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3 11:12:12

광저우한국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광저우한국학교.png
학교 전경
<colbgcolor=#003876><colcolor=#fff> 광저우한국학교
Guangzhou Korean School
广州韩国外籍人员子女学校
파일:광저우한국학교1.png
국가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분류 해외 한국인 학교
개교 2013년 9월 2일
학생 수 408명[1] (2025년 기준)
성별 남녀공학
교장 4대 박귀자
홈페이지 광저우한국학교 공식 홈페이지
교훈 나는 자랑스러운 한국인이다[2]
1. 개요2. 연혁3. 역사4. 학교 상징
4.1. 교표4.2. 교화 및 교목4.3. 교훈4.4. 교가
5. 학교 특징
5.1. 학생5.2. 학교 일과5.3. 교육
6. 학교 시설7. 주요행사8. 출신 인물9. 여담

1. 개요

중국 광저우시 판위구 아시안게임시티(야윈청)에 위치한 한인학교.

2. 연혁

2012.04.03. 광저우한국학교 설립추진위원회 발족
2013.09.02.광저우한국학교 개교(중국소학교 일부 건물 임대)
2014.02.07. 한국 교육부 설립인가 취득
2015.03.25.초대 권종원 교장 부임
2017.08.18.야윈청 신축교사로 이전
2017.09.01.신축 광저우한국학교 개교식
2018.03.01.제2대 박대성 교장 부임
2021.03.01.제3대 김성희 교장 부임
2024.03.01.제4대 박귀자 교장 부임

3. 역사

광저우한국학교는 2012년 9월 27일 '광저우한국학교'설립신청서를 중국 광동성 교육청 및 한국 교육부에 각각 제출, 중국 정부로부터는 지난해 7월 24일 정식으로 학교설립 허가를 취득했다.

이에 따라 교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기금모금, 학교건물 확보, 교사 및 학생모집, 철저한 학사준비 등을 통해 지난 2013년 9월 2일 '광저우한국학교'가 역사적인 개교를 했다.

이 후 광저우한국학교는 한국 정부의 허가를 받기 위해 끊임없는 자료보완과 협조요청을 통해 한국 교육부의 현지실사를 통과했고 드디어 지난 2월 7일자로 한국 교육부에서 정식으로 학교설립 승인을 받게됐다.

2017년 08월 18일에 판위구 아시안게임시티 신축교사로 이전을 하였다.

4. 학교 상징

4.1. 교표

파일:광저우한국학교1.png[3]
교표의 둥근 모양은 지구촌에서 함께 어우러져 살아가는 학생들의 모습, 언어와 색상은 영어와 한국어를 사용했으며 받침은 학생들의 푸르른 꿈인 파랑. 테두리 안은 태극무늬인 노랑,빨강,파랑색을 배치한 전통적인 느낌. 가운데 지도는 중국과 한국이 서로 융합되어 나아가는 모습, 중심속 GKS는 중국에서 더 나아가 세계에 우뚝 서는 광저우한국학교의 모습을 상징하고 있다.

4.2. 교화 및 교목


4.3. 교훈


4.4. 교가

파일:광저우한국학교교가.png

5. 학교 특징

5.1. 학생

2024년 12.31일 기준 초등 152명, 중등 115명, 고등 141명으로 구성되어 총 408명이다.

5.2. 학교 일과

파일:광저우한국학교시정표.jpg
중학생과 고등학생이 똑같이 45분 수업이다. 초등학생은 40분 수업으로 시정표가 조금 다르다.

5.3. 교육

초등 중등 고등 전부에서 영어회화와 중국어를 분반별 학습으로 진행한다. 수준에 따라 3개의 반으로 나누고 있다.

외부기관과 연결 되는 특색활동을 많이 만들어서 운영하고 있다. 분야는 진로, 의학, 역사, 한국어, 관광홍보, 문화, 예술, AI등 아주 다양하다.

중, 고등을 대상으로 야간자율학습, 선택과목, 동아리[4], 자율동아리[5], AP 공동교육과정 등의 활동을 운영한다.

6. 학교 시설

파일:광저우한국학교시설.png
처음에 있는 위성 사진은 설립 당시이며, 주변이 허허벌판이였지만, 현재는 고층 아파트 중심지에 자리잡고 있으며 몹시 번잡하다.

2층은 초등, 3층은 중등, 4층은 고등학생들의 학급반이 위치하여 있다. 4층에는 정자가 시공되어 있으며, 5층은 강당과 음악실이 자리잡고 있다.

7. 주요행사

3월12학년 입학 컨설팅, 진로탐방(현대,LG등), 글로벌 리더십 수련회, 역사통일 골든벨
4월융합과학탐구토론, 중산대학교•남방과기대학교 탐방, 미술콘텐츠 창작대회
5월영어백일장, 젊은 작가상, 수학 올림피아드, 중국어 발표대회, 체력왕 선발대회
6월진로적성검사, 출정식, 1차 전편입고사
7월학교스포츠클럽 축제
8월2차 전편입고사
9월글로벌 리더십 수련회, 모의토플, 수학여행, 현장체험학습, 국어활용능력 경진대회, 체육한마당
10월독도의 날, 인공지능 해커톤
11월진로학술제, 진로페스티벌, 과학 올림피아드, 영어발표회, 수학올림피아드
12월인문사회 올림피아드, 동아리발표회/산돌림제, GKS 오케스트라 공연
12월에 열리는 동아리발표회 / 산돌림제는 학기 말에 진행되는 행사이다. 오전에는 다양한 동아리가 체험부스를 열어서 그동안 했던 결과물을 발표한다. 오후에는 산돌림제가 진행되며 반별 공연과 다양한 개인 공연을 선보인다.

8. 출신 인물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9. 여담

북경한국국제학교,상해한국학교 하노이한국국제학교,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에 비교하여 규모가 적지만 학생 수 대비 항상 좋은 입시 성적을 내고 있다.재외국민특별전형수시 전형을 통해전체 학생의 90% 이상이 인서울 대학교에 입학하며 2024년에는 최초로 서울대학교 합격생을 배출해 냈다.

학생들을 위하여 다양한 대외활동을 마련해 놓고 있다. 지역 병원, 한국관광공사, 한글학교, 다문화 학부모 한글 수업, 중국대학교 등과 연계하여 봉사활동을 실시하고 있으며, 내실있는 생기부 작성에 도움을 주고 있다.

다시한번 근처로 학교를 이전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시기는 2026~2027년으로 추정하고 있다.

중국이 크리스마스를 공휴일로 지정하지 않아서 상해한국학교는 재량휴업일로 쉬지만, 광저우한국학교는 크리스마스에 정상 등교를 한다.

화남지방 특성상 3~4월에 태풍급의 날씨가 오는데 이때는 등교시간이 늦춰지기도 한다.
[1]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전부 함께 있다.[2] 학교 정문 벽에 해당 글귀가 쓰여져 있다.[3] 북경한국국제학교, 무석한국학교, 천진한국국제학교, 연변한국국제학교, 상해한국국제학교, 선양한국국제학교, 소주한국학교, 대련한국국제학교랑 교표가 비슷하다.[4] 중학생부터는 학생의 임의로 동아리를 만들 수 있다.[5] 교외 시간에 따로 모여서 동아리 활동을 하는 동아리(학생 임의로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