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3 14:48:11

怪盗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괴도(怪盗\)의 한자 검색 결과'''{{{#!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괴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괴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괴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문서: }}}[[괴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괴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괴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怪盗
괴도[1] | Phantom thief
<nopad> 파일:back number – 怪盗 싱글 앨범 커버.webp
<colbgcolor=#000><colcolor=#fff> 가수 <colbgcolor=#fff,#2d2f34>back number
발매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1년 5월 24일
러닝타임 3분 16초
작사 [ruby(清水,ruby=しみず)][ruby(依与吏,ruby=いより)]
(시미즈 이요리)
작곡
노래방 파일:금영엔터테인먼트 심볼.svg <colbgcolor=#fff,#2d2f34> 없음
파일:TJ미디어 심볼.svg 없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 | 파일:멜론 아이콘.svg | 파일:Apple Music 아이콘.svg | 파일:지니뮤직 아이콘.svg

1. 개요2. 영상3. 가사

1. 개요

일본의 밴드 back number의 노래다.

2. 영상


캡션

3. 가사


怪盗
괴도

じゃあちょっと目を閉じて
자 촛또 메오 토지테
그럼 살짝 눈을 감고

僕の腕に掴まっておいてよ
보쿠노 우데니 쓰카맛떼 오이테요
나의 팔을 꽉 잡고 있어

君の笑顔 盗む奴から 君を盗むのさ
키미노 에가오 누스무 야쓰카라 키미오 누스무노사
너의 웃음(을) 훔친 녀석들로부터 너를 훔칠 거야

物語の名前は伏せたまま始めよう
모노가타리노 나마에와 후세타마마 하지메요-
이야기의 이름은 덮어둔 채 시작하자

連れ去ってと合図をくれたら
쓰레삿떼토 아이즈오 쿠레타라
데려가 달라고 신호를 주면


ここから君を奪って 夜空を抜けて
코코카라 키미오 우밧떼 요조라오 누케테
여기서 너를 빼았고 밤하늘을 넘어

宝石みたいな 街を飛び越えて
호-세키 미타이나 마치오 토비코에테
보석 같은 마을을 뛰어넘어

君が想像した事ないくらい
키미가 소-조-시타 코토 나이 쿠라이
너가 상상해본 적 없을 정도로

眩しい世界を見せてあげる
마부시이 세카이오 미세테 아게루
눈부신 세상을 보여 줄게

そのまま海を渡って 春風に乗って
소노마마 우미오 와탓떼 하루카제니 놋떼
그대로 바다를 건너 봄바람을 타고

虹を蹴散らして 空にばらまいて
니지오 케치라시테 소라니 바라마이테
무지개를 발로 차서 하늘에 뿌리면서

君は今日も明日も
키미와 쿄-모 아시타모
너는 오늘도 내일도

君のままでいていいんだよ
키미노 마마데 이테 이인다요
네 모습 그대로 있어도 돼

君がいれば僕に不可能なんか無い
키미가 이레바 보쿠니 후카노-낭카 나이
너가 있으면 내게 불가능이란 없어


もう行かなきゃなんて
모- 이카나캬 난테
벌써 가야만 한다니

ガラスの靴で月にでも帰るの?
가라스노 쿠쓰데 쓰키데모 카에루노
유리로된 구두로 달에라도 돌아가니?

君がどう否定したって
키미가 도- 히테-시탓떼
너가 아무리 부정해도

素敵なままだよ
스테키나 마마다요
넌 여전히 멋져

君と出会えた僕と
키미토 데아에타 보쿠토
너를 만난 나와

出会えなかった先の僕を比べて
데아에 나갓따 사키노 보쿠오 쿠라베테
만나지 않은 미래의 나를 비교해서

論文にしたいとこだけど
롬분니 시타이 토코 다케도
논문을 써보고 싶지만

君の細胞全部の
키미노 사이보- 젬부노
너의 세포 모두의

尊さはきっと伝えられやしない
토-토사와 킷또 쓰타에 라레야 시나이
소중함은 분명 전달할 수 없을 거야

君自身に君を 僕が証明するよ
키미 지신니 키미오 보쿠가 쇼-메-스루요
네 스스로에게 너를 내가 증명할게


これから君を奪って 夜空を抜けて
코레카라 키미오 우밧떼 요조라오 누케테
이제부터 너를 빼았고 밤하늘을 넘어

宝石みたいな 街を飛び越えて
호-세키 미타이나 마치오 토비코에테
보석 같은 마을을 뛰어넘어

君が想像した事ないくらい
키미가 소-조-시타 코토 나이 쿠라이
너가 상상해본 적 없을 정도로

眩しい世界を見せてあげる
마부시이 세카이오 미세테 아게루
눈부신 세상을 보여 줄게

そのまま海を渡って 春風に乗って
소노마마 우미오 와탓떼 하루카제니 놋떼
그대로 바다를 건너 봄바람을 타고

虹を蹴散らして 空にばらまいて
니지오 케치라시테 소라니 바라마이테
무지개를 발로 차서 하늘에 뿌리면서

君は今日も明日も
키미와 쿄-모 아시타모
너는 오늘도 내일도

君のままでいていいんだよ
키미노 마마데 이테 이인다요
네 모습 그대로 있어도 돼

君がいれば僕に不可能なんか無い
키미가 이레바 보쿠니 후카노-낭카 나이
너가 있으면 내게 불가능이란 없어

無い
나이
없어

[1] 괴상한 도둑이라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