괭생이모자반[1] | |
학명 | Sargassum horneri (Turner) C.Agardh |
분류 | |
<colbgcolor=#89FFFF,#099> 계통군 | SAR 상군SAR supergroup |
문 | 대롱편모조식물문Ochrophyta |
강 | 갈조강Phaeophyceae |
목 | 말목Fucales |
과 | 모자반과Sargassaceae |
속 | 모자반속Sargassum |
종 | 괭생이모자반S. horneri |
[clearfix]
1. 개요
톳과 비슷하게 생긴 갈조류 모자반과의 해조류. 길이는 보통 3∼5m이고, 잎은 가장자리가 톱니 모양으로 갈라져 있다.음식으로 먹을 수 있는 '참모자반'[2]과는 같은 모자반과에 속한다. 공기주머니가 달려 있는 것도 같다.
2. 높은 번식력과 유해성
여느 해조류처럼 포자를 통해 해류를 타고 번식하는 점은 공통이지만, 친척인 모자반보다도 훨씬 많고 튼튼한 공기주머니를 여러 개 달고 있기 때문에 다른 해조류보다도 멀리 퍼지기 유리하다. 더군다나 아래에서 언급할 대로 웬만한 황조류보다 세포 조직이 굉장히 튼튼하다보니 천적도 많이 없어 생존률도 높다. 그러니 번식을 거듭하면서 다른 해조류들을 몰아내는 건 기본이고, 후반에는 너무 많이 쌓여서 썩기 시작하며 부패물에서 암모니아를 풍기는 등 환경오염까지 일으킨다.전 세계적으로 중국산 왕생이모자반이 골치인데 남미 및 북미 국가들의 해안에서 대량으로 증식했고 2010년도 대한민국에서도 황해를 중심으로 중국산 괭생이모자반이 왕성하게 번식하기 시작하여 해당 지역 어민들이 골치를 앓고 있다. 양식장 그물에 번식해서 김이나 미역과 같은 양식 해조류를 몰아내는 건 기본이요, 조개처럼 배에 덕지덕지 들러붙어 배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채취해서 먹으면 그만 아닌가 할 수 있는데, 참모자반과 같은 모자반과에 속하기에 먹을 수는 있지만 참모자반보다 훨씬 질기고 억세기 때문에 요리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중국 연안의 것들은 온갖 오염 물질이 농축되어 있어서 국내 해안에서 자란 괭생이모자반보다 훨씬 해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