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1년 경북 칠곡에서 태어났다. 인하대학교 항공공학과를 졸업하고 국방부 등에서 근무했다. 서른 즈음부터 한국문화와 사주명리, 정신세계에 지대한 관심이 생겨서 꾸준히 공부를 해왔다.
마흔 이후 인생의 큰 고비를 겪으면서 본격적으로 사주명리를 주제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에서 동양철학 석사과정, 국립안동대학교 대학원에서 민속학 박사과정을 공부했다.
서라벌대학교 풍수명리과 교수·학과장으로 재직하였고, 동방대학원대학교 미래예측학과 교수 및 명리성명학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했으며, 명리학심층과제연구․현대명리연구․명리진로적성연구․명리성명학연구 등을 연구하고 강의하였다.
현재는 경북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정선사주명리, 훈민정음 오행성명학, 실생활 주역 등을 강의하고 있다.[4]
연구 논저로 「명리학의 한국적 수용 및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석사, 2005), 「한국 사주명리의 활용양상과 인식체계」(박사, 2010),『한국 사주명리 연구』(2011,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5], 『한국 성명학 신해』(2016․2018),『정선명리학강론』(2022), 「한글에 함축된 음양 배속, 오행 상생, 천지인 삼원 사상 고찰」(2022) 등을 비롯해 110편 이상이 있다.
사주명리․성명학 관련 학술연구 논문을 한국․중국․일본 등에서 가장 많이 저술하였다(KCI 등재 논문 100여 편).
경력
경북대학교 평생교육원 강의(정선사주명리, 주역, 성명학) (2023년 9월~현재)[6]
동방대학원대학교 미래예측학과 교수(명리학·성명학) (2013년 3월~2022년 12월)
동방대학원대학교 명리성명학연구소장 (2013년 3월~2022년 12월)
서라벌대학교 풍수명리과 교수·학과장 (2010년 3월~2013년 2월)
서라벌대학교 풍수명리과 시간강사 (2009년 3월~2010년 2월)
바른역사학술원 편집위원 (2022년 1월 1일~현재)[7]
실천민속학회 평생회원 (2007년 8월 1일~현재)
한국명리성명학회 창립회장 (2015년 3월 1일~현재)
(사)K-문화융합협회 학제간융합위원장(2022년 1월 1일~현재)
학력
국립안동대학교 대학원(문학박사): 「한국 사주명리의 활용양상과 인식체계」(2010년)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문학석사): 「명리학의 한국적 수용 및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2005년)
인하대학교 항공공학과(공학사)(1984년)
연구실적
연구서
『정선명리학 천(天)』(2024), 『정선명리학 지(地)』(2024), 『정선명리학 인(人)』(2025),
『올바른 작명을 위한 훈민정음』(2025), 『훈민정음 모자음오행 성명학』(2022),
『실생활 주역』(2024), 『정선명리학강론』(2022),
『한국 사주명리 연구』(2012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8]
『한국 성명학 신해』(2016) 등 15권[9]
연구논문
한국연구재단 KCI 등재 학술논문 100여 편[10]
사주명리의 주요 신살(神殺)에 관한 고찰(2025), 현대 사주명리 상담의 현장론적 연구(2025), 서자평(徐子平)의 명통부(明通賦)에 함축된 신법명리(新法命理) 체계와 특징(2023), 명리학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분야분류 설정을 중심으로(2022), 황제내경(黃帝內經)과 동의보감(東醫寶鑑) 정기신(精氣神)론의 명리학적 적용 고찰(2020) 등[11]
활동경력
인천광역시교육청,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경기대학교 예술대학원, 한양대학교 융합산업대학원, 경성대학교 경영대학원, 가톨릭관동대학교, 한양대학교 동양학 대토론회 등 특강 다수
SBS 8시 뉴스, SBS 모닝 와이드, SBS 한밤의 TV연예, MBC 생방송 오늘아침, KBS 아침뉴스타임, KBS 뉴스, KBS 추적 60분(운명의 바코드 750105)[12] 등 방송 출연 다수[13]
<조선일보>[14]·<중앙일보>[15]·<매일신문>[16]·<연합뉴스>[17] 등 언론 보도 다수[18]
한국도교문화학회 공동 학술세미나(도교·노자·명리학) 개최 (2019년 12월 7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법원행정처 <대법원 인명용 한자 확대 방안> 공동 학술세미나 개최 (2022년 11월 18일)[19]
국립한글박물관 2022년 <한글문화 강좌> - 한글에 우주의 원리가 담겨 있다? 한글 창제원리와 음양오행설의 이해 (2022년 8월 16일)[20]
국립민속박물관 2025년 을사년 뱀띠해 강연 (2024년 12월 18일)[21] 등
기타
교육과학기술부 월간지《꿈나래 21》2011년 10월호‘십이지에 얽힌 한국인의 정서’[22]
김만태교수 논문, 초등학교《사회》(3-2, 4-1)교과서 수록(교육부, 2020년)[23]
《한국민속대백과사전》(국립민속박물관) 민속신앙·일생의례·세시풍속편 일부 집필[24] 등
[1]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e9e9943b46e73176ffe0bdc3ef48d419&keyword=%EA%B9%80%EB%A7%8C%ED%83%9C[2] https://www.kri.go.kr/kri2[3]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6059050[4] https://lifelong.knu.ac.kr/[5]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0533937[6] https://lifelong.knu.ac.kr/[7] http://brhistory.re.kr/[8]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0533937[9] https://www.nl.go.kr/[10] https://www.kci.go.kr/[11] https://www.kci.go.kr/[12] https://www.youtube.com/watch?v=Zs48ov7lzFk[13] http://namestory.kr/sub1_2.php[14] http://namestory.kr/bbs/board.php?bo_table=sub4_2&wr_id=50[15] http://www.joongang.co.kr/article/13781813#home[16] http://namestory.kr/bbs/board.php?bo_table=sub4_2&wr_id=51[17]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612612?sid=103[18] http://namestory.kr/sub1_2.php[19] http://namestory.kr/bbs/board.php?bo_table=sub4_2&wr_id=47[20] https://www.hangeul.go.kr/webzine/202208/sub1_3.html[21] https://www.youtube.com/watch?v=uBmn15jD7BY[22] http://namestory.kr/bbs/board.php?bo_table=sub4_2&wr_id=49[23] http://namestory.kr/bbs/board.php?bo_table=sub4_2&wr_id=61[24] https://folkency.nfm.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