聊 애오라지 료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耳,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1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リョウ | ||||||
일본어 훈독 | いささ-か | ||||||
- | |||||||
표준 중국어 | liáo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聊는 '애오라지 료'라는 한자로, '애오라지', '귀가 울다' 등을 뜻한다. 그래서 '귀울 료'라고도 한다.애오라지는 ‘겨우’ 혹은 '오로지'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이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804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SJHHL(尸十竹竹中)로 입력한다.훈을 나타내는 耳(귀 이)와 음을 나타내는 卯(토끼 묘)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벽자인 한국어와 달리 HSK 4급한자일 정도로 중국어에서는 '대화하다'라는 뜻으로 흔하게 쓰인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지명
3.4. 창작물
4. 이체자
- 𦕵[⿰耳牢](U+26575)
- 𦕼[⿰耳丣](U+2657C)
5. 유의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𨋖[⿰車卯](관싣는수레 류)
- 𪕋[⿰鼠卯](대나무쥐 류)
- 珋(돌 류)
- 飹(미끼 류)
- 柳(버들 류)
- 㶯(불 류)
- 鉚(쇠 류)
- 㧕(어루만질 류)
- 駠(월따말 류)[1]
- 㚹(예쁠 묘/류)
- 泖(호수이름 묘, 물모양 유)
- 𥄸[⿰目卯](흘겨볼 묘)
- 𩊅[⿰革卯](돋을 보)
- 𡊧[⿰土卯](고을이름 유)
- 𠇩[⿰亻卯]
- 𠰭[⿰口卯]
- 𪨫[⿰山卯]
- 𫰸[⿰奸卯]
- 𡩰[⿰宗卯]
- 𬈢[⿰泣卯]
- 𬆆[⿰歪卯]
- 𮀐[⿰石卯]
- 𧖰[⿰血卯]
- 𬣌[⿰謀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