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노원구의회 의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1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1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2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2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김동익 | 김동익 | 김선회 | 김선회 | |
제3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3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4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4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최경식 | 김종옥 | 최경식 | 이한선 | |
제5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5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6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6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이광열 | 김성환 | 원기복 | 황동성 | |
제7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7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8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8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김승애 | 정도열 | 이경철 | 최윤남 | |
제9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9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김준성 | 손영준 | }}}}}}}}} |
제9대 후반기 노원구의회 부의장 김경태 金京泰 | |
| |
<colbgcolor=#3d62ad><colcolor=#fff> 출생 | 1969년 5월 12일 ([age(1969-05-12)]세) |
선거구 | 노원구 다 선거구 |
소속 정당 | |
학력 | 강릉원주대학교 (공학 / 학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공학 / 석사) |
의원 선수 | 2 |
의원 대수 | 7, 9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노원구의회 의원(다 선거구, 국민의힘)이다.2. 생애
1969년 경상북도 상주군(現 상주시)에서 태어났다. 강릉원주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공학 석사 과정을 졸업하였다.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노원구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7년 바른정당 창당에 참여하였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바른미래당 후보로 노원구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 후보로 노원구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3. 의정활동
3.1. 제7대 노원구의회
2014년 당선되어 임기 전반기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2015년 7월 6일 김성환 구청장에게 노원구 내 불법 현수막 문제를 지적했으며 2015년 11월 2일 정성욱 새정치민주연합 노원구의원이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을 비난하자 지방의회의 취지에 적합하지 않은 발언이라며 비판했다.2016년 임기 후반기 행정재경위원회로 상임위를 옮겨 활동했다. 2016년 12월 1일 노원구의 폐기물을 처리하는 사업이 소수 업체에 의해 독점되고 있고 폐기물 처리 과정이 불투명하여 부당 이익 가능성이 있다며 김성환 구청장에게 질의했다.
3.2. 제9대 노원구의회
임기 전반기 도시환경위원회 위원, 노원구의회 국민의힘 원내대표로 활동했다.2022년 8월 4일 '노원구 의용소방대 지원에 관한 조례안'을 발의했으며 같은 해 10월 7일 가결되었다. 11월 30일 육군사관학교의 충청남도 이전을 반대했다.
2023년 2월 20일 2022년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에서 노원구가 최하위 등급을 받을 것을 지적하고 구청장에게 조직문화 혁신을 촉구했다. 9월 11일 2023년 노원구가 수립한 '제6기 고독사 예방 종합계획'이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12월 15일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임되어 1달간 노원구의 예산을 심사했다. 2024년 2월 23일 공동주택 화재 시 대피 안전을 위해 옥상 출입문 자동개폐장치 설치 지원을 확대하고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4년 7월 임기 후반기 부의장에 단선되어 "의장단과 함께 의원들이 보다 나은 환경에서 마음껏 의정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힘쓰겠으며 초심을 잃지 않고 구민들이 안전하고 행복한 노원구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당선소감을 밝혔다. 8월 23일 전기차 화재 예방과 안전대책으로 소방시설 점검 및 전수조사, 건축물 설계단계에서 안전기준 마련 등을 해야 한다며 구청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했다.
2024년 새로 취임한 노원경찰서장과 간담회를 가졌으며 9월 추석을 맞아 경로당과 전통시장을 방문해 시민들의 의견을 청취했다. 9월 26일 의용소방대원 및 소방공무원 등 20여 명과 함께 화재피해 가구를 방문해 봉사활동을 실시했다. 11월 23일 '2024 지방자치 의정대상'에서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