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ㅋㅋ백과는 대한민국의 사용자 참여형 신조어 및 밈 백과사전 플랫폼이다.이른바 인싸 백과사전이다.
인터넷상에서 유행하는 신조어, 슬랭, 밈 등을 수집하고 정리하며, 사용자가 직접 내용을 등록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웃긴 백과사전’이라는 콘셉트를 바탕으로,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밈 문화와 유머 요소를 함께 다루는 커뮤니티성 위키이다.
2. 서비스 개요
항목 | 내용 |
서비스명 | ㅋㅋ백과 |
운영형태 | 웹 기반 사용자 참여형 위키 |
주요 내용 | 한국어 신조어, 인터넷 밈, 유행어, 유머 |
공식 사이트 | https://kkdictionary.com, https://www.instagram.com/kkdictionary |
3. 특징
사용자 참여형 구조: 누구나 직접 신조어, 유행어, 밈 등을 등록하고 수정할 수 있다.
: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기여가 가능한 형태이다.
트렌드 기반 콘텐츠
: 10대~20대 중심의 인터넷 유행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며,
: SNS 및 커뮤니티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들이 주요 콘텐츠로 다뤄진다.
재미 요소 강화
: 설명 외에도 예시 대화 등을 함께 제공하여
: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웃긴 콘텐츠를 표현한다.
모바일 최적화 UX
: 신속한 탐색과 편리한 검색을 기반으로
: 모바일에서도 쉽게 신조어를 찾아볼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4. 이름의 유래
‘ㅋㅋ백과’라는 명칭은 한국어 인터넷 커뮤니티 및 메신저에서 자주 사용되는 웃음 표현인 ‘ㅋㅋ’와 ‘백과사전’을 결합한 이름이다.즉, ‘웃긴 백과사전’, 혹은 ‘웃으며 보는 백과사전’이라는 중의적 의미를 담고 있다.
5. 문서 구성
각 항목(단어/표현)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구성된다:단어 또는 밈명 (예: TTTT, 스불재, 자낳괴 등)
의미 및 정의
사용 예시
관련 밈/표현 연결
유래 혹은 등장 배경 (있는 경우)
6. 관련 커뮤니티/서비스
나무위키 – 일반 백과형 위키
[https://www.urbandictionary.com/ Urban Dictionary] – 영어권 밈/슬랭 위키
위키백과 – 정통 백과사전
인스티즈, 더쿠, 에브리타임 – 유행어 출처 커뮤니티
7. 반응
특정 세대(특히 Z세대, MZ세대) 사이에서 인터넷 문화 이해 도우미 역할을 하며,“엄마 아빠가 이해 못하는 단어 설명해주는 곳”이라는 반응도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유행어에 많이 뒤쳐진 사람, 외국인이거나 유학생으로 한국의 트렌드를 따라가기 어려운 사람들에게도 유용하다.
인스타그램 등을 통해 확산되기도 한다.
8. 기타
ㅋㅋ백과는 현재도 지속적으로 단어가 추가되고 있으며,유저의 참여도와 유행 속도에 따라 콘텐츠가 빠르게 갱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