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날붙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날붙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날붙이#|]][[날붙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1. 나이프(단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이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이프#|]][[나이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2. 식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엌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엌칼#|]][[부엌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3. 테이블 나이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테이블 나이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테이블 나이프#|]][[테이블 나이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4. 미술용 나이프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정교하게 자르는 공작용 칼}}}에 대한 내용은 [[아트 나이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아트 나이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아트 나이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정교하게 자르는 공작용 칼: }}}[[아트 나이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아트 나이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아트 나이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유화(미술), 아크릴화에서 쓰이는 길쭉한 날붙이. 종류는 다음과 같다.
- 페인팅 나이프: 두번 꺾인 모종삽같이 생긴 나이프. 물감 혼합과 회화 표현 모두 가능하며, 날 부분 모양 종류도 각 표현 방식에 특화된 다양한 제품이 있다.
- 팔레트 나이프: 버터 나이프처럼 일자로 된 나이프. 팔레트에서 물감 혼합하는 것을 전문으로 한다.
- 스크래퍼: 길에 붙은 껌을 떼는 그것과 같은 것으로, 늘어붙은 물감을 뜯어내는 용도다.
- 기타: 특이한 표현이 가능한 갖가지 모양의 나이프도 있다.
어떤 것은 나이프 모양 범주를 벗어났다
참고로 꾸덕한 물감을 자주 붓으로 섞으면 붓이 빨리 망가지므로 이왕이면 나이프로 하는 것이 낫다.
2. 노래
2.1. 락웰의 팝송
모타운 레코드 설립자인 베리 골디(Barry Gordy)의 아들이며 마이클 잭슨의 친구이기도 한 미국 가수 락웰[1]이 1984년 발표한 데뷔 앨범 <Somebody's Watching Me>에 수록된 곡에 수록된 '나이프(Knife)가 한국에서 팝송하면 떠오를 정도로 유명하다. 미국에선 이 노랜 그다지 인기가 없었지만, 이 앨범 메인 노래인 Somebody's Watching Me는 세계적으로 꽤 대박이었다. 바로 마이클 잭슨이 코러스를 맡았는데 이 노랜 미국에서 빌보드 핫 100 2위, 빌보드 R&B 차트 1위에 오르고 200만장이 넘게 팔렸다. 하지만, 락웰은 85,86년에 내놓은 2집과 3집이 그다지 인기를 얻지 못하여 가수 활동을 그만두고 모타운 레코드 사업에 전념했다.반대로 한국에서 <Somebody's Watching Me>는 그리 인기가 없으나,나이프는 한국인이 사랑하는 팝송 100에서도 어김없이 들어가는 노래다.
곡은 락웰과 미첼 보틀러(Mitchell Bottler), 노마 헴즈(Norma Helms)가 함께 만들었다.
You touched my life with the softness in the night 너는 부드러운 밤같이 내 삶에 감동을 주었어 My wish was your command until you ran out of love 네 사랑이 다할 때까지 내 소원은 네 지배하에 있는 것이였지 I tell myself I'm free, got the chance of living just for me 스스로에게 말해, 자유라고, 나만을 위해 살 기회를 가졌다고 No need to hurry home, now that you're gone 이제 네가 떠났다고 집에 서둘러 갈 필요는 없어 Knife, cuts like a knife 칼로, 칼로 벤 것 같아 How will I ever heal, I'm so deeply wounded 어떻게 치유할 수 있을까, 너무 깊게 상처를 입었는데 Knife, cuts like a knife 칼로, 칼로 베인 것 같아 You cut away the heart of my life 넌 내 삶의 심장을 도려냈어 When I pretend wear a smile to fool my dearest friends 친한 친구들을 놀리기 위해 가짜로 미소를 지어 I wonder if they know it's just a show 친구들이 그게 쇼란 걸 알까? I'm on a stage, day and night I go through my charades 위장극을 하면서 밤낮으로 무대에 서 But how can I disguise what's in my eyes 하지만 내 눈에 있는 걸 어떻게 위장할 수 있을까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I've tried and tried blocking out the pain I feel inside 내면의 고통을 막기 위해 애쓰고 애써봐 The pain of wanting you, wanting you 널 원하는 고통을 스치고 |
2.2. 파워코드P의 메구리네 루카 VOCALOID 오리지널 곡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이프(VOCALOID 오리지널 곡)#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이프(VOCALOID 오리지널 곡)#|]][[나이프(VOCALOID 오리지널 곡)#|]]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BUMP OF CHICKEN의 노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ナイ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ナイフ#|]][[ナイ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카스텔라 레시피의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이프 스텔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이프 스텔라#|]][[나이프 스텔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웹툰 이런 영웅은 싫어에 나오는 악의 조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KNIF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KNIFE#|]][[KNIF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스웨덴의 전자음악 듀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Knif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Knife#|]][[The Knif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Inanimate Insanity의 등장사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이프(Inanimate Insanity)#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이프(Inanimate Insanity)#|]][[나이프(Inanimate Insanity)#|]]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Rockwell, 1964년생으로 본명은 케네디 윌리엄 골디.