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9 08:35:47

써클차트 마이너 갤러리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디시인사이드 심볼.svg파일:디시인사이드 로고 닷컴포함 흰색.svg
연예 갤러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b6c1><colcolor=#fff> 팬 갤러리
숫자·로마자 1,2,3 아이브 · AOA · EXID · f(x) · I.O.I · ITZY · IVE · JYJ · Kei · QWER· STAYC
ㄱ~ㄹ 걸스데이 · 권은비 · 김경호 · 김소혜 · 김세정 · 김용국 · 김재중 · 나띠 · 나연 · 노지선 · 뉴진스 · 드림캐쳐 컴퍼니 · 동방신기 · 러블리즈 리얼리티 · 레드벨벳의​레벨업 · 레이나 · 르세라핌
ㅁ~ㅅ 마마무 · 메이딘 · 방탄소년단 · 브브걸 · 빅뱅 VIP · 사나 · 사토 미나미 · 소녀시대 · 송하영 · 슈퍼주니어 · 슬기 · 신화 · 써니힐
아이린 · 아이유 · 아이즈원 리얼리티 · 아이즈원 츄 · 아일릿 · 안수민 · 양지은 · 여자친구 · 원더걸스 · 우주소녀 · 에스파 · 에이프릴의​온에어프릴 · 에이핑크 · 엠넷 · 예리 · 오마이걸 · 오마이걸 유튜브 · 웬디 · 위버스 · 유지애 · 윤채경 · 윤하 · 이달의 소녀 · 이새롬 · 이채영
ㅈ~ㅎ 정서주 · 정은지 · 조이 · 즛토마요 · 지효 · 초아 · 채영 · 최유정 · · 카라 · 케플러 · 크레용팝 · 클라씨 · 태연 · 트리플에스 · 트리플에스 코스모 · 트와이스 유튜브 · 피프티 피프티 · 프리스틴 · 프로미스​나인 · 프로미스나인 ​위버스 · 프로젝트걸그룹 · 픽 엔믹스 · 하이브x민희진x뉴진스 · 하이키
비(非) 팬 갤러리
숫자·로마자 AKB48 · TWICE · XG
ㄱ~ㄹ 가요 · 걸그룹 발굴 · 걸스플래닛 999 · 국내​지하​아이돌 · 기타 걸그룹 · 기타 국내 드라마 · 기타​프로그램 · 남자 연예인 · 남의연애 · · 레드벨벳 · 러블리즈 · 런닝맨 유튜브
ㅁ~ㅇ 모노트리 · 무한도전 · 미스터트롯 · 방과후 설렘 · 보이즈플래닛 · 복면가왕 · 빌보드 · 스트레이 키즈 · 신서유기 · 신인 걸그룹 · 써클차트 · 아이돌과 정치 · 아이돌 리얼리티 · 아이돌리즘 · 아이돌학교 · 어트랙트 오디션 · 여자 아이돌 · 여자아이돌 음악 · 여자 연예인 · 외국 힙합
ㅈ~ㅎ 케이팝 · 프로듀스101 · 프로듀스101시즌2 · 프로듀스48 · 플래닛가디언 · 해외연예 · 힙합
마이너 갤러리를 뜻한다.
문서가 있는 갤러리만 서술하며, 분류:디시인사이드 갤러리/연예·방송에 속하는 갤러리들 외에도 연예 관련 이야기가 대다수인 갤러리들을 포함한다.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일반에 대해서는 틀:디시인사이드 참고 바람.
}}}}}}}}} ||

<nopad>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0% 4.12%, #4f4f4f 4.12%, #4f4f4f 8.24%, #fff 8.24%, #fff 12.40%, #4f4f4f 12.40%, #4f4f4f 16.49%, #fff 16.49%, #fff 20.59%, #4f4f4f 20.59%, #4f4f4f 20.79%, #fff 20.79%, #fff 25.09%, #4f4f4f 25.09%, #4f4f4f 29.19%, #fff 29.19%, #fff 33.32%, #4f4f4f 33.32%, #4f4f4f 37.46%, #fff 37.46%, #fff 41.57%, #4f4f4f 41.57%, #4f4f4f 45.68%, #fff 45.68%, #fff 49.83%, #4f4f4f 49.83%, #4f4f4f 50%, #fff 50%, #fff 50% 54.12%, #4f4f4f 54.12%, #4f4f4f 58.24%, #fff 58.24%, #fff 62.40%, #4f4f4f 62.40%, #4f4f4f 66.49%, #fff 66.49%, #fff 70.59%, #4f4f4f 70.59%, #4f4f4f 70.79%, #fff 70.79%, #fff 75.09%, #4f4f4f 75.09%, #4f4f4f 79.19%, #fff 79.19%, #fff 83.32%, #4f4f4f 83.32%, #4f4f4f 87.46%, #fff 87.46%, #fff 91.57%, #4f4f4f 91.57%, #4f4f4f 95.68%, #fff 95.68%, #fff 100%)"
{{{#!wiki style="margin: -17px -10px"
<tablebordercolor=#4f4f4f,#4f4f4f><tablebgcolor=#fff,#fff>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파일:디시인사이드 로고 닷컴포함.svg
음악 갤러리
}}}}}}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0% 5.99%, #4f4f4f 5.915% 6.215%, #fff 6.215% 8.77%, #fff 8.77% 14.18%, #4f4f4f 14.155% 14.455%, #fff 14.455% 16.44%, #fff 16.44% 20.56%, #4f4f4f 20.495% 20.795%, #fff 20.795% 23.17%, #fff 23.17% 26.73%, #4f4f4f 26.665% 26.965%, #fff 26.965% 28.98%, #fff 28.98% 35.23%, #4f4f4f 35.23% 35.53%, #fff 35.53% 36.99%, #fff 36.99% 43.36%, #4f4f4f 43.295% 43.595%, #fff 43.595% 44.79%, #fff 44.79% 50%, #fff 50% 55.99%, #4f4f4f 55.915% 56.215%, #fff 56.215% 58.77%, #fff 58.77% 64.18%, #4f4f4f 64.155% 64.455%, #fff 64.455% 66.44%, #fff 66.44% 70.56%, #4f4f4f 70.495% 70.795%, #fff 70.795% 73.17%, #fff 73.17% 76.73%, #4f4f4f 76.665% 76.965%, #fff 76.965% 78.98%, #fff 78.98% 85.23%, #4f4f4f 85.23% 85.53%, #fff 85.53% 86.99%, #fff 86.99% 93.36%, #4f4f4f 93.295% 93.595%, #fff 93.595% 94.79%, #fff 94.79% 1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color: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 숫자·로마자 LP
ㄱ~ㄹ 가요 · 국내 포크 · 국내힙합 · 그랜드 피아노 · 노래연습 · 댄스 · 데스 메탈 · 도이치 그라모폰 · 동인 음악 ·
ㅁ~ㅇ 메탈 · 밴드 · 베이스 · 블랙게이즈 · 빌보드 · 써클차트 · 악기 · 외국 힙합 · 우타이테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 음반 · 인디밴드 · 인디 힙합 · 일렉트로니카 · 일렉트릭기타 · 일본 가수 · 일본음악
ㅈ~ㅎ 작곡 · 재즈 · 전자음악 · 즉흥 연주 · 케이팝 · 클래식 · 팝펑크 · 포스트락 · 포스트 하드코어 · 피아노 · 피아노mi · 힙합
ⓜ: 마이너 갤러리 / mi: 미니 갤러리
}}}}}}}}}}}} ||
<colbgcolor=#424D67><colcolor=#fff> 써클차트 마이너 갤러리
Circle Chart Minor Gallery
파일:circlechartgallery.jpg
주제 음원 차트 분석
개설 2017년 6월 14일([age(2017-06-14)]주년)
약칭 쎀갤
현재 상태 운영 중
링크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
2.1. 개설 과정
3. 문제점4. 특징 및 문화5. 여담6. 관련 문서

1. 개요

기타프로그램 갤러리에서 이주한 디시인사이드마이너 갤러리. 갤러리 자체는 2017년 6월 14일자로 개설되었으나 지금의 목적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한 건 2019년 5월 20일이다. 원래 갤러리명은 가온차트 마이너 갤러리였으나 2022년 7월 가온차트의 이름이 써클차트로 변경됨에 따라 갤러리의 이름도 같이 써클차트 마이너 갤러리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줄임말도 갗갤, 가온갤에서 쎀갤, 써클갤로 바뀌었다.

2. 특징

멜론, 지니, 플로 등 각종 음원 사이트와 멜론 그래프에 대해 이야기하는 갤러리다. 차트봇[1]과 자료를 정리하는 사람들이 있는 갤러리이기에 각종 정보를 얻기 위한 유입이 꾸준히 있는 편.

까질이 공식적으로는 금지되어 있다. 더불어 매출에 연관된 해외 성적, 주식에 관한 대한 이야기도 금지되어 있다. 남자 아이돌 팬덤이 깽판치는 것을 막기 위함.[2]

2020년 6월 멜론 실시간 차트 폐지 예고가 나오면서 "이제 갤 망했다, 갤주 지니로 바꾸자"는 등 자조적인 반응(?)이 나오고 있다. 그리고 7월 초 실제로 실시간 차트가 폐지가 되었으나 아직 5분/실시간차트의 소스가 남아있는지 차트봇이 중계를 하고 있다. 이후 실시간차트는 폐지됐지만 소스를 가지고 운영하는 가이섬 덕분에 갤러리 자체는 어느 정도 유지되고있다. 이주를 시작한지 2년 동안 유지되면서 정체성이 아직 그대로 유지 중이다.

하지만 2022년 4월 차트봇 운영자 가이섬이 학교 졸업과 함께 가이섬 사이트를 폐쇄하려고 한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갤러리의 정체성이 위협받았다. 사실 사이트 운영은 들어가는 노력에 비해서 별로 얻는 이익이 없기에 한계가 명확한 작업이었기 때문이다. 가이섬은 일단 대체자를 꾸준히 물색 중이라고 하고 회사에서도 오퍼가 들어왔다고는 하는데 본인은 돈을 받고 팔 생각이 전혀 없다고 한다. 9월 경 가이섬은 기존에 가이섬 프로젝트에 참여하던 인원들과 함께 팀 프로젝트 형식으로 운영을 할 것이라고 알렸다. 다만 운영 인력이 부족할 경우 언제든지 폐쇄될 수 있다고 한다.해당 공지

10월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인터넷 서비스 장애 사건으로 이 갤러리의 주요 컨텐츠 중 하나였던 멜론 5분 차트가 고장나면서 간접적으로 피해를 보게 되었다. 다른 서비스가 모두 정상화된 이후로도 고쳐질 기미가 보이지 않았는데 어느 순간 다시 정상화되었다.

2.1. 개설 과정

우선 기타프로그램 갤러리의 역사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2019년은 걸그룹 암흑기라고 불릴 정도로 걸그룹들의 성적들이 대체로 그다지 좋지 않았다. FANCY YOU가 발매된 4월을 기점으로 TWICE가 전보다 낮은 성적을 거두자 팬덤 세력이 잠깐 주춤하게 되는데,[3] 문제는 다른 걸그룹들도 그 자리를 뺏을 만한 성적을 내놓지 못했던 것이다. 이 즈음부터 깊갤은 도배가 굉장히 심해졌고, 디시인사이드 알바 측의 관리도 점점 손을 놓아 이주에 관한 말이 조금씩 나오기 시작한다.

이와 동시에 방탄소년단의 활약이 두각을 보이게 되고, 그 와중에 더쿠가 문을 잠깐 닫으면서 깊갤로 여초 세력이 대거 유입하게 된다. 깊갤은 남초 커뮤니티였으나 걸그룹 팬덤, 즉 남초 세력이 힘을 잃어버린 상태였기 때문에 갤러리의 여초화를 경계했던 몇몇 고닉들은 성적 마이너 갤러리로 첫 이주를 시도한다. 그러나 최초의 이주는 몇몇 고닉에 한정되었을 뿐이라 사실상 친목갤에 불과했으며, 깊갤의 까플은 더더욱 심해져 급기야 개념글에서 자료글까지 삭제되면서 깊갤이 가지고 있던 자료 갤러리의 정체성을 잃게 된다.

이 상황을 본 차트봇의 운영자 가이섬이 5월 16일 20시경 깊갤에서 차트봇의 운영을 멈췄고, 대신 파생갤로 여겨지던 성적갤에 그래프를 업로드하게 된다. 하지만 성적 마이너 갤러리는 깊갤에서 분리된 갤러리이기에 깊갤과 마찬가지로 까플이 허용되었기 때문에, 차트봇이 이주하면서 그를 따라온 어그로 세력이 까글을 념글에 도배하자 2시간만인 5월 16일 22시경 성적갤에서도 차트봇이 정지되고 만다.

이후 차트봇이 남아있는 갤러리는 가이섬이 자료 정리용으로 만들어둔 '그래프 마이너 갤러리'뿐이었고, 따라서 차트를 보기 위해 갤질하는 고닉들은 그래프 갤러리로 2차 이주를 하게 된다. 그래프 갤러리는 좋은 운영으로 각광받았지만, 운영진이 가이섬 하나밖에 없다는 문제 때문에 관리가 힘들었고 지나친 고나리들이 오가던 와중, 차트봇을 다시 데려오기 위한 깊갤의 어그로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은 가이섬이 이주 3일만인 5월 19일 21시경 갤러리 관리를 포기하고 차트봇을 멈추고 만다.

이에 남은 이주 세력들은 마지막으로 가온차트 마이너 갤러리에 정착한다. 원래 가온차트갤은 가온차트오리콘 자료를 정리하던 고정닉 크레마의 자료 저장 갤러리였다. 이 고닉이 갤러리 이주를 허락하고 자리를 내주었고, 새롭게 선정된 갤매들의 설득을 통해 5월 21일부로 차트봇이 가온갤에서 운영을 재시작하면서 이주 세력들은 지금의 가온차트 갤러리로 완전히 정착하게 된다.

한편 갤러리의 여초화를 경계한 최초 이주 세력들은 깊갤과는 분위기나 특성이 많이 달라진 가온차트 갤러리로 완전히 흡수되지 못했다. 이들은 여러 갤러리를 거쳐 케이팝 마이너 갤러리로 정착하게 된다. 즉 깊갤은 두 가지 파생마갤로 나뉜 셈이다.

3. 문제점

깊갤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답습했다.

4. 특징 및 문화

그러나 가온차트 마이너 갤러리 시절의 전성기에는 엄연히 게이컨셉을 잡으면 어그로로 취급하면서 퀴어혐오까지 하며 걸그룹의 성적을 말하던 곳이라 사실상 깊갤과 똑같이 과거의 가이섬의 망령빨로 굴러가는 흔한 디시의 연예 마이너 갤러리이다.

5. 여담

6. 관련 문서



[1] 각종 음원 사이트의 그래프를 시간대에 따라 이미지로 따오는 봇. 특히 멜론(음원 서비스)의 5분차트를 따오는 차트봇이 유명하다.[2] 깊갤이 망하게 된 이유가 바로 이것이기 때문이며, 이러한 매출 관련 갤플은 대다수가 정확한 정보가 아닌 증권가 찌라시+예측 기사에 글쓴이의 뇌피셜까지 들어가서 팬덤+주식충간의 머릿수 싸움으로 들어가면 서로 념글을 올리고 내리고 하고, 아이돌 팬덤 특유의 '왜 쟤네 건 지우고 우리 건 안 지우냐' 까지 합쳐지면 끝이 안 난다. 그러니 아예 막아버리는게 편한 것.[3] 물론 FANCY YOU 발매 당시의 경쟁상대가 누구인지 알필요는 있다.[4] 안지영과 우지윤의 불화설 등 여러 떡밥이 주기적으로 끌올됨[5] 윤하를 윤님이라고 지칭하며 윤하의 여러 명곡들을 칭송함. 벨트 떡밥이 주기적으로 끌올됨.[6] 솔라의 솔로곡인 COLORS가 큰 인기를 끌고있음[7] Shopper의 음원 추이에 감탄하며 녹아내려요 등 성적이 급하락 한 곡을 두고 ‘쇼퍼했다’고 칭하는 등 여러 떡밥이 주기적으로 언급됨.[8] 조혜련을 련님이라고 지칭하며 아나까나 등 곡을 간혹 언급함[9] 줄게가 여러 커뮤니티에서 신드롬을 일으키며 자연스럽게 언급됨[10] 효연의 솔로곡 DEEP을 밈으로 쓰며 털털한 성격 탓에 생겨난 짤이 자주 올라온다.[11] 음원차트 성적을 자주 언급함[12] 민니의 실화임? 인스타그램 스토리, 슈화의 배민 리뷰, 잦은 연간 2위 등이 언급된다.[13] 브브걸이 재데뷔할 때 한 팬이 팀명을 추천하는 글을 올렸는데 영어 철자를 거꾸로 써서 슬릭에바브(slrig evarb), 누오이님(gnuoynim), 누주오이(gnujuoy), 이즈누에(ijnue), 아누이(anuy), 셀라에프(sselraef)라고 지은 것이 밈화되어 자주 쓰인다. 누오이님, 누주오이의 맨앞 g는 묵음인 것과 누오이님을 높여불러 '누오이님님'이라 하는 것이 깨알 포인트.[14] 2025년 6월 ALLDAY PROJECT로 데뷔했다.[15] 멤버가 탈퇴하고 음원 성적이 상승한 경우[16] 잡덕 미난보, 르세라핌 전 멤버 김가람의 팬 .치즈, 권정열, 에이핑크 김남주의 개인 팬 소핑(10CM), 여자친구 예린의 개인 팬 전기차(IONIQ5), QWER의 팬 화월(내맑음), 데이식스의 팬 윤도공(돈덩이, 뱉어) 등등[17] 티아라 소연의 구릿빛 피부가 부럽다는 말에 대해 효린이 태우면 되잖아? 라고 말했던 것에서 유래.[18] 브브걸 마이너 갤러리의 한 유저가 Brave girls의 배열을 뒤집어서 사용하는 것이 어떤지 추천하는 글에서 유래되었다[19] 슬릭 에바브와 같은 방식으로 생겨난 민영의 별명[20] 곡의 퀄리티와 상관없이 노래를 좋아하지 곡퀄은 구리다고 패는 경우가 많다.[21] 엔믹스가 대표적임[22] STAYC의 Cheeky Icy Thang, GPT, i-dle Good Thing 등이 대표적이다[23] 아이유의 Shopper, DAY6의 녹아내려요 등[24] TWICESIGNAL, 여자친구FINGERTIP, aespaGirls, IVEBaddie 등.[25] 써니효연의 노웨이홈 ost 지니 5분 성적을 바탕으로 '써효'했다 라고 사용하는 등[26] 케이팝 마이너 갤러리, 여자아이돌 마이너 갤러리 등 다른 아이돌 관련 갤러리에서 이런 자료들을 퍼가기도 한다.[27] 속칭 '통검단'이라 불리우며, 꼭 트로트 팬덤이 아니더라도 고령화된 여초 팬덤이면 웬만해선 다 있다. 가수들과 전혀 관련이 없는 갤러리까지 난입해서 개인 평을 쓴 글에까지 열등감 운운하며 여론 통제를 하려 들며,통합검색에 걸리는 몇 시간 후부터 몇달 전 글까지 전부 난입해서 댓글을 달고 가기 때문에 디시에서 이미지가 매우 나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