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9 00:13:58

하얀전쟁(영화)

역대 도쿄 국제 영화제
파일:도쿄국제영화제2.png
도쿄 그랑프리
제4회
(1991년)
제5회
(1992년)
제6회
(1993년)
존 세일즈
(꿈꾸는 도시)
정지영
(하얀전쟁)
톈좡좡
(푸른 연)
<colbgcolor=#9cab11><colcolor=#fff> 하얀전쟁 (1992)
White Badge
파일:하얀전쟁.jpg
장르 전쟁, 드라마
감독 정지영
조감독 심승보
각본 조영철
심승보
정지영
공수영
각색
원작 안정효
제작 국종남
주연 안성기
이경영
심혜진
촬영 유영길
편집 박순덕
음악 신병하
촬영 기간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일필림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2년 7월 4일
화면비
상영 시간 124분
제작비
대한민국 총 관객 수 1,167명 (최종)
스트리밍
[[Apple TV+|
Apple TV+
]]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2. 개봉 전 정보3. 포스터4. 예고편5. 시놉시스6. 등장인물7. 설정8. 줄거리9. 사운드트랙10. 평가11. 특징12. 수상13. 흥행14. 기타15. 관련 문서16. 외부 링크1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1992년작. 대일필름 제작, 베트남 가이퐁 영화사 합작.

감독은 정지영. 주연은 안성기, 이경영, 독고영재, 허준호.

2. 개봉 전 정보

3. 포스터

4. 예고편

5. 시놉시스

월간지에 월남전 소설을 연재하는 한기주는 무력감과 월남전 참전의 후유증으로 아내와 별거상태와 다름없는 생활을 한다. 어느날 전우였던 변진수의 전화를 받는다. 그리고는 서서히 월남전의 악몽속으로 되돌아간다. 마지막 임무인 흔바산 죽음의 계곡에 투입된 소대는함정,부비트랩,독화살 등 죽음의 그림자 숲을 헤매이며 쓰러져, 47명중 7명만이 살아남는다. 10년이 지나 불현듯 나타난 변진수는 권총으로 자신을 죽여달라고 한다. 그가 한기주를 찾아온 이유는 자신을 죽여줄 사람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한기주는 그의 이마에 권총을 겨눈다. 변진수의 전쟁은 끝났지만 한기주의 전쟁은 이제 시작이다.
― 출처: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6. 등장인물

7. 설정

8. 줄거리

9. 사운드트랙

10. 평가

11. 특징

베트남 올로케이션으로 실제로 베트남 저항군 및 북베트남군으로 참전한 이들 감수와 같이 촬영되었다. 그리고 베트남 가이퐁 필름이란 업체 협조로 촬영이 이뤄졌다.[5] 당시 서울관객 15만으로 그럭저럭 흥행은 했으며 일본 동경국제영화제 대상을 수상했다.

국내에서는 대종상 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 남우조연상(이경영), 각색상(정지영, 공수영 외 2인) 수상. 청룡영화제 남우조연상(독고영재), 촬영상(유영길) 수상작이기도 한데 알다시피 이 영화제는 조선일보 주최 영화제라서 상을 주지 않을 것이란 말이 있지만 근거없다. 이념을 떠나서 당시로서는 명작급이었으니까...

당시까지 대한민국의 전쟁영화가 대부분 배달의 기수 같은 군대 찬양 영화나 반공영화 일색이던 것에 비해서[6] 전쟁으로 입은 상처와 정신적 후유증이 전쟁이 끝난지 한참 뒤에도 전쟁의 당사자들에게서 떠나지 않는 묘사는 새로운 것이었다.

영화에서 김문기 하사가 베트남 민간인을 사살하고 은폐하는 장면 때문에 참전군인들이 개봉 금지시위를 벌였으나 원작자인 안정효 또한 베트남 참전용사였으며 민간인과 적을 구분할 수 없어 일단 죽여보니 민간인임이 드러나서 쉬쉬한 일은 겪어본 사실인데 왜 그리도 호들갑이냐며 그렇게 감추고 싶어한다고 해도 진실은 가려지지 않는다고 대응했다.[7]

영화가 나온 시대가 시대인지라 원작에서의 80년대 초반 나른한 서울의 일상이 아닌 대한민국 제5공화국 정권 탄생 전야를 무대로 했고[8] 전쟁 와중에 정신이상이 되어버린 변진수(이경영)가 1980년 서울의 봄 현장을 보고 베트남이다~ 전쟁이다~ 미치도록 절규하는 장면은 베트남 참전에 대한 풍자 장면이라고 할 수 있다.

원작과는 몇몇 설정이 다른데 원작에서는 주인공 한기주가 애도 없고 결혼 생활은 파탄 직전이고 직장에서 짤리기 전으로 근근히 먹고 사는 번역가 겸 출판사 부장인 반면에 여기서는 결혼은 했고 애는 있지만 이미 파탄나고 애는 가끔 만나고 있고 베트남 전쟁 소설을 쓰려고 스트레스를 받는 기자 겸 작가로 묘사되고 있다. 특히 마지막 부분에 변진수를 사살하고 그 옆에 누워 '이제 좋은 소설을 써야겠다'라는 부분은 안성기 연기의 극단을 보여준다.

변진수의 인물 설정도 약간 다른데 원작에서는 처음부터 겁이 많고 어리바리해서 전장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고문관으로 그려지나 영화에서는 쾌활하면서도 순진한 병사였다가 민간인을 사살하는 일을 겪으면서 조금씩 이상증세를 보이는 것으로 묘사된다.

마지막 전투 장면도 원작은 장거리 정찰 작전이었지만 영화에선 주인공 소대가 대규모 적군 공세를 맞아 진지 사수하는 장면으로 나온다. 전투 후 전장을 찾아온 장군의 말에 의하면 주인공 소대는 미끼였고 그사이 본대가 역습한 작전이 먹히긴 했다는 모양.

신병하[9]가 맡은 영화음악도 상당한 수작이다. 특히 메인테마인 "무지 속의 상극세계"는 비장하고 슬픈 느낌을 가득 안겨주는 명곡이다. 영화음악은 모스크바 국립방송교향악단의 연주로 완성되었는데 음악성이 뛰어나, 외국의 어느 영화팬은 조르주 들르뤼(Georges Delerue)의 플래툰의 음악과 비견하기도 하였다.출처 아쉽게도 사운드트랙 음반은 매우 희귀하여, 구하기가 매우 힘들다.

카세트 테이프로 나온 이 영화 OST 사진.

영화사가 대형이 아닌 탓[10]에 극장 잡기가 힘들어서 호암 아트홀에서 상영하기도 했다. 비디오로 출시당시 11분을 무단으로 삭제했다가[11] 감독이 소송을 제기하는 일까지 있었고 더 황당한 것은 리스비전이라는 듣보잡 업체가 무단으로 낸 DVD 짝퉁은 한술 더떠 해외영화제 캠버젼 상영용 영어자막판을 냈다는 사실! 이는 제작사인 대일필름이 IMF때 망한 탓도 있다. 참고로 이 영화사의 마지막 작품이 괴작 앨버트로스...

다행히도 영상자료원에 필름 납품이 의무화된지라 필름은 온전히 남아있었고 2017년 4월 4K 리마스터되었다.

안성기의 근육질 몸매를 보여주면서 안성기가 드디어 벗었다라는 찌라시 떡밥 기사가 스포츠 신문에서 난 적도 있었다(…). 작중 술에 취한 안성기가 술집 아가씨와 여관에서 벌이는 고자인증 문제나 PTSD를 암시하는 장면인데, 사실 이 장면은 원작에도 있지만 원작만큼 적나라하지도 않고, 안성기는 이전에도 꽤 많은 영화에서 벗기는 했다. 다만 베드신은 서툴러서(…) 주로 대역을 쓴다고 한다. 그리고 심혜진씨가 스트리퍼로 등장해 가슴노출 신이 있다.

제작비가 많이 부족한 탓에 상당히 많은 장면에서 헬리콥터를 단 2대만 동원했다.[12] 이런 일로 두고 두고 까이기도 했다.

이 밖에도 고증이 꽤나 문제가 있는데, 정확히는 고증을 아예 신경 안 썼다. 주인공인 한국군의 전투복과 개인장비는 월남전 근처는커녕 영화 촬영당시인 90년대 초반 기준의 현용장비를 갖고 제작됐다. 그나마 당시 한국군 복장이 단색 전투복에 한국형 리프패턴 철모피를 쓰고 있었으니 비슷해보여서 망정이지...

이 영화에 대한 미스테리한 일을 성병조 상병 역으로 나왔던 으리의 사나이[13]가 이야기했다. 그리고 해당 에피소드는 과거에 토요미스테리극장에 방영이 되었다.

흥행은 그럭저럭 성공하여, 극중 하극상 상관살해를 저지르고 탈영한 이를 주인공으로 하는 속편도 기획되었지만(출처는 영화 월간지 로드쇼) 끝내 흐지부지되었고 나올 일도 없어 보인다.

파일:White.Badge.1992.KOREAN.1080p.BluRay.H264.AAC-VXT.mp4_20190813_032754.283.jpg

S&W M19 리볼버를 만지는 안성기. 기존에는 이 영화에 M1917 리볼버가 등장한다고 잘못 알려졌으나 스크린샷을 통해 확인해보면 S&W M19 리볼버 임을 알 수 있다.

파일:White.Badge.1992.KOREAN.1080p.BluRay.H264.AAC-VXT.mp4_20190813_035753.462.jpg

M1917 리볼버는 M1911과 동일한 45ACP 탄약을 사용하므로 저렇게 .38스페셜탄이 바닥에 떨어질 수가 없다. 그런데 정작 M19는 357mag를 쓰는 리볼버다. .38스페셜도 사용할 수 있긴하지만...

파일:White.Badge.1992.KOREAN.1080p.BluRay.H264.AAC-VXT.mp4_20190813_031458.111.jpg

작중 변진수 역을 맡은 이경영이 머리에 M19리볼버를 갖다대고 있는데 .357mag 표기가 된 것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어떻게 봐도 M1917 리볼버는 아닌 셈이다.

12. 수상

연도 시상식 부문 수상자
1992 제5회 도쿄 국제 영화제 도쿄그랑프리 정지영
최우수감독상
제13회 청룡영화상 남우조연상 독고영재
촬영상 유영길
제3회 춘사영화제 감독상 정지영
남자 우수연기상 이경영
음악상 신병하
1993 제31회 대종상 심사위원특별상 대일필름
남우조연상 이경영
각색상 공수영, 조영철, 심승보, 정지영
제29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이경영
제38회 아시아-태평양 영화제 남우주연상 안성기

13.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최초개봉일) $(세계누적) (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미국 캐나다|]][[틀:국기|]][[틀:국기|]]북미
미정 미개봉 미정

[[중국|]][[틀:국기|]][[틀:국기|]]
미정 미개봉 미정

[[틀:국기|]][[틀:국기|]][[틀:국기|]]
미정 미개봉 미정

13.1.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14]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차 20XX-XX-XX. 1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3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4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5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6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XX-XX-XX.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9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0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1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2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13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16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7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8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9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0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3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24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25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26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7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8일차(화) -명 -위 -원
}}}}}}}}}||

13.2. 북미 (미국·캐나다)

13.3. 중국

13.4. 대만

13.5. 일본

13.6. 영국

13.7. 기타 국가

14. 기타

15. 관련 문서

16. 외부 링크

17. 둘러보기





[1] 그러나 졸지에 살인자가 됐기 때문에 당연히 감옥에 갔을 가능성이 크다. 어쩌면 1980년대 당시 사형이 아직 대한민국에 만연할 시기였던지라 한기주 역시 살인죄로 사형되었을 수도 있다. 소설 2부에선 어찌어찌 일이 풀려 징역 몇년 살고 풀려나게 된다.[2] 참고로 영화의 마지막 전투에서 마체트 하나로 베트콩을 최소 7명이상 죽이는 어마어마한 활약을 한다.[3] 영화판에서는 고문관이라기보단 유쾌하고 장난도 잘 치는 분위기메이커 느낌으로 각색되었다.[4] 심지어 이미 전사한 사람인데도[5] 베트남전을 베트남에서 촬영하는 것은 지금도 무척 어려운 일이다. 베트남 정부의 시나리오 검열및 합작 조건을 제시하는데 괜히 헐리웃산 베트남전 영화가 하와이나 태국, 필리핀에서 제작되는게 아니다.[6] 최소한 '현실은 시궁창'을 보여주는 영화는 있었어도, 참전자들의 '전후' PTSD를 그린 한국 영화는 사실상 처음.[7] 원작 소설에서는 베트남 포로의 말을 통해서 한국인들의 잔학행위에 대한 소문을 정치위원의 교육에서 들었다고 묘사한다.[8] 작중 안성기가 소설 초반을 쓰고 편집장에게 욕먹는 부분에서 이제 박통도 죽었는데 좀 획기적인 작품 하나 나와야지?라는 언급과 이후 변진수를 찾는 부분에서 좌판 신문 표제를 통해서 신군부의 집권을 묘사하고 있다.[9] 1947~2005.한국의 엔니오 모리코네라고 불리던 작곡가인데 공교롭게도 그가 음악을 맡은 씨받이 메인음악이 엔니오 모리코네가 음악을 맡은 언터쳐블 음악과 너무 비슷하다고 해외에서 화제가 되었는데 정작 신병하나 한국 측에선 전혀 공감하지 않았다. 90년대 성우 이선영의 FM영화음악실 라디오 방송에 나온 신병하 생전 인터뷰에서도 이걸 언급하며 이선영이 두 영화음악을 같이 틀어줘서 비교하라고 했는데 사람들 반응은 대체 어디가 비슷하다는 거냐는 반응이였다....[10] 그래도, 대일필름 사장 국종남은 영화 제작 이후에 국회의원 선거에 나가 당선되었다. 참고로 국쾌남의 아우.[11] SK그룹 계열이던 SKC 비디오에서 출시했다.[12] 시나리오 상으로는 마지막 전투때 전멸해가는 아군을 지원하러 미군 헬리콥터 5대가 등장한다.[13] 당시 크레딧에는 본명인 '허석'으로 기입되어 있다.[14] ~ 20XX/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1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