嗜 즐길 기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口, 1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3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シ | ||||||
일본어 훈독 | たしな-む | ||||||
- | |||||||
표준 중국어 | shì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1. 개요
嗜는 '즐길 기'라는 한자로, '즐기다', '좋아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즐기다 |
음 | 기 | |
중국어 | 표준어 | shì |
광동어 | si3 | |
객가어 | sṳ | |
민북어 | sī | |
민동어 | siê | |
민남어 | sī | |
오어 | zr (T3) | |
일본어 | 음독 | シ |
훈독 | たしな-む | |
베트남어 | thị |
유니코드에는 U+55DC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RJPA(口十心日)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口(입 구)와 소리를 나타내는 耆(늙을 기)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반절이 상리절(常利切)이므로 원음은 '시'였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耆에 이끌려 음이 '기'로 굳어졌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 嗜好に関する世論調査
- ロックは淑女の嗜みでして(록은 숙녀의 소양이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