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18:39:53

장인어른

가시아버지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나이스게임TV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은 장인어른(나이스게임TV)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관련 문서

1. 개요

아! 장인어른! 도대체 나한테 왜 그러세요!?
순풍산부인과에서 오지명의 사위 박영규
아내아버지, 즉 '장인(처부)'을 높여 부르는 말. 남편과 아내 사이에 자녀가 태어나면 그 자녀에게 어머니의 아버지는 외할아버지가 된다.

빙부, 빙장, 빙모는 남의 장인을 높여 이르는 말이기 때문에 사위 본인이 쓸 말이 아니다. 따라서 '빙부상', '빙모상'은 남이 그 부고를 대신 전달해줄 때만 써야 하고, 사위 본인은 '장인상', '장모상'으로 써야 한다.[1] 악부(岳父)라는 표현도 있는데, 문어적인 느낌이 강하며 일상에서는 잘 쓰지 않는다.

'장인어른'은 호칭어로도 쓰인다. 즉 사위 본인이 장인을 직접 부를 때 '장인어른'이라고 부를 수 있다. 다만 현대에는 '장인어른'보다 친근한 표현인 '아버님'이라고 부르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으며, 장인 입장에서도 '아버님'이라고 불리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

장인은 존속살해죄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등 법적으로는 친부와 비슷한 지위를 갖기도 한다.

북한에서는 가시아버지라고 한다. 각시+아버지의 줄임말이다.#

오래 사셨기 때문에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 갖추고 시골에서 농사를 지으시거나 도시에서 연금 생활을 하시는 경우가 많지만, 서브컬처에서는 대부분 딸내미바보 속성을 가진 경우라든지, 대기업 회장이라든지 명문가나 그럴법한 실생활과 동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장인어른이 사위와 싸우는 경우가 많다. 영화 '미트 페어런츠'만 봐도 이런 일은 동서를 막론하고 발생한다는 걸 알 수 있다.

1990년대에 일요일 오후에 방영했던 TV 프로그램 중에서 '허락해주세요'라는 코너가 있었는데 이런 양상을 잘 보여주던 것이 있었다. 일반인 남성들이 자신의 여자친구의 아버지와 함께 출연해서 정해진 시간동안 결혼 허락을 받기 위해서 여친의 아버지를 설득하는 코너였다. 둘은 승용차가 서울 시내를 한 바퀴 도는 동안 뒷좌석 옆에 앉아서 서로 대화를 나누게 되어있었는데, 그동안 아버님이 딸의 남친을 깐깐한 태도로 이리저리 따져묻는 모습과 이에 전전긍긍하는 남친들의 대비는 비슷한 경험을 가진 성인 남성들의 폭풍공감을 일으키곤 했다. 딸의 남친을 영 못마땅해하는 듯한 표정으로 꼿꼿하게 앉아서 사위 지망생(?)들을 심문하던 아버지들은 남자들에겐 그야말로 정신적 압박을 불러일으키던 공포의 대상이었다.[2]

그 외에 가족 시트콤이나 드라마에서는 허구헌날 '손에 빠따회초리를 든 장인에게서 도망다니는 사위'라는 클리셰가 심심찮게 등장한다.

전통적인 가부장제 하에서는 보통 시가가 우위에 있고 처가의 지위가 낮았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고부갈등은 진지하게 묘사되지만 상단의 인용문들에 나온 대사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장인, 장모와 사위 간의 갈등은 상당히 코믹하게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사회적으로도 남성 간의 갈등이 일반적으로 여성들의 그것보다 해결하기 쉬운 것도 한 몫할 것이다.

딸을 자식으로썬 아끼지 않아도 가문의 위신을 살리거나 한다는 명목으로 사위를 까다롭게 고르고 사위에게도 까다롭게 대하는 장인어른도 없는 건 아니다.[3]

하지만, 때로는 장모님이 최강이다. 욕하면서 보는 드라마에서는 오히려 장인어른은 받아줄 분위기인데 장모님의 등쌀에 못 이기고, 장모님은 계속 사위를 구박하는 경우가 일상다반사. 그리고 반대로 장모님은 사위가 될 사람을 반기시는데 장인어른이 이상한(?) 말을 하시면서 반대하시다가 한소리 들으시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자면...
사위: 장인어른(아버님)!
장인어른: 장인어른(아버님) 소리 집어치워라, 네깟 녀석한테 장인어른(아버님) 소리 들을 이유는 없다!
장모님: 이 양반이 나이 쳐먹고 애한테 못하는 말이 없어!
장인의 장인: 너도 똑같은 놈이야 이놈아
물론 장인어른과 사위의 취미와 관심사가 일치하면 사실상 부자(父子)나 마찬가지인 관계가 되어버린다.

2. 관련 문서


[1] 따라서 사위 본인이 직접 "장인상/장모상을 당했습니다."라고 처음 부고를 올리면 그 부고를 전달받은 사람이 "김아무개님께서 빙부상/빙모상을 당하셨습니다."라고 다시 전달하는 식으로 쓰여야 한다. 봄·봄에서 점순이 아버지가 주인공에게 자신을 '빙장님'이라고 부르라고 강요하는 것은 점순이 아버지가 빙장이 남의 장인을 뜻하는 건지도 모르고 무식하게 괜히 현학을 부린다는 해석과, 진짜로 너를 사위로 인정하지 않겠으니 나를 네 장인이 아닌 남의 장인으로 모시라는 뜻으로 꼬장을 부린다는 해석 두 가지가 있다.[2] 그러나, 1990년대의 예능 프로그램은 원래부터 리얼 예능이 아니라 처음부터 짜고 치는 고스톱같이 미리 대본이 정해져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지금와서 생각해보면 약간 퇴색된 감이 있다. 지금도 리얼 예능이라고 말하지만, 엄연히 대본과 대상이 있는 마당에...[3] 물론 보통 장인의 서열이 사위보다 더 우위일 경우에나 일어난다. 사위가 결혼해주는 것만도 감사한 집안이라면 제아무리 장인이라 해도 사위에게 못되게 굴거나 압박을 넣긴 힘들어지기 때문.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