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貿易收支 / Trade Balance국제수지[1] | 경상수지 | 무역수지 |
무역외수지 | ||
자본수지[2] | 단기자본수지 | |
장기자본수지 |
2. 요인
- 무역 관세, 무역 마찰
- 토지, 노동, 자본, 세금, 인센티브 등의 생산 비용
- 원자재, 중간재 등의 비용과 원활한 이용 가능성
- 환경, 보건, 안전 기준과 같은 다양하고 복잡한 비관세 장벽
- 수입을 위해 청구하는 적절한 외화의 유통
- 해당국의 본국에서 제조되는 제품 가격
- 환율 변동(고환율, 전환율 등)
3. 국제수지표 보는법
국제수지표는 수능 등 각종 경제 시험 빈출 개념이고 실생활에서도 쓸 일이 많다.우리가 보는 국제수지표는 흔히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大 | 中 | 小 |
경상 계정[3] | 상품 및 서비스 | 상품 |
서비스 | ||
소득 | ||
경상이전 | ||
자본 계정[4][5] | 투자수지 | |
기타 자본수지 | ||
(준비 자산 증감)[6] | - | |
오차 및 누락 | - |
4. 관련 항목
[1] 일정 기간에 발생한 국가의 대외경제거래를 통해 수취한 외화와 지급한 외화의 차액. 이것을 기록한 것이 국제수지표.[2] 상당수의 교과서가 이렇게 쓰지만 한국은행에서 공식적으로 쓰는 명칭은 자본·금융 계정이다. 명칭이 최근 개정되어, 개정전 발행된 교과서들이 이를 반영하고 있지 않아 그런것. 개정 이후에 나온 교과서들은 명칭변화를 반영하고 있다.[3] 우리나라가 외화를 많이 벌면 값이 커지고 외화를 많이 지출하면 그 반대이다.[4] 장기 자본 이동, 단기 자본 이동 및 금의 이동 등. 우리나라가 주식 등을 팔면 외화가 쌓이므로 값이 커지고 그 반대의 경우 값이 감소한다.[5] 대외채권 채무의 변화는 자산 부채의 순 증감액으로 표시된다.[6] 우리나라의 경제주체들이 외국에 지급을 준비하는 차원에서 모아둔 자본, 즉 무역 흑자라고 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