 1962년 ~ 연재 중 862화 1억 5000만부
23위 스폰 미국 1992년 ~ 연재 중 600화 1억 5000만부
24위 더 팬텀 1936년 ~ 연재 중 3500화 1억 5000만부
25위 귀멸의 칼날 일본 2016년 ~ 2020년 23권 1억 5000만부
26위 진격의 거인 일본 2009년 ~ 2021년 34권 1억 4,000만부
27위 가필드 미국 1978년 ~ 연재 중 - 1억 3500만부
28위 맛의 달인 일본 1983년 ~ 2014년(휴재) 111권 1억 3,500만부
29위 블리치 2001년 ~ 2016년 74권 1억 3,000만부
30위 죠죠의 기묘한 모험 1987년 ~ 연재 중 131권 1억 2,180만부
31위 터치 1981년 ~ 1986년 26권 1억 2000만부
32위 소년탐정 김전일
김전일 37세의 사건부 포함
1992년 ~ 연재 중 83권 1억 1500만부
33위 북두의 권 1983년 ~ 1988년 27권 1억 500만부
34위 더 화이팅 1989년 ~ 연재 중 136권 1억부
35위 Amar Chitra Katha 인도 1967년 ~ 연재 중 449권 1억부
36위 꼬마 유령 캐스퍼 미국 1949년 ~ 연재 중 - 1억부
37위 킹덤 일본 2006년 ~ 연재 중 70권 1억부
37위 바키 시리즈 일본 1991년 ~ 연재 중 150권 1억부
출처 1 / 출처 2
}}}}}}}}} ||

성인 세계의 희로애락을 담고 있는 아름다운 동시.
움베르토 에코[16]
찰스 슐츠는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공감을 주는 상상의 세계를 창조하고, 고독과 분노와 절망의 심오한 감정을 구현하는 강력하고 상징적인 캐릭터를 만들어냈다. 세상 그 누구도 내 편이 아니라는 느낌, 애정에 대한 갈구, 옳은 일을 하려는 부단한 진실함. 『피너츠』에서 피상적이거나 경솔한 구석은 찾기 어렵다.
― 게일슨 케일러 (작가)[17]
그의 그림은 끄적거림, 어린아이가 작대기로 그은 낙서보다 아주 조금 더 정제된 선 몇 개에 지나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그의 천재성은, 그처럼 몇 개의 짧은 선으로 만화 속 마을의 거주자들이 겪는 고뇌, 환희, 혹은 인내와 같은 인생 경험의 파노라마를 창조해냈다는 데 있다.
월터 크롱카이트[18]
다음과 같은 진실이 남는다. 『피너츠』라는 코믹 스트립은 찰스 슐츠의 고뇌가 드러나는, 탁월하고 진정으로 재미난, 50년 동안 연재되어 왔으며 기쁨도 상심도 담아낸 걸작이라는 것 말이다.
맷 그레이닝[19]
사랑은 예술을 키우고, 예술은 고립을 키우며, 고립은 용서를 키운다. 슐츠는 그가 받은 선물들을 다시 우리에게로 전해주었다.
― 조너선 프렌즈 (작가)[20]
『피너츠』는 이 세상과 같이 결코 시대에 뒤떨어지지 않는 존재예요. 아마도 그게 특별한 것 같아요. 시대를 초월한 작품이란 거요.
우피 골드버그[21]
바로 그것이 『피너츠』의 놀라운 마법 중 하나다. 이 우스꽝스럽고 조그만 인물들에 대한 진심 어린 공감과, 그들의 삶이 더더욱 곤란해져서 우리에게 더 많은 웃음을 주었으면 하는 무자비한 욕망 사이의 뛰어난 균형 잡기 말이다.
― 모 윌렘스 (세서미 스트리트 작가)[22]

6. 미디어 믹스

6.1. 애니메이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피너츠/애니메이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뮤지컬

이 작품을 주제로 두 편의 뮤지컬이 존재하는데, 첫번째 작품의 제목은 뮤지컬 찰리 브라운(You`re a Good Man, Charlie Brown)[23]이며 브로드웨이에서 많이 공연했던 작품이고, 당연히 국내에서도 공연을 했다. 이 작품은 피너츠의 여러 에피소드를 취해 옴니버스 방식으로 만든 작품이다. 1967년 클락 게스너에 의해 오프 브로드웨이에 올려졌던 작품을 1999년 마이클 메이어가 새롭게 재구성하였으며, 1999년판 버전이 극단 한양레퍼토리에 의해 국내에 소개되었다. 국내 공연판에서 특이할 점이 있다면 2006년 국내 공연 때 찰리 브라운 역할을 한 배우는 놀랍게도 컬투김태균(!)이다. 영상기사참조 김태균으로써는 처음 시도하는 뮤지컬 작품이었다고.

실제 피너츠 만화(애니)에서도 있던 에피 중 하나였으며,[24] 뮤지컬 중에서도 옴니버스식으로 구성된 점이 포인트. 피너츠 만화에서 나온 주요 인물들 중에선 찰리 브라운, 루시, 라이너스, 샐리[25], 슈로더가 등장하며 심지어 스누피(!)까지 등장한다. 이 작품에서 주제는 패배와 실수의 대명사 찰리 브라운을 긍정하는 태도로 귀결된다. 야구를 해서 이긴 적 없고 연을 날리면 꼭 나무에 걸리고 말며, 무수한 편지를 주지만 정작 본인은 한 통의 편지도 받지 못하는데도 끊임없이 시도하고 좌절하는 찰리가 작품 안에서 재조명된다고. 항상 승자에게만 향했던 스포트라이트가 뮤지컬 찰리 브라운에서는 모든 패배자를 대표해 찰리 브라운에게 향하며, 자신의 못남을 인정하는 찰리의 모습도 의외의 매력을 준다.[26] 그 외에도 음악은 상당 유쾌하다는 평을 받았다. 뮤지컬 소개

두번째 뮤지컬 작품은 스누피! 더 뮤지컬로 1975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초연되었다. 이쪽 역시 1988년에 TV 스페셜로 제작되어 방영되었다. 전작과 달리 스누피가 주인공으로 나오는 것이 특징으로, 덕분에 다른 TV 스페셜에서는 들을 수 없는 스누피의 대사를 전작 이상으로 많이 들을 수 있다.

7. 기타

8. 미네소타 주와의 관계

파일:external/media.dreamplango.com/693b6f53-fb81-4aad-9702-97f52b52edd0.jpg
MSP 제1터미널에 전시되어있는 스누피&우드스톡 조형물

원작자 찰스 슐츠의 고향이 세인트 폴이기때문에 미네소타 주에서 피너츠 관련 마케팅을 종종 하는 편이다. 특히 세인트 폴 시청 주관으로 피너츠 캐릭터들의 동상을 시내거리 외 여러 곳에 전시해 놓고 있다. 트윈 시티를 여행하게 되면 곳곳에 설치 되어있는 피너츠 캐릭터 조형물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또한 미네소타 연고 프로 스포츠 구단들도 고인을 기리는 의미에서 프린스 & 피너츠 관련 컨텐츠를 전시하고 있다.

파일:external/farm4.static.flickr.com/15621333725_39f26bf6ba.jpg
세인트 폴암트랙 유니온 역 승강장

파일:external/brendaandersonbooks.com/DSCN3197.jpg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131c9f7b71333d3a2715f1a78e5226fd.jpg
세인트 폴 시내중심가 Rice Park에 설치 되어있는 동상들

파일:external/www.johnweeks.com/peanuts-all-star-ball.jpg 파일:external/thewalkingtourists.com/IMG_9984.jpg
2014년 타깃 필드에서 열린 MLB 올스타전을 기념해서 타깃 필드 서쪽에 피너츠 조형물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일부는 미니애폴리스 시내중심가 남서쪽에 위치해 있는 Sculpture Garden에 전시 되어있다. 리모델링 때문에 폐쇄했다가 2017년 여름에 재개장.

파일:external/www.johnweeks.com/doghouse-excel.jpg
미네소타 와일드 엑셀 에너지 센터에 스누피 조형물을 전시하고 있다. (구장 내 매표소 맞은편에 있다.)

눈이 많이 오고, 더럽게 춥고, 뒷마당이든 호수든 다 얼어붙기 때문에 방과후 아이들이 하키를 하러 뛰어가는 모습 등등 미네소타주의 생활이 작품 속에서 많이 나온다. 피너츠 만화를 읽다보면 이 아이들은 '추운 지방'에서 사는 아이들이구나라는 느낌을 절로 받을 수 있다.

9. 외부 링크



[1] 출판사 측에서 번외권인 26권은 정발 계획이 없다 밝힌 바가 있다.[2] 원저자가 죽은 후에도 계속 기고되는 다른 미국 만화와 달리, 저자가 자신이 죽은 후에는 연재하지 말아 줄 것을 유언으로 남겼기에 막을 내리게 되었다. 다만 미리 그려놓은 분량이 있었기에 슐츠가 죽은 2월 12일의 다음 날이 마지막 연재일이 되었다.[3] 실제로 이 만화 제목을 스누피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도 굉장히 많다.[4] 때문에 페이스북 혹은 인스타그램에 감성글로 올라오기도 한다.[5] 그런 소재는 있지만, 그에 대한 작가의 논평을 의도적으로 배제한 것이다.[6] 사실 어른들이 보기에 천진난만할 뿐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그들의 세계는 진지하고 심각하다. 어른들이 보기엔 별 것 아닌 문제 (이상한 머리로 놀림받는 것)을 갖고 진지하게 밤새 고뇌하고 가출을 고민하는 꼬맹이도 있다. 작품 최고의 발암(...) 캐릭터 루시의 경우도, 어렸을 때는 여자애들이 남자애들보다 빨리 성숙하기 때문에 같은 아이의 여자애가 남자애를 갖고 노는 등 영악한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어리숙한 찰리, 어린 라이너스의 관점에서 보니 루시가 악마처럼 보이지, 고등학생이나 어른의 관점에선 그냥 약간 발랑까진 꼬맹이 정도일 것. 피너츠는 이런 아이들의 세계를 아이들의 관점에서 보는 것인데, 실제로 한동안 어른들의 대사는 의미불명의 소음으로만 처리됐다. 반대로 어른의 관점으로 아이들의 이야기를 논하는것이 "크레용 신짱"같은 작품이다.[7] 루시와 라이너스는 남매지간이다. 루시가 누나고 라이너스가 동생. 원래 루시는 자기가 유일한 자녀이길 바랬는데 뜻밖에도 동생 라이너스가 태어난 것. 그래서 살갑게 대하는 경우가 드물고. 오히려 손윗사람이란 이유로 윽박지르는 경우가 많은데 그러다보니 라이너스의 성격은 은연중에 철학자 기질이다. 신봉하는 철학자는 데카르트라고.[8] 원문의 ol'는 old로 친밀감을 나타내는 비격식 표현이다.[9] 찰리는 brown으로 쓰고 샬럿은 braun으로 쓴다.[10] 진짜 이름이 이렇다.[11] 당시 슐츠가 살던 도시였다.[12] 그런데 정작 마시와 똑같이 여자인 페퍼민트 패티에겐 아무 말도 안 했다.[13] 할아버지가 트러플처럼 귀하다고 지어준 이름이라고. 그래서 본인도 라이너스와 스누피에게 트러플 하나 찾았다는 드립을 쳤다.[14] 1987년 금성사로 합병됨.[15] 한국에서 침구에 대해 배우고 현재 뉴욕에서 한의사로 활동하고 있다.[16] 참조[17] 출판사 서평 참조[18] 출판사 서평 참조[19] 출판사 서평 참조[20] 출판사 서평 참조[21] 출판사 서평 참조[22] 출판사 서평 참조[23] 한국에서는 뮤지컬 찰리 브라운 이라고 했다. 원제를 직역하면 "넌 좋은 사람이야, 찰리 브라운" 정도다.[24] 1967년판 뮤지컬의 각본을 기초로 제작되었으며 1985년에 방영됨[25] 원래 1967년판 초연에서는 패티(페퍼민트 패티 아님)가 등장했으나 1999년판부터는 패티 대신 샐리 브라운이 등장한다. 패티가 잊혀진 캐릭터가 되어버린 것이 그 이유. 이러한 캐릭터 교체는 1985년 방영된 TV 스페셜에서 먼저 이루어졌다.[26] 물론 그렇다고 자기비하를 합리화시키는 작품이 아니며, 패자를 무조건적으로 감싸는 작품도 아니다.[27] 마블같은 히어로물이나 디즈니 애니 제외[28] 참고로 영화인에선 스티븐 스필버그가, 방송인에서 오프라 윈프리가 각각 그 직업에서 각자 1위로 들어가있었다.[29] 이게 원서는 2004년부터 나오기 시작해 2016년 완결된 물건이다. 서문 써 준 사람 목록이 후덜덜한데 막권은 버락 오바마가 써줬다.[30] 게다가 이러한 팬들의 반응에 대해 어시스턴트들은 '슐츠는 신문지상의 4컷 만화 형태의 연재만을 금했을 뿐, 다른 형태의 작품 전개를 막으려 한 것은 아닐 것이다'라는 입장을 밝혀 더욱 어그로를 끌기도 했다.[31] 다만 인기도 인기지만 출신지역도 한 몫했다. 미네소타는 백인이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지역이며 미국 내에서 손꼽힐 정도로 추운 동네이다. 슐츠 본인도 백인. 이 때문에 추운 지역의 백인 미국인들이 많이 즐기는 하키 얘기가 많이 나오는 것이다. NHL은 당시에도 별 인기가 없었다. 야구야 전미 최고의 스포츠니 당연하고.[32] 50년대엔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가 왕조를 구축했지만 프로농구 자체의 인기가 매우 떨어지던 시기라 정상급 아마추어 선수들 중엔 아예 프로 데뷔를 안하는 경우도 있을 정도로 마이너 스포츠라 백인 위주로 돌아가던 시기임에도 별 인기는 없었다. (현재 농구는 흑인이 절대강세지만, 초창기엔 백인들이 대다수였다. 아예 흑인은 머리가 딸려서 백인팀을 이길 수 없다는, 현재로 보면 말도 안되는 편견이 널리 퍼질 정도. 흑인들의 운동능력이 부각되기 시작하면서 급격히 흑인비율이 는 것) 게다가 슐츠가 자라나던 시절엔 프로리그조차 없을 시기기 때문에 신생 듣보잡 리그인 BAA(NBA의 전신)에서 미네소타 팀이 좀 잘한다고 인기를 크게 끌리도 없다.[33] 극심한 압박 속에서도 냉정을 유지하는 남자[34] '슈로더'라는 이름은 독일계, 루시와 라이너스 남매의 성씨인 '반 펠트'는 네덜란드계 성이다. 참고로 작가 찰스 M. 슐츠 본인도 독일계이다.[35] 이전 연재분에도 스파이크가 나왔다하면 80%는 선인장이 나온다.[36] 당연히 스파이크의 환청이다.[37] 찰리와 샐리는 남매이고, 루시와 슈로더는 루시의 일방적인 짝사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