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8 18:09:52

기해진연의궤

1. 개요2. 내용3. 궁중 음식4. 복원

1. 개요

己亥進宴儀軌. 조선 숙종 45년인 1719년 9월 28일에 숙종이 59세의 나이로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가게 된 것을 축하하는 의미에서 당시 경희궁에 열렸던 잔치에 대한 모든 것들을 글과 그림으로 남긴 조선왕실의궤. 총 2권 2책.

2. 내용

1719년 9월 28일 숙종의 기로소 입소를 경하하는 진연을 기록한 것으로, 원래는 4월 3일에 진연이 있을 예정이었으나 숙종이 백성들에게 모범이 되지 못하게 사사로이 임금으로서 향락을 채울 수 없다며 거절하였고, 9월 3일에 규모를 최대한 간소하게 하여 작은 규모로 시행하게 명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전에는 종친과 의빈 등을 포함하여 220여명이 진연에 참가하였으나 이때는 172명으로 수가 크게 줄어들었다.

이날 잔치에는 부자(父子)의 도(道), 군신(君臣)의 의(儀), 장유(長幼)의 예(禮)를 담아 남성 무용수들이 초무, 아박무, 향발무, 무고, 광수무 등의 정재를 엮어 추는 '숙종 기해 진연의(肅宗 己亥 進宴儀)'가 창작 공연되었으며, 그 외에도 참석 인원들에게 주어진 음식의 종류와 재료, 악공과 무동의 관보, 공연의 절차마다 쓰였던 각종 음악과 춤, 쌀과 베로 지급한 급료의 액수는 물론 행사 과정에서 사용된 화로와 빗자루 등의 물품, 시위 군사들이 마신 술잔의 수와 안주까지 상세히 기록되었다.

3. 궁중 음식

이 부분은 한식 아카이브 : 기해진연의궤 항목을 참조하였습니다.

기해진연의궤에는 1700년대 초 우리 나라 궁중 음식들의 자세한 모습과 조리 방법 및 사용 재료 등 각종 레시피가 상세히 수록되어 있다.

나오는 음식들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세한 내용들은 한식 아카이브 사이트의 음식 관련 내용 카테고리를 참조할 것.

별행과상
음식명 재료
소약과(小藥果) 진말(8승), 청밀(3승), 진유(3승4합)
홍세한과(紅細漢果) 진말(8승), 백당(1근), 청밀(3승), 흑탕(5합), 진유 2승4합, 출유(5합), 지초(3양)
백세한과(白細漢果) 진말(8승), 백당(1근), 청밀(3승), 흑탕(5합), 진유(2승4합)
백은정과(白銀丁果) 진말(8승), 진유(2승4합), 청밀(3승)
분송화다식(粉松花茶食) 진말(8승), 송화말(1승), 청밀(3승)
절전복(折全卜) 대전복(3곶)
건치절(乾雉折) 문어(반미)
포도(葡萄) 포도(7송이)
유자(柚子) 유자(25개)
생리(生梨) 생리(15개)
수침시자(水沈柿子) 홍시자(25개)
연근정과(蓮根正果) 연근정과(1승5합)
진염수당안(進鹽水唐雁) 당안(1수), 진유(5석), 간장(2합), 호초말(3석), 생강(2전), 실백자(3석), 계란(3개)
진만두(進饅頭) 진말(8승), 염(3석), 실백자(1합), 기주미(3합), 생강(5전), 작본미(1합5석), 간장(2합), 생치(1수), 기화(1승5합), 계아(1수), 저전각(1개), 송용(3개), 표고(3량)

찬안상
음식명 재료
소약과(小藥果) 진말(5승), 청밀(2승), 진유(1승5합)
세면(細麵) 녹두말(1승5합), 오미자(5합), 백청(5합), 실백자(3석)
양숙편(䑋熟片) 양(반부), 호초말(1석), 간장(2합), 계란(3개), 표고(3량), 진유(5석), 생간(2전), 실백자(3석)
추복탕(搥卜湯) 추복(10첩), 실백자(3석), 계아(1수), 염(3합)
병시(餠匙) 진말(3승), 표고(5양), 저갈비(1척), 생간(3전), 생치(1수), 실백자(1합), 계란(5승), 진유(2합), 호초말(5석), 생산(10개), 간장(5합), 송용(3개), 계아 (1수)
석류(石榴) 석류(25개)
천엽어음구(千葉於音灸) 천엽(1부), 호초말(5석), 계아(1수), 표고(3량), 생치(1수), 간장(5합), 생간(5전), 계란(5개), 녹말 (1승), 실백자(3합), 진유(2합)
백미자(白味子) 진말(5승), 흑탕(5합), 청밀(2승), 백당(1근)
고제탕(苽制湯) 계아(1수), 표고(2량), 생치(1수), 생우(1전), 대생선(반미), 진유(2합), 청고(10개), 호초말(2석), 우설(1부), 실백자(1합), 간장(1합), 계란(3개), 염수 (3합), 녹두말(7합)
골만두(骨饅頭) 우골(5부), 녹두말(5합), 생치(1수), 진유(3합), 계아(1수), 간장(4합), 표고(3량), 초(4합), 호초말 (5석), 생산(10개), 생우(5전), 송용(3개)
부어증(鮒魚蒸) 대부어(5미), 호초말(3석), 간장(2합), 계란(3개), 계아(1수), 진유(1합), 생치(1수), 생우(2전), 표고 (2전), 진말(5합), 송용(3개)
생복어음구(生卜於音灸) 대생복(25개), 간장(2합), 표고(2전), 진말(5합), 계란(3개), 진유(1합), 호초말(2석)
생치전체소(生雉全體燒) 생치(5수), 진유(2합), 간장(2합), 호초말(3석)
생리(生梨) 생리(15개)
전행인과(煎杏仁果) 진말(5승), 청밀(2승), 진유(1승5합)
완자탕(完子湯) 대전복(1관5개), 계란(5개), 해삼(1관), 실백자(1합), 홍합(5합), 표고(4전), 장(반반부), 녹말(5합), 생치(1수), 생우(2전), 계아(1수), 호초말(5석), 생선(반미), 간장(5합), 우설(1부), 진유(5석), 저전각(1), 초(5합)
계란어음구(鷄卵於音灸) 계란(60개), 실백자(1합), 녹말(7합), 표고(2양), 계아(1수), 생강(2전), 생치(반수), 진유(1합), 진말(5합), 생총(1주지), 간장(3합)
어만두(魚饅頭) 대생선(2미), 생강(3전), 생치(1수), 녹말(5합), 계아(1수), 진유(3합), 표고(2량), 송용(3개), 호초말 (5석)
전복숙(全卜熟) 대전복(3관), 진유(1합), 간장(3합), 생강(3전), 호초말(3석), 실백자(1합)
생복회(生卜膾) 대생복(50개), 초(3합), 간장(5합), 생강(2전)
족편(足片) 우족(5척), 녹말(5합), 호초말(1합), 대조(5합), 생치(1수), 생강(5양), 계아(1수), 간장(3합), 계피말 (2양), 초(3합)
홍시자(紅柿子) 홍시자(25개)
홍미자(紅味子) 진말(5승), 백당(5양), 청밀(2승), 지초(5양), 진유 (1승5합), 흑탕(1승), 출유(5합)
당저장포(唐猪醬泡) 저후각(1), 생강(3전), 생치(1수), 생산(5개), 계아 (1수), 호초말(1전), 계란(15개), 녹말(3합), 표고 (2양), 간장(1승), 송용(5개), 염수(5합), 백대구어피(2미), 실백자(2합), 실임자(3합), 진유(5합), 진용(2량)
잡탕(雜湯) 우외심육(반척), 녹말(7합), 대생선(반미), 호초말 (5석), 간장(5합), 실백자(1합), 진유(3합), 송용 (10개), 표고(3양), 박우거리(2악), 계란(10개), 청근(5개), 생치(1수), 토란(1승), 계아(1수), 생총 (1주지), 생강(1전), 장(반반부), 진말(1승), 숙전복(5개)
생선전유아(生鮮煎油兒) 대생선(3미), 녹말(1승), 염(5합), 진유(1승5합)
장어음구(羘於音灸) 장(반부), 계아(1수), 진말(5합), 진유(2합), 표고 (2양), 간장(2합), 계란(3개), 호초말(3석), 생강 (2전)
생복초(生卜炒) 대생복(50개), 생강(1전), 간장(3합), 진유(1합), 실백자(5석)
동과만두(冬果饅頭) 동과(1개), 생강(3전), 생치(1수), 녹말(5합), 계아(1수), 진유(3합), 표고(2양), 송용(3개), 호초말(5석)
포도(葡萄) 포도(7송용)
전은정과(煎銀丁果) 진말(5승), 진유(1승5합), 청밀(2승)
금중탕(禁中湯) 계아(3수), 표고(3량), 박우거리(1악), 생궐(1악), 진용(2량), 간장(3합), 호초말(5석), 진말(5합), 계란(4개), 진유(1합), 실백자(5석)
낙지어음구(落蹄於音灸) 낙제(2월내), 녹말(5합), 간장(2합), 실백자(5석), 표고(3양), 진유(2합), 계란(20개), 생치(1수), 계아(1수), 송용(5개), 진말(1승), 생총(1주지)
생선숙편(生鮮熟片) 대생선(3미), 진유(3합), 녹말(1승5합), 실백자(5석), 간장(3합)
저간(猪肝) 저간(5부)
피자정과(皮子正果) 백대구어피(20미), 백청(5합), 녹말(1승5합), 오미자(5합)
유자(柚子) 유자(25개)

그 외에도 음식을 담은 그릇과 각종 꽃장식, 과상(果床), 대선탁(大膳卓), 공탁(空卓), 찬안상(饌案床), 주정상(酒亭床) 등 각종 상의 모습 등이 글과 그림자료를 통해 생생히 묘사되어 있다. 심지어 당시 궁중 음식에 사용된 재료들의 공급 지역까지 세심히 기록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광어 60마리가 경상도, 황대구어 100마리와 백대구어 100마리가 황해도, 건대홍어와 건대사어가 통영, 건오적어 100마리가 전라 감영에서 왔다는 식이다.

4. 복원

2008년 10월 25일 오후 2시 경희궁 숭정전에서 한국 전통 문화 연구원 주재로 1719년 우리 나라에서 행해졌던 연회의 모습을 기해진연의궤를 통해 완전히 복원하는데 성공하였다.연합뉴스 : 숙종 '기해 진연의' 복원 공연, 국민일보 : ‘고종정해진찬의궤’ 국역 출판 인남순 원장. 낮엔 춤추고 밤엔 古書 연구 결실

중요 무형 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전수 조교 인남순 씨와 기타 한국 전통 문화 연구원들이 2000년에 순조자경전진찬의궤의 연회 모습을 처음 복원하는데 성공한 후, 현존하는 600여종의 의궤 중 연회와 관련된 20여종의 의궤들을 매년 한 작품씩 복원하기로 하였으며, 2008년 당시 복원 행사 9회째를 맞아 숙종기해진연의궤를 재현한 것이다. 이 재현 행사 당시 배우 최종원이 숙종 역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