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3 13:54:25

경청(EBS FM)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경청(EBS FM)/방영 목록
#!if top2 != null
, [[]][[]]
#!if top3 != null
, [[]][[]]
#!if top4 != null
, [[]][[]]
#!if top5 != null
, [[]][[]]
#!if top6 != null
, [[]][[]]
#!if top7 != null
, [[]][[]]
파일:EBS FM 로고.svg (월~토)
윤고은의 EBS 북 카페 (재)
(20:00~22:00)
청소년 소통 프로젝트 경청
(22:00~00:00)
이승열의 세계음악기행 (재)
(00:00~02:00)
청소년 소통 프로젝트 경청
파일:경청신로고.png
방송채널 파일:EBS FM 로고.svg
방송시간 월 ~ 토요일 밤 10시 ~ 12시[1]
첫 방송일 2013년 2월 25일
2016년 9월 4일[2]
현 진행자 원어스, Kep1er, 더보이즈 (2025.02.24. ~)
웹사이트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3] 공식 홈페이지[4]

1. 개요2. 역사
2.1. 심야 생방송 상담 프로그램 (2013.02.25 ~ 2014.02.21)2.2. 청년 대상 소통 프로그램 (2014.02.24 ~ 2014.08.22)2.3. 청소년 소통 프로젝트 (2016.09.04 ~ 현재)
3. 진행자 목록4. 코너
4.1. 고정 코너
5. 방영 목록6. 여담
6.1. 청디 시절6.2. 센디 시절6.3. 금잔디 시절6.4. 주디뉴디 시절6.5. 짼디 시절6.6. 우정DJ 시절6.7. 웅디동디 시절6.8. 웅디숀디 시절
7. 둘러보기

1. 개요

오늘의 끝에서 시작되는 우리의 이야기
청소년 소통 프로젝트 경청

EBS FM에서 월요일~토요일 밤 10시~12시까지[5] 방송하는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 프로그램의 정식 명칭은 청소년소통프로젝트 경청이다. DJ는 원어스(월~화), Kep1er(수~목), 더보이즈(금~토)이다.

2016년 9월 4일에 현재 포맷[6]으로 첫 방송을 시작했으며, 청취 주 대상은 10대 청소년이지만 20대들[7]도 많이 듣는 편[8]이다.

생방송일 때는 보이는 라디오가 진행되니, 시간에 맞춰 반디앱이나 온에어 페이지 또는 유트브 "EBS 청소년 소통 프로젝트 경청" 채널로 들어가보자. 매주 월요일마다 인스타그램에 올라오는 WEEKLY GUEST에서 해당 날짜에 "📺"표시가 있으면 생방송이며 무표시면 녹음방송이다. 예시[9]

2025년 2월 24일 이후의 방송분 부터 생방송 회차에 한해서만 유튜브 다시보기가 가능하며 녹음방송 회차의 경우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유튜브 다시보기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경청 홈페이지의 다시듣기를 이용해야 한다.

또한, 2020년 4월 5일부터 2022년 3월 6일까지 DJ가 자주 바뀌었으며 2021년 한해에만 경청DJ가 무려 3번 바뀌었다.[10][11]

2. 역사

사실 '경청'이란 이름을 단 프로그램은 의외로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2013년 봄 개편을 통해 처음 방송되었으며, 취지와 포맷의 변화, 공백기를 거쳐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2.1. 심야 생방송 상담 프로그램 (2013.02.25 ~ 2014.02.21)

첫 시작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심야 생방송 상담 프로그램이었다. 편성 시간대는 매주 월요일~금요일 자정부터 다음 날 새벽 2시까지. 개편 설명회나 관련 보도, 홍보자료를 보면 청소년 자살 방지 프로그램으로 소개하고 있다. 모바일 앱, 문자 메세지, 홈페이지 게시판을 활용해 상담 신청을 받았으며, 선정된 신청자를 대상으로 전화로 상담을 진행하였다. 처음에는 '경청지기'로 불리는 10명의 DJ가 요일마다 돌아가며 진행하는 방식이었다. 2013년 가을 개편 때는 프로그램 연출 담당 PD + 요일별 경청지기가 함께 진행하는 형태로 변경되었다. 대상도 10대 청소년과 더불어 청년까지 확대했으며, 이에 맞게 슬로건도 '청소년 청년을 위한 한밤의 고민 상담소'로 바뀌었다. 당시 트위터 계정은 여기.

2.2. 청년 대상 소통 프로그램 (2014.02.24 ~ 2014.08.22)

2014년 봄 개편을 기점으로 20대 청년층을 대상으로 사연과 음악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으로 형태가 바뀌었다. 이에 맞게 부제를 '이야기와 음악이 있는 밤’으로 달았다. 편성 시간대는 이전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피아니스트 윤한이 단독으로 DJ를 맡았다. 요일별 코너가 마련되었고, 이 중에는 책이나 영화를 소개하는 코너도 존재했다. 전체적으로 상담보다는 힐링과 공감에 초점을 맞춘 편. 당시 트위터 계정은 여기. 프로그램이 폐지되며 2016년 가을 개편 전까지 공백기를 가지게 되었다.

2.3. 청소년 소통 프로젝트 (2016.09.04 ~ 현재)

파일:청소년 소통 프로젝트 경청 로고.png
청하부터 AB6IX 진행 시기까지 사용한 로고.
청소년들의 고민은 늘어나고 마음 편하게 이야기할 곳이 없어지는 요즘.
그들이 이야기를 함께 듣고, 공감하고, 소통하는 청소년 공감 소통 프로젝트.[12]
2016년 가을 개편을 통해 '경청'이 부활하게 되었다. 주청취층을 방송 초창기처럼 10대 청소년으로 환원한 대신, 소통에 초점을 두고 이전보다 좀 더 밝은 분위기로 꾸며졌다. 방송 시간도 크게 바뀌어 평일 심야 데일리 프로그램에서 매주 일요일 밤 시간대 프로그램으로 축소되다 8년 6개월만에 다시 심야 데일리 프로그램으로 환원되어 3팀의 DJ로 구성됐다.

3. 진행자 목록

청소년 소통 프로젝트 경청 역대 진행자
순번 진행자 애칭 진행 시기
1 키썸 - 2016.09.04 ~ 2017.08.27
2 청하 청디 2017.09.03 ~ 2019.09.01[13]
3 정세운 센디 2019.09.08 ~ 2020.10.25
4 투모로우바이투게더
태현, 휴닝카이[14]
태현: 금디
휴닝카이: 잔디[15]
2021.01.10 ~ 2021.05.02
5 더보이즈
주연, 뉴
주연: 주디
뉴: 뉴디
2021.05.23[16] ~ 2021.08.08[17]
6 김재환 짼디 2021.09.05 ~ 2022.01.30
7 ENHYPEN
선우, 정원
선우: 우디
정원: 정디[18]
2022.02.20[19] ~ 2022.06.26
8 AB6IX
전웅, 김동현
전웅: 웅디
김동현: 동디
2022.07.17 ~ 2023.07.16
9 원어스
환웅, 시온
환웅 : 웅디
시온 : 숀디[20]
2023.11.19 ~ 2025.02.23
10 원어스 환웅, 시온(월~화)
Kep1er 김채현, 서영은(수~목)
더보이즈 제이콥, 케빈(금~토)
환웅, 시온: 웅디, 숀디
김채현, 서영은: 채디, 영디
제이콥, 케빈: 배디, 문디[21]
2025.02.24 ~ 현재

4. 코너

4.1. 고정 코너

고정 코너는 오늘의 마지막 출석체크를 제외하고는 모두 1부에서 진행된다. 주로 청취자가 보낸 사연을 소개하는 시간이다.
====# 폐지된 고정 코너 #====
===# 주요 주간 코너(일요일 방송 시절) #===
매주 다른 코너로 진행되며, 순서는 랜덤. 대부분 2부에서 진행한다. 초기에는 정기적으로 준비된 코너가 있었으나, 현재는 다양한 특집들로 꾸며지는 터라 큰 의미는 없다. 해당 단락 내 작성된 코너들은 경청에서 2회 이상 방송된 코너들이다.

5. 방영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청(EBS FM)/방영 목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청(EBS FM)/방영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청(EBS FM)/방영 목록#|]][[경청(EBS FM)/방영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여담

6.1. 청디 시절

6.2. 센디 시절

6.3. 금잔디 시절

6.4. 주디뉴디 시절

6.5. 짼디 시절

6.6. 우정DJ 시절

6.7. 웅디동디 시절

6.8. 웅디숀디 시절

7. 둘러보기

파일:EBS FM 로고.svg
<rowcolor=#fff>
05:00 <초급 일본어>'야사시이 일본어' <중급 일본어>'타노시이 일본어' <초급 일본어>'야사시이 일본어'(재)
05:20 <초급 중국어> <중급 중국어>
05:40 김대균 토익킹
06:00 Easy writing <초급 중국어>(재)
06:20 귀가 트이는 영어
06:40 입이 트이는 영어
07:00 Start English (영어회화 레벨1) 오디오 어학당 스페셜
07:20 Easy English (영어회화 레벨2)
07:40 Power English (영어회화 레벨3)
08:00 최수진의 모닝 스페셜[YT1]
09:00
10:00 정경의 클래식 클래식[YT2][3]
11:00
12:00 윤고은의 EBS 북 카페
13:00
14:00 이승열의 세계음악기행[YT2]
15:00
16:00 아이돌 한국어
17:00 Easy Writing(재) 김대균 토익킹(재)
17:20 귀가 트이는 영어(재)
17:40 입이 트이는 영어(재)
18:00 이브닝 스페셜[YT1]
19:00 Start English (영어회화 레벨1)(재) 김대균 토익킹(재)
19:20 Easy English(영어회화 레벨2)(재)
19:40 Power English(영어회화 레벨3)(재)
20:00 윤고은의 EBS 북 카페(재)
21:00
22:00 청소년 소통 프로젝트 경청 <중급 일본어>'타노시이 일본어'(재)
23:00
24:00 이승열의 세계음악기행(재)
01:00
02:00 SIGN OFF
03:00
04:00
04:55 여기는 EBS 교육방송입니다

[YT1] 평일 방송분이 유튜브에서 라이브로 방송된다.[YT2] 생방송의 경우 유튜브에서 라이브로 방송된다.[3] 영어듣기평가가 시행되는 날에는 11시에서 11시 20분까지 듣기평가음원을 방송하기 때문에 2부 방송시간이 20분 더 줄어든다.[YT2] [YT1]



[1] 2016년 9월 4일부터 매주 일요일 방송이었으나 2025년 2월 24일부로 EBS 정기개편이 시행되어 밤의 라디오의 뒤를 잇고 있다.[2] 현재 포맷 기준[3] 2021년 9월 7일 경에 새로 오픈한 채널이다.[4] 다시듣기가 오디오e지식으로 개편되면서 로그인이 필요하며 로그인 없이는 1분만 들을 수 있다.[5] 2025년 2월 23일 이전까지는 매주 일요일 밤 10시부터 12시까지였다.[6] 일요일 밤 시간대 편성, 10대 청소년 대상. 현재 포맷이라 한정지은 이유는 아래 역사 항목 참조.[7] 사실 20대 초중반도 엄밀히 말하자면 청소년 범주에 들어갈 수 있다. 청소년 기본법 3조 1항에 따르면 청소년의 범위를 24세까지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을 진행했던 97년생 정세운도 2022년 생일 전까지는 청소년이다.[8] 방송 중 DJ와 작가들이 자주 언급하기도 하고, 간혹 대학생이나 20대 사회초년생의 사연이 소개된다.[9] 보통 생방송은 월, 수, 금요일이지만 DJ의 사정에 따라 변동 가능하다.[10] 2021년 1월 10일 투모로우바이투게더(태현, 휴닝카이), 2021년 5월 23일 더보이즈(주연, 뉴), 2021년 9월 5일 김재환 이렇게 3번 바뀌었으며 2022년 2월 20일에 시작한 엔하이픈의 경청 역시 컴백 시기가 임박해지자 경청DJ를 졸업하였다. 이로서 김재환을 제외하고는 컴백 시기의 임박에 따른 징크스를 깨지 못했으나 이후 AB6IX에서 징크스가 깨졌다.[11]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경우 2021년 5월 2일 경청DJ를 졸업 후 5월 31일에 혼돈의 장: FREEZE를 발매하였으며 더보이즈의 경우 2021년 8월 8일 졸업 후 8월 9일에 THRILL-ING을 발매하였으며 엔하이픈의 경우 2022년 6월 26일 졸업 후 7월 4일에 MANIFESTO : DAY 1을 발매했다.[12] 방송 초기 다시듣기 소개 문구[13] 역대 최장기 DJ[14] 역대 최초 더블 DJ[15] 합쳐서 금잔디. 금디의 유래는 금발의 DJ, 잔디의 유래는 잔잔한 목소리의 DJ라고 한다.[16] 킹덤 레전더리 워 촬영 당시 함께했던 댄서의 코로나 확진으로 인해 2주 자가격리를 하게 되어 출연이 밀렸다.[17] 역대 최단기 DJ[18] 합쳐서 우정DJ.[19] ENHYPEN 선우의 코로나19 확진으로 인해 잠정적으로 1주 미뤄졌다.[20] 스페셜DJ 시절에는 환웅은 환디, 시온은 온디로 불리웠다.[21] 배디, 문디의 유래는 제이콥의 한국명 배준영의 "배"와 케빈의 한국명 문형서의 "문"을 땄다고 한다.[22] 투모로우바이투게더는 4개월, 더보이즈는 3개월, 김재환은 5개월, 엔하이픈은 4개월 안팎으로 매우 짧았다.[23] 단, 더보이즈의 경청은 응답하라 경청스쿨, 일주일기, 본코너, 풀버전 이런 식으로 업로드됐다.[24] 2022년 1월 30일에 졸업한 김재환의 경청의 경우 2021년 12월 5일 방송부터 2022년 1월 16일 방송까지 연속으로 녹음방송을 했었고 2022년 6월 26일에 졸업한 ENHYPEN의 경청의 경우도 2022년 4월 17일부터 녹음방송 횟수가 갑자기 늘어났고 2023년 7월 16일에 졸업하는 AB6IX의 경청 역시 2023년 4월 2일부터 녹음방송 횟수가 갑자기 늘어났다.[25] 2020년 10월 25일 정세운의 경청 졸업 이후 2021년 1월 10일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경청 사이의 공석 기간이 10주였다.[26] 이 멘트는 센디, 잔디, 주디뉴디까지 이어져 오다 짼디때부터 이 멘트를 하지 않는다.[27] 2019.07.21. 1부 방송분[28] DIMENSION : DILEMMA의 수록곡[29]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경청에 이어 두번째로 녹음방송으로 진행되었다. 다만,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경청과는 달리 유튜브 선행 라이브가 있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